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식 홈페이지 http://comm.hanyang.ac.kr
목차
대학원
- 소속: 서울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유형: 대학원
- 영문명: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 중문명: 大众传媒系
- 홈페이지 : http://comm.hanyang.ac.kr/main/
학부(서울)
- 소속: 서울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유형: 서울 대학
- 영문명: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 중문명: 大众传媒系
- 홈페이지 : http://comm.hanyang.ac.kr/main/
연혁
- 1963 .04 문리과 대학 내 신문학과 설립
- 1970 .02 신문학과 대학원 석박사과정 신설
- 1971 .02 신문방송연구소 설립
- 1975 .01 대만 중국문화원 신문학과와 문화 및 예술 교류에 관한 협정 체결
- 1980 .12 연구소 학술지 '언론학보' 첫 발간
- 1981 .12 신문방송연구소를 언론문화연구소로 명칭 변경
- 1982 .10 언론정보대학원 신설
- 1997 .03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신문방송전공으로 통합
- 2001 .09 언론문화연구소를 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Center for Communication Research)로 확대 개편
- 2011 .05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로 명칭 변경
- 2013 학과 설립 50주년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구:신문방송학과)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현상들을 다립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은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및 정보과학 등의 사회를 이해하 는 여러 학문들과 통하는 교차점에 있는 학문으로 '학문의 십자로로불리기도 합니다. 사람이 모여 살아가는 사회에는 글 또는 기호를 통해 타인에게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능력은 자기 표현이며 현대 경영 이나 관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의해 좌우된다"고 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업무적 효율 뿐 아니 라대인 관계 형성이나 설득, 자아 형성 및 관리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을 매개해주는 수단을 '미디어(매체)'라고 합니다. 종이를 이용하는 편지나 신문, 전파를 이용하는 라디 오나 TV 방송을 넘어.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에 깔린 인터넷과 앱. 게임. 소셜미디어 등 현대사회의 미 디어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점점유능해지고 있습니다. 현대인의 일상은 미디어로 시작해 미디 어로 끝난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개인과 기업, 정부가 사용하는 각종 미디어와 인공지능은 사회 구식 구석으로 스들어 우리 사회를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적확하 고 발빠른 이해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입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교육을 통해 이러한 커 뮤니케이션 능력과 미디어 활용능력 및 미디어 리터러시를 키워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 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학과 정보
- 총학생수 : 284명
- 성비 : 남녀 1:1
- 전화번호 : 02-2220-0850
- 학과설립연도 : 1963
특장점
- 정통성 있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과
- 60여년 전통의 국내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관련 전문 학과로서 우수한 동문 다수 배출
- 언론 고시반
- 언론직을 꿈꾸며 언론고시를 준비하는 재학생 및 졸업생을 위해 '언론 고시반' 운영
- 활발한 4개 학회
조영상음향', '크랭크인'이라는 20년 역사의 학회에서 다양한 수업 밖 경험을 할 수 있음 창차ㅊ
커리큘럼
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공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
---|---|---|---|---|---|
이론 | 광고홍보 | 광고론
매체계획론 광고기획제작 |
PR론 | ||
매체 | 미디어읽기와보기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이해 |
미디어의이해 | 디지털미디어의이해
매체비평 매체효과 |
미디어영상산업
미디어경영 미디어문화산업의과제 |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이해
커뮤니케이션원론 커뮤니케이션과사회 |
대인간커뮤니케이션
매스컴론 |
커뮤니케이션발달사
스피치커뮤니케이션 리더십커뮤니케이션 |
비판커뮤니케이션
정치커뮤니케이션 조직커뮤니케이션 정치커뮤니케이션 글로벌커뮤니케이션의이론및과제 | |
언론 | 신문론
방송론 한국언론사 영상문화 영상언어의이해 |
언론제도
언론연구조사방법 |
언론법제
언론과대중문화 언론학특강 | ||
실기 | 광고기획제작
매체계획론 미디어글쓰기 인터넷취재작성 전자출판제작 취재보도론 |
PR론
미디어논술과작문 방송편성 방송제작 신문제작 보도사진실습 언론연구조사방법 미디어현장교육 스피치커뮤니케이션 |
진로
분야 | 직업 |
---|---|
언론영상계열 | PD, 조연출, 촬영감독, 아나운서, 리포터, 웹방송전문가, 쇼핑호스트, 신문기자, 잡지기자, 방송기자, 성우, 기자, 사진기자, 출판사, 잡지사 등 |
광고홍보계열 | AE, 카피라이터, 홍보전문가, 기획 및 홍보사무원, 행사 기획자, 출판물기획 및 편집자, 미디어플래너, 크리에이티브디렉터, 광고기획 등 |
연구소 | 한국광고연구원, 한국방송개발원, 한국언론연구원 등 |
공공・정부기관 | 한국방송광고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
질의응답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와 신문방송학과는 다른건가요?
-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는 2011년도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변경 이유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미디어가 새로 생겨나고 이와 함께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더욱 복잡 다양하게 변화했기 때문입니다. 뉴미디어들의 영향은 점차 증대되고, 더 이상 ‘신문방송’이라는 이름으로는 사회 전반에서 일어나는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현상을 포함하여 다룰 수 없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학과는 같은 학과이지만, 명칭이 바뀌면서 기존에 연구, 학습하던 분야보다 더 넓은분야를 다루는 차이점이 있는 것입니다.
- 광고나 홍보 쪽 진로를 생각하고 있는데 이 학과에 가도 될까요?
- 관련 학과가 따로 있기도 하지만 본교에서는 폭넓은 정체성을 갖고 언론학, 광고홍보학, 매체학, 커뮤니케이션학까지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광고홍보와 관련해서는 이론기초를 다지는 ‘광고론’같은 수업부터 ‘광고기획제작’, ‘매체계획론’과 같이 이론을 심화하고, 관련된 실습을 하는 수업들이 있습니다. 이론과 실습내용이 잘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학회활동
한국방송학회와 '학문후속세대를 위한 특별강연회' 개최
- 제목 : "공론화, 국민적 소통과 합의를 위한 과정"
- 강연자 :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인 김영란 전 대법관\
- 일시 : 2019년 11월 21일 오후 2시
- 위치 : 한양대 서울캠퍼스 백남학술정보관 6층 국제회의실
- 강연순서
- 1부 : 기조 강연(김 전 대법관)
- 2부 : 대담(한국방송학회장 한동섭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진행)
교수진
- 황상재 교수
- 02-2220-0857 / powel2@chol.com
- 윤선희 교수
- 02-2220-0856 / syoon@hanyang.ac.kr
- 한동섭 교수
- 02-2220-0853 / dshan27@hanyang.ac.kr
- 이재진 교수
- 02-2220-0851 / jjlee@hanyang.ac.kr
- 안동근 교수
- 02-2220-0854 / kahn@hanyang.ac.kr
- 류웅재 교수
- 02-2220-0852 / wjryoo@hanyang.ac.kr
- 손동영 교수
- 02-2220-0855 / dysohn@hanyang.ac.kr
- 이자연 부교수
- 02-2220-1645 / lee22@hanyang.ac.kr
- 박진우 조교수
- 02-2220-1646 / creativejw10@hanyang.ac.kr
- 김지현 조교수
- 02-2220-1644 / ethnographer@hanyang.ac.kr
- 주대우 조교수
- 02-2220-0856 / daewuju@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