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288 바이트 추가됨 ,  4년 전
편집 요약 없음
* 1983, 서울대학교, 이학석사
* 1990, 코넬대학교, 이학박사
 == 경력 ==* 1990-1992, 후레드허친슨 암연구소, 연구원* 1992-1994, 전북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1994-현재,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동정==* BK21 <포유동물 발생·분화 연구 사업팀> 팀장, 2006-현재*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학부장, 2005-2006* 한양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줄기세포연구센터, 센터장, 2005-present* BK21 <기간세포와 초기 발생분화 사업팀> 팀장, 1999-2002 ==연구관심분야==유전자 발현 조절, 줄기세포 운명조절 기작, 적혈구 분화 조절 기작 == 주요연구 ==
=== 암 전이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제 발굴(2019.11)<ref><뉴스H> 2019.11.28 김철근 생명과학과 교수, 암 전이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제 발굴</ref>===
* 김 교수팀이 최근 비구조 단백질 영역(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 region, IDPR)을 대상으로 결합약물을 발굴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암(癌)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를 발굴했다.
* “강봉구, 신준호, 이재규, 강호철, 이종주, 허현석, 채지형, 신인철, 김철근. 2007. 보조억제인자 MMTR/DMAP1은 HDAC1 및 TFIIH-매개성 전사억제에 관여한다. Mol. Cell. Biol. 27; 3578-3588"
* “강호철, 채지형, 이연호, 박미애, 신준호, 김승현, 조윤신, 스티브 화이어링, 김철근. 2005. CP2 전사인자군에 의한 적혈구 세포 특이적 알파-글로빈 유전자 조절. Mol. Cell. Biol. 25: 6005-6020"
 
==주요저서==
*“영광의 얼굴들: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들의 인생과 학문”
== 언론활동 ==
==수상==
* 2016, 제2회 한국유전학회 생명과학자상 수상
[[분류:교수]]* 쿨리 아네미아 소사이어티, 연구 장려금, 1991* 루실 P. 마키 신용, 연구 장려금, 1990* 주미대사관, 우수한국인 장학금, 1989 ==학회활동==* 한국유전학회, 운영위원장, 2010.* 한국생물과학협회<2007 생물학의 해> 조직위원회, 출판위원장, 2007* 한국생물과학협회, 총무간사, 2006-2007* 한국유전학회, 출판운영위원장, 2004-2009* 한국동물학회, 총무운영위원, 2002-2003* 한국분자생물학회, 학술운영위원, 2000 
== 주석 ==
<references/>
 
[[분류:교수]]
[[분류:생명과학과]]

편집

5,728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