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이영무총장.jpg|섬네일|이영무(Lee Young-moo)]]
'''이영무'''(李永武, [[1954년]] [[10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응용과학자이며, 제14대 [[한양대학교 총장]]이다.
* 2019년 [[최상위연구자]]
[[분류:최상위연구자]]
== '''학력''' == * 1982년 ~ 1986년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대학원 공학 박사 * 1977년 ~ 1979년 [[한양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석사 * 1973년 ~ 1977년 [[한양대학교]] 고분자공학과 학사 * 1970년 ~ 1973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주요 경력'''==
== '''주요 경력''' ==
;한양대학교
* 2015년 3월 ~ 2019년 2월 [[한양대학교]] 제14대 총장* 2011년 [[한양적정기술연구회]] 회장* 2009년 [[한양대학교]] 석학교수, 에너지공학과장, 교학부총장, 사회봉사단장* 2006년 ~ 2008년 [[한양대학교]] 총무처장* 2004년 ~ 2006년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장, 학술연구처장* 1998년 ~ 2001년 [[한양대학교]] 입학부처장* 1988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조교수
;해외 학술지 및 학회 위원
* (현) '멤브레인 사이언스 저널'((Journal of Membrane Science) 편집위원* (전) '산업 및 공업 화학 연구(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학술지 위원* (전) '멤브레인 사이언스 저널'(Journal of Membrane Science) 논설위원(Editorial Board)* (전) AMS(Aseanian Membrane Society) 회장* (전) ICOM2005 Secretary General, 북미막학회 및 미국화학회 평회원
;국내 학회 위원
* (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 (현)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전) 한국고분자 학회 이사 및 편집이사* (전) 한국공업화학회 국제협력위원회 위원장, 전무이사, 조직이사* (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학술교육위원* (전) 한국막학회 회장* (전) 한국섬유공학회 학술이사, 정회원
;공공기관 위원
* (전) KCRC 지식재산 전략위원회 위원* (전) 한국연구재단 설립위원* (전)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전) 과학기술부 과학교육발전위원회 위원* (전)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재단 기술인력분과 위원* (전)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 실장* (전) 에너지관리공단 자발적협약 자문위원
;기타 교외 활동
* (전) LG화학 사외이사
* (전) POSCO 전문교수
* (전) 울산대학교 펠로우 프로페서(Fellow Professor)
* (전) 하얼빈공업대학(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자문교수(Consulting Professor)
* (전) 대만중원대학(Chung Yuan University) 석좌 겸임교수(Adjunct Chair Professor)
* (전) 교육인적자원부 Post BK 기획단 위원
*(전) LG화학 사외이사*(전) POSCO 전문교수*(전) 울산대학교 펠로우 프로페서(Fellow Professor)*(전) 하얼빈공업대학(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자문교수(Consulting Professor)*(전) 대만중원대학(Chung Yuan University) 석좌 겸임교수(Adjunct Chair Professor)*(전) 교육인적자원부 Post BK 기획단 위원 == '''주요 성과''' == ;;2024 [[세계 상위 1% 연구자|HCR]] 세계 상위 0.1% 선정;* 관련기사 : <뉴스H> 2025.01.14 [https://cms.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7002 고분자 분리막 기술 개발로 사회에 기여하는 세계 상위 0.1% 연구자, 이영무 교수];
;연구하는 총장<ref>[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key=201606011608477769 YTN사이언스 2016.06.01 "총장이라도 연구 예외일 수 없어"…연구하는 총장]</ref>
* 2016년 7월 미국 MSE Supplies 발표 '2016 재료공학분야 논문 최다인용 연구자 TOP 300'(THE 2016 LIST OF MOST CITED RESEARCHER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선정* 2016년 4월 세계 최초 고온저가습용 연로전지 분리막 개발, 네이처(Nature) 게재<ref>[http://news.donga.com/3/all/20160428/77821755/1 동아일보 2016.04.28 ‘네이처’에 논문 발표한 총장님]</ref>** 논문명 : ‘나노크랙 작동 자기가습 분리막(Nanocrack-regulated self-humidifying membranes)’
;깊은 전공지식과 글로벌 감각을 겸비한 한양인을 길러낸 교육자
* 학부와 대학원의 영어강의 확대 기여* 2013년 영어강의 Best Teacher 선정* 교수, 연구원, 변리사 등 후학 130여명 양성* 학부생에게 해외 연수 기회 부여* 대학원생의 연구 몰입 환경 조성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해 한양을 빛낸 연구자
