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BL(Problem/Project Based Learning)은 학습자가 실제 현장의 문제들을 주도적으로 해결해보는 능동적인 수업 형태로 최근 세계 유수 대학에서 도입 중인 교육 시스템이다. PBL은 한양대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다는데, 더 똑똑한 수업으로 탈바꿈한 한양대 수업은 어떨까?
*'''서울캠퍼스 R.PBL''' : 2018학년도 2학기부터 본격 도입된 R.PBL(Research Project Based Learning)은 한양대학교에서 자체개발한 프로젝트 중심 학습과정이다. ‘Real world context(실제 현장 상황)’,‘Research based(조사 기반)’, ‘Reflective thinking(반성적 사고)’이라는 세 가지 콘셉트를 중심으로 중심으로 운영되는 수업을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 사회와 연관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사회에 진출해서 실제 맞닥뜨리게 될 프로젝트를 대학 재학 중에 미리 경험할 수 있으며, 실제 적용 가능한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역량을 높일 수 있다.
*'''ERICA캠퍼스 IC-PBL''': 2016년도부터 시작된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은 산업체와 역사회지역사회, 대학의 연계를 통해 학습자가 현장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ERICA의교육과정 혁신 모델이다. 4개 과목에서 시작된 이 모델은 2년 만에 139과목으로 늘어나는 등급격한 성장을 이루어내며 성공적인 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IC-PBL은 ‘현장에서의 문제 제공 여부’와 ‘문제해결 과정 중에 현장 개입 여부’에 따라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IC-PBL MECA'''
 ** Merge, 현장 통합형 : 기업·기관 등 현장에서 문제를 직접제공받거나 현장 요구로 발생한 문제를 수업에활용한다. 문제해결과정 중 현장에서 평가 및피드백을 받는다.** Evaluate, 현장 평가형 : 현장에서 해결이 필요한시의성·실제성·개연성 있는 문제를교수자가 설계 및 개발한다. 문제해결과정 중현장에서 평가 및 피드백을 받는다.** Create, 문제 해결형 : 현장에서 해결이 필요한시의성·실제성·개연성 있는 문제를교수자가 설계 및 개발한다. 현장 개입 없이수업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평가와 피드백을주고받는다.** Anchor, 현장 문제형 : 기업·기관 등 현장에서 문제를 직접제공받거나 현장 요구로 발생한 문제를 수업에활용한다. 현장 개입 없이 수업에 참여하는구성원들이 평가와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블랙보드==

편집

2,082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