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519 바이트 추가됨 ,  1년 전
*'''수업 목적'''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인재 양성 & 사회 발전을 주도할 리더로서의 필요 역량 개발
*'''수업 목표''' 실제적인 문제해결력, 유연한 사고력, 창의성, 협업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확보 & 전공과 연결된 실제 산업현장에 관한 이해 재고
 
 
혁명의 불씨를 지핀 인물은 에리카캠퍼스의 산학협력단장을 지냈던 김우승 전 한양대 총장이다. 교육부에서 2016년에 추진한 프라임(PRIME·ProgRam for Industrial needs Matched Education) 사업에 에리카가 선정된 게 계기가 되었다. 이에 2016년 4개 교과목에 ‘IC-PBL(Industry Coupled Project/Problem-Based Learning)’, 즉 PBL과 산업의 연계를 처음으로 적용했다. 이후 ERICA에서 시작한 혁명은 서울 본교까지 번져나갔다.
IC-PBL 수업 개발과 지원은 [[IC-PBL교수학습센터]]에서 수행한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다양한 기업/기관의 요구를 수렴한 뒤, 전문 컨설턴트와 대학 교수자가 기업/기관 맞춤형 IC-PBL 수업을 설계, 운영하며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기관의 재직자가 참여해 함께 교육을 받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활동에 멘토로 참여할 수 있어 사회 구성원의 평생교육에도 기여한다.
 
올해에는 LG전자, 서울디지털재단, 성동구청, 서울시 리빙랩, 마이베네핏 등 다양한 기업/기관과 연계된 역동적인 IC-PBL 수업이 개설, 운영 중이다. (2020)
==IC-PBL 참여 교과수==
*[[파일:IC-PBL 참여 교과수(2019).jpg|섬네일|IC-PBL 참여 교과수(2019)]]2019년 기준, 2018-2학기 이후 매 학기 160% 정도 증가 <ref>출처:[[사랑한대매거진250]]-창의융합 따라잡기</ref>*2023년 5월 8일 기준, 한 학기에 254개 강좌가 IC-PBL이다. 누적으론 1952개 강좌. 공과대학은 물론 언론정보대학, 예체능대학까지 총 9개 단과대학이 모두 참여한다.[[파일:IC-PBL 참여 교과수(2019).jpg|섬네일|IC-PBL 참여 교과수(2019)]]
==IC-PBL 교과 강의평가 결과<ref>출처:[[사랑한대매거진250]]-창의융합 따라잡기</ref>==
==협업사례==
* 창의융합교육원 김성희 교수 – 논산시 인구청년교육과 ** 수업명: ‘과학기술학의 새로운 지형도’** 수업 내용: 논산 내 다양한 이슈들의 해결방안 모색*전자공학부의 이병주 교수 - 휴림로봇**수업명: 'ITC 융합로봇공학' == 성과 == * 올해에는 LG전자, 서울디지털재단, 성동구청, 서울시 리빙랩, 마이베네핏 등 다양한 기업/기관과 연계된 역동적인 IC-PBL 수업이 개설, 운영 중이다. (2020)* 2023년 5월 8일 기준, 홈페이지에 들어와 자료를 다운로드한 건수는 총 2만9026건. 278개의 국내 대학이 벤치마킹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는 물론 KAIST까지 있다. 미국, 일본, 중국 등 23개 유수의 해외 대학에서도 곁눈질했다. 삼성, SK, LG, 롯데 등 229개 기업과 기관도 관심을 보였다. * 작년 유네스코(UNESCO)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로 인증받았다. == 언론 == * <매일경제> 2023.05.08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3/5446195/ <nowiki>[사람과 현장] "교실은 거들뿐, 경험이 진짜다"… 에리카캠퍼스의 강의혁명</nowiki>]

편집

362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