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교수]]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의과대학]] [[의학과]] [[예방의학교실]] 교수
* 개인 블로그 : https://blog.naver.com/armdaunnara
== 학력 ==
* 전공: 예방의학, 건강정치학, 건강정치사 / 북한보건의료
* 1990, 한양대학교, 의학사
* 1994, 서울대학교, 보건학석사
* 1995, 예방의학전문의
* 1998, 서울대학교, 보건학박사
== 학력 주요 경력 ==*1990, 한양대학교, 의학사하버드 대학교 방문학자(2002-2004)*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이사(현재)* 대한예방의학회 이사(현재)* 대한의사학회 이사(현재) 등* 2009.7.3-2013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초대이사장 역임* <보건사회연구> 편집위원장(현재)* <비판사회정책> 편집위원(현재)* 2018.6-2019.2 대통령 직속 제5기 국가생명윤리위원회 위원* 2018- 현재 통일부/보건복지부 남북교류협력 협의체 위원* 2018 –현재 법무부 인권정책자문단 자문위원* 2018- 현재 국회미래연구원 자문위원* 2018- 현재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국민참여혁신단 위원 등 == 주요 역임 활동 ==*1994, 서울대학교, 보건학석사"건강연대" 정책위원장(2006-2010.8.31)*보건복지부 보건의료법령기획단 위원(1998, 서울대학교, 보건학박사)*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센터 기술지원평가단 위원(1999)* 국가인권위원회 다수인보호시설 전문위원회 위원(2005-2007)* 국가인권위원회 차별전문위원회 위원(2007-2009)* 통일부 자문위원(2008-2010) 등* 한양대학교 <건강과 사회 연구소> 소장(2013.9.1-2019.8.31)
== 동정 주요 수상경력 ==* 2018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보건사회연구’ 편집위원장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간 학술지)<보건사회연구> 제1회 우수논문상 수상* 2005 책임역자, 공저 <사회역학>-학술원우수도서선정* 2007 공저 <의료개혁의 새로운 모색>-학술원 우수도서선정* 2018 책임역자, 공역 <일본병원사>-세종도서 선정* 2019 책임역자, 공역 <역학의 이론과 맥락> -세종도서 선정* 2008 <시사저널> 차세대 의료인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 1위로 선정
== 연구실적 ==
*친빈곤정책의 더딘 진전의 정치적 맥락, Health Policy 2006
== 언론활동 주요 저서, 역서 ==* 2015문옥륜, 이규식, 이기효, 장동민, 이해종, 김창엽, et al. <의료서비스의 배분적 정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신영전. 우리에게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 '공공영역'개념의 보건의료부문 적용가능성 검토를 위한 소고. 건강정책이론연구실 월예토론회: 건강정책이론연구실; 2001.* 신영전. 브롬덴 추장은 무사히 그 골짜기로 돌아갈 수 있었을까? : 정신질환자의 배제와 차별의 정치경제학. In: 김창엽, editor.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 서울: 삼인; 2002. p. 203-26.* 마크_로버츠, 윌리암_샤오, 피터_버만, 마이클_라이히. <보건의료개혁의 정치학>. 한울아카데미; 2005.* 신영전 외, <보건의료개혁의 새로운 모색>, 한울, 2006* 리처드 레빈스, <열 한 번째 테제로 살아가기>. 박미형, 신영전, 전혜진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9.* 신영전. 병든 세계의 치유를 꿈꾸는 세계시민의 입문서 : 「권력의 병리학 : 왜 질병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먼저 찾아오는가」, 폴 파머 저 ; 김주연·리병도 역 <書評>. 황해문화. 2009;63:461-9.* 이스타나 S, J 할. <건강불평등 어떻게 해결할까>, 신영전 외 역, 한울 아카데미; 2009.* 얀순딘, 샘빌레르.01<스웨덴 공중보건 250년사>, 신영전, 박세홍 역, 한울 아카데미; 2012.15일자 * 세마쉬코, <문화일보소련의 건강보장> , 신영전, 신나희 역,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17* 아서 뉴스홈, 존 아담스 킹스베리, <붉은 의료>, 이미라, 신영전 역,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17* 후쿠나가 하지메, <일본병원사>, 신영전, 최선우, 이준혁, 다나카 신이치 역, 한울, 2017* 낸시 크리거, <역학의 이론과 맥락>, 신영전 외 역, 한울, 2018* 요코야마 다카시, <일본이 우생사회가 될 때까지: 과학계몽, 미디어, 생식의 정치학>, 안상현, 신영전 역, 한울, 2019* 이안 맥니리, <거대한 규모의 의학>, 신영전, 서지영 역, 건강미디어협종조합, 2019 ==건강정책관련 주요 논문==* 신영전. 의료이용의 지역별 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998.* 신영전, 남정현. 국가정신보건체계 모형개발과 정책과제. 사회정신의학. 2001; 6(1):36-48.* 신영전, 이원영. 의료보호법개정에서 나타난 정책결정과정의 특성연구. 한국의료법학회지. 2002;10(2):23-44.* 신영전. 미국 사회복지정책변화와 메디케이드 매니지드 케어 도입 및 확대. 사회보장연구. 2004;20(1):147-71.* Kim MH, Kim MK, Choi BY, Shin YJ. Educational disparities in the metabolic syndrom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the case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5;34(6):1266-73.* 신영전. 미국 보건의료부문 영리화가 우리나라 일차 의료에 주는 정책적 함의. 가정의학회지. 2005;26(11):S95-S108.* Shin YJ. Policy context of the poor progress of the pro-poor policy: a case study on the Medical-Aid policy during Kim Dae-jung'의료비 과다지출로 年 가구 빈곤화율 7s government (1998-2002) in the Republic of Korea. Health Policy. 