* 분리막분야의 연구에서 World Class급 연구성과 창출* Science 2편, SCI논문 330여편, 피인용 1만3000회 이상* 국내외 특허 120여건 출원 및 등록* 글로벌 기업 해외 기술이전(Air Products)
;사랑을 실천하고 나눔을 확산한 따뜻한 봉사자
* 나눔 문화의 확산을 위한 나눔 교육 실시* 필리핀 테르나떼에 직접 개발한 분리막 정수기 보급<ref>[http://news.joins.com/article/8733124 중앙일보 2012.07.12 필리핀 시골에 ‘깨끗한 물의 행복’ 선사한 스승과 제자]</ref>
;한양 100년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행정가
* 교학부총장으로 LINC사업 및 CK-2사업 수주에 기여
* 산학협력단장으로 산학단 안정화, 연구비카드제 정착 기여
* 총무처장으로 Best HRD 우수기관 선정 등의 성과 창출
* 에너지공학과를 World Class Department로 육성
== '''수상 경력''' ==* 2018년 CES 2019 혁신상* 2012년 제8회 공학부문 경암학술상* 2010년 지식창조대상* 2010년 제1회 국가녹색기술대상 국무총리상* 2008년 미래를 만드는 우수과학자상* 2008년 과학기술부총리 표창* 2003년 한국막학회 제1회논문상* 2002년 과학의 날 대통령 표창* 2000년 신지식특허인상(특허청)교학부총장으로 LINC사업 및 CK-2사업 수주에 기여* 1997년 ~ 2000년 [[한양대학교]] 교수업적우수상 4년 연속 수상산학협력단장으로 산학단 안정화, 연구비카드제 정착 기여* 1994년 [[한양대학교]] 국제학술논문상 최우수상총무처장으로 Best HRD 우수기관 선정 등의 성과 창출* 1985년 미국 TAPPI 학회 우수논문 발표상에너지공학과를 World Class Department로 육성
=='''수상 경력'''== *2018년 CES 2019 혁신상*2012년 제8회 공학부문 경암학술상*2010년 지식창조대상*2010년 제1회 국가녹색기술대상 국무총리상*2008년 미래를 만드는 우수과학자상*2008년 과학기술부총리 표창*2003년 한국막학회 제1회논문상*2002년 과학의 날 대통령 표창*2000년 신지식특허인상(특허청)*1997년 ~ 2000년 [[한양대학교]] 교수업적우수상 4년 연속 수상*1994년 [[한양대학교]] 국제학술논문상 최우수상*1985년 미국 TAPPI 학회 우수논문 발표상 == '''연구 성과'''==
===차세대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의 핵심기술 개발<ref><뉴스H> 2022.01.05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4864 이영무 교수 공동연구팀, 저가 수소 생산기술로 수전해 기술 세대교체]</ref>===
* 이영무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이소영 박사팀은 최근 공동연구를 통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용 막전극접합체(MEA)를 개발했다.
* 연구진은 고분자 구조 내의 비표면적을 증대시켜 높은 이온 전도성과 알칼리 내구성을 갖는 플루오렌-피페리디늄계 음이온교환 소재(전해질막과 전극 바인더)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막전극접합체를 개발했다.
* 개발한 소재는 1000시간 이상의 월등히 뛰어난 내구성을 갖고, 세계 최고의 전지 성능인 7.68A/cm2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음이온교환 소재 대비는 약 6배, 고가의 상용 양이온교환막 수전해 기술(6A/cm2) 대비 약 1.2배의 성능이다.
* 연구결과는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IF=38.532, JCR 분야 상위 0.182%) 최신 호에 게재됐다. (논문명: High-performance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zers with a current density of 7.68 Acm-2 and durability of 1000h)
*이영무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이소영 박사팀은 최근 공동연구를 통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용 막전극접합체(MEA)를 개발했다.*연구진은 고분자 구조 내의 비표면적을 증대시켜 높은 이온 전도성과 알칼리 내구성을 갖는 플루오렌-피페리디늄계 음이온교환 소재(전해질막과 전극 바인더)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막전극접합체를 개발했다.*개발한 소재는 1000시간 이상의 월등히 뛰어난 내구성을 갖고, 세계 최고의 전지 성능인 7.68A/cm2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음이온교환 소재 대비는 약 6배, 고가의 상용 양이온교환막 수전해 기술(6A/cm2) 대비 약 1.2배의 성능이다.*연구결과는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IF=38.532, JCR 분야 상위 0.182%) 최신 호에 게재됐다. (논문명: High-performance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zers with a current density of 7.68 Acm-2 and durability of 1000h) == 교내언론 == * <뉴스H> 2019.10.01 [HYU High] 4차 산업혁명 선도하는 한양대의 대표 연구자 8인* <뉴스H> 2018.11.28 이영무 교수 연구팀, CES 2019 혁신상 수상
== '''각주''' ==
<references />
[[분류:교수]]
[[분류:총장]]
[[분류:에너지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