2006;78(2-3):209-23.* 신영전. 전국민 주치의제도의 새로운 접근. 가정의학회지. 2006;27(5):s489-s500.* Kim K, Kim MK, Shin YJ.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food secur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6):387-96.* Kim K, Kim MK, Shin Y-J.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9;29(2):268-92.* 신영전. 글로벌 경제위기와 의료보장의 사각지대. 한국사회정책. 2010;17(1): 95-127.* 신영전.8%' 기사에서 의료민영화'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 정책과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역사적 맥락과 전개. 상황과 복지. 2010;29:45-90.* 신영전. 사회권으로서의 건강권-지표개발 및 빈곤 지속에 미치는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상황과 복지. 2011(32):181-222.* 신영전, 윤태호, 김명희, 정백근, 서제희. 건강형평정책과 사업: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접근. 한국사회정책. 2011;18(4):41-77.* 김관옥, 신영전.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가계민간의료보험료에 미친 영향.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구 보건경제연구). 2016;22(2):119-41.* 신영전. 인권에 기반한 보건의료.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2016(1): 208-18.* 김관옥, 신영전.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 비판사회정책. 2017(54):305-34.* Kyung-Sook W, SangSoo S, Sangjin S, Young-Jeon S. Marital status integration and suicide: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Social Science & Medicine. 2018;197:116-26.* 신영전. 마르크스와 의학. 진보평론. 2018(76):102-31.== 북한관련 주요 논문== * 신영전, 이원영. 남북한 인구 및 건강수준 현황과 보건의료부문 교류협력 활성화방안. 서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2004.* 신영전. 북한 모자보건사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모자보건학회 제 23 회 춘계학술대회 연제집, 54~ 73 쪽 (총 20 쪽). 2008.* 신영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남북한 의료협력사업: 영유아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7):671-87.* Kim MK, Shin Y-j. Maternal and Child Health in North Korea: Based o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Indicators and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9 Report.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2011;1(2):119-46.* 신영전, 신상진. 대북지원에 대한 주요 신문 사설 및 칼럼분석(1993-2005). 남북한 보건의료. 2006;5:1-45.* 신영전, 박수진. 남북한 보건의료 관계 법규 비교분석, 남북한 보건의료. 2007; 6: 59-86.* 신영전, 신상수. 건강, 위생, 보건의료, 사회보장에 대한 기사 게재북한 정치지도자의 시기별 인식. 남북한보건의료. 2012.* Shin Y-J. Plan on establishment of post-unification North Korean medical safety ne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5):394-401.* 申榮全. 北朝鮮国民の生活実態:その動向と韓国との比較. In: 副田義也, editor. 鬪爭性の福祉社會學: 東京大學出版會; 2013. p. 219-36.* Shin Y-j, Ki M, Sung N. A new strategy for tuberculosis control in North Korea. Epidemiology and Health. 2015:e2015053.* Jung J, Jegal Y, Ki M, Shin Y-j, Kim CT, Shim TS, et al. Characteristics of drug resistant tuberculosis in sanatoria of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7;32(7):1105-10.09 == 건강정치사 주요 논문==* 신영전, 윤효정. 보건운동가로서 춘곡 양봉근. 의사학.21일자 2005;14(1):1-31.* 신영전. 식민지 조선에서 우생운동의 전개와 성격: 1930년대 <한겨레우생>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기고을 중심으로. 의사학. 2006;15(2):133-55.* 신영전. 대한의사협회 휘장의 소사-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헤르메스의 지팡이. 의사학. 2007;16(1).* 신영전, 박세홍. 노기순 (盧基舜) 의 생애: 한국 보건의료의 변경사. Korean J Med Hist. 2009;18:90.* 신영전, 서제희. 미군정 초기 미국 연수를 다녀온 한국인 의사 10 인의 초기 한국보건행정에서의 역할. 보건행정학회지. 2013;23(2):196-206.* 신영전, 김진혁. 최응석의 생애: 해방직후 보건의료체계 구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2014.* 정일영, 신영전. 일제 식민지기 ‘원산노동병원’의설립과 그 의의. 의사학. 2016;25(3):445-88.* 문미라, 신영전. 용정의과대학(龍井醫科大學)의 설립과 운영. 의사학. 2017;26(2):215-64.* 신영전, 정일영, 미수 이갑수의 생애와 사상: 우생관련 사상과 활동을 중심으로, 의사학; 29(1): 4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