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식 홈페이지 http://one.hanyang.ac.kr 참고
=대학원=
 
*소속: 서울 대학원 유기나노공학과
*유형: 대학원
=학부(서울)=
 
*소속: 서울 [[공과대학]] 유기나노공학과
*유형: 서울 대학
==전공소개(전공안내서2020)==
[[전공안내서2020]]의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유기나노공학은 전통적인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고분자공학과 나노미터 수준의 작은 범위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현상들을 제어하여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나노공학을 접목한 융합학문입니다. *고분자란 유기화합물이 공유 결합으로 길게 연결된 물질로서 나노미터 범위의 크기를 갖습니다. 플라스틱이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익숙해져왔던 이 고분자 소재가 이제는 IT 기술, NT 기술, ET, BT와 접목되어 반도체와 이를 활용한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기기, 배터리, 태양전지 등의 에너지 변환기기, 그리고 비행기, 자동차 및 우주선 등에 적용되는 복합 소재와 친환경 소재까지 첨단 미래 산업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차세대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유기나노공학과는 이러한 첨단 과학 기술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미래형 공학 인재를 육성합니다.
===학과 소개 ===
*유기나노공학은 유기화학을 근간으로 하는 고분자공학과 나노크기의 작은 구조체에 관한 나노과학의 지식을 응용하는 나노공학을 접목하여 얻어지는 새로운 기능을 인간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융합학문입니다.
*특히 유기화합물을 공유 결합으로 길게 연결하여 분자량이 수 천 이상은 올리고머(oligomer), 1만 이상은 고분자(polymer)라 하는데 이들 또한 크기를 보면 수십~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입니다. 이와 같은 고분자와 나노기술의 접목으로 얻어지는 새로운 기능으로는 초고속 신호 처리, 고밀도화 기술, 고속/저소비 전력과 광전변환등의 정보통신기술(IT)에 관한 기능은 물론 나노 개질, 구조 강화, 수명 연장 등 재료 특성의 비약적인 향상에 관한기능, 나아가서 흡착, 촉매 작용, 분자 분별 및 인식 등의 바이오 기술에 관한 기능 등이 있습니다. 이를 기존 섬유나 고분자 산업에 응용하여 개발되는 스마트섬유소재, 웨어러블 기기용소재 등은 고기능성 신소재임과 동시에 환경저감을 돕는 다양하고도 중요한 소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고분자공학 및 분자시스템공학에 나노공학이 결합하여 차별화된, 새로운 융합 분야가 바로 유기나노공학입니다.
===학과 정보===
 
#총학생수 : 153명
#성비 : 남녀 3:1
#전화번호 : 02-2220-0490
#학과설립연도 : 1958
 
===특장점===
 #오랜 전통 + 미래형 전통과 미래 첨단산업을 잇는 학문
#*유기나노공학과는 50년이 넘는 역사를 거치며 깊이 있는 학문으로 성장했습니다. 섬유화학에서부터 고분자공학, 분자시스템을 아우르는 과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재학생들은 관련영역의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미래형 기술분야의 접목과 함께 유기나노공학과로 개칭된 이후, 나노 스케일의 유기 재료 ・소재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힘쓰고 있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지향적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창의적인 Team Project 활성화실무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유기나노공학과에서는 창의적 능력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에너지, 생체모방,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나노 재료의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팀을 구성해 아이디어를 모으고 구체화시키면서 실전적 인재 양성을 꾀하며, 협업을 통한 팀원의 자질을 배울 수 있습니다.
 
===커리큘럼===
|-
|학계・교육계
|국내외 대학교수 등
|-
|기타
===질의응답===
 
*한양대학교 유기나노공학과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유기나노공학과는 현재 8명의 교수와 함께 학부생 150여명, 대학원생 50여명이 창의적 융합기술 리더 양성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50년이 넘는 역사와 3,700여명의 졸업자를 배출한 전통은 유기나노공학과의 모태가 되며, 그동안 배출된 졸업생들은 다양한 산업체(고분자, 화학공업, 전자, 정보, 섬유 등)에서의 중추적인 역할과 함께 국내외 대학 또는 연구소에서 지도자 및 연구자로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연혁=
 
*1958년 02월 한양대학교 [[공과대학]]내에 입학정원 60명의 [[섬유화학과]] 설립으로 시작.
*1959년 02월 한양대학교 학부 증설에 따라, [[섬유공학과]]로 개칭, 입학정원은 120명으로 증원.
=[[기부]]=
 * 2019.04.08 섬유공학과 59학번 5백만원 기부
=교수=
* [[김병철]] 교수
** 연구분야 : 고분자유변학, 고성능 및 기능성 탄소소재
** 연구실 : [[고분자나노구조제어 연구실]]
** 02-2220-0494 / bckim@hanyang.ac.kr
* [[조창기김병철]] 교수** 연구분야 : 고분자유변학, 고성능 및 기능성 고분자 설계 및 합성탄소소재** 연구실 : [[기능성 고분자 설계 고분자나노구조제어 연구실]]** 02-2220-0497 0494 / cgchobckim@hanyang.ac.kr
* [[정성훈조창기]] 교수** 연구분야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섬유, 유무기 나노 소재/공정, 스마트 텍스타일기능성 고분자 설계 및 합성** 연구실 : [[스마트 유기 소재 기능성 고분자 설계 연구실]]** 02-2220-0498 0497 / shjeongcgcho@hanyang.ac.kr
* [[김성훈 (공과대학)|김성훈정성훈]] 교수** 연구분야 : 고분자 재료 및 가공염료감응형 태양전지섬유, 고성능 고분자 복합재료유무기 나노 소재/공정, 전도성 고분자스마트 텍스타일** 연구실 : [[유기나노가공 스마트 유기 소재 연구실]]** 02-2220-0496 0498 / kimshshjeong@hanyang.ac.kr
* [[정재윤김성훈 (공과대학)|김성훈]] 교수** 연구분야 : 복합기능성 색소의 설계고분자 재료 및 가공, 합성 및 응용고성능 고분자 복합재료, 전도성 고분자** 연구실 : [[기능성파이소재 유기나노가공 연구실]]** 02-2220-0492 0496 / jjy1004kimsh@hanyang.ac.kr
* [[안희준정재윤]] 교수** 연구분야 : 수퍼 커패시터복합기능성 색소의 설계, 소프트리소그라피, 전기수력학적 분사인쇄법을 이용한 나노 패터닝합성 및 응용** 연구실 : [[표면 과학 기능성파이소재 연구실]]** 02-2220-0499 0492 / ahnjjy1004@hanyang.ac.kr
* [[한태희(유기나노공학과)|한태희안희준]] 교수** 연구분야 : 자기조립기반 나노소재제작과 응용수퍼 커패시터, 소프트리소그라피, 전기수력학적 분사인쇄법을 이용한 나노 패터닝** 연구실 : [[기능성하이브리드나노소재 표면 과학 연구실]]** 02-2220-0493 0499 / thanahn@hanyang.ac.kr
*[[한태희(유기나노공학과)|한태희]] 교수**연구분야 : 자기조립기반 나노소재제작과 응용**연구실 : [[기능성하이브리드나노소재 연구실]]**02-2220-0493 / than@hanyang.ac.kr * [[박희준]] 교수** 연구분야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연구실 : [[전자 소재 및 소자 연구실]]** 02-2220-0495 / huijoon@hanyang.ac.kr
===명예교수===
 * [[임승순]] 교수* [[최영엽]] 교수* [[송석규]] 교수* [[김진우]] 교수
[[분류:유기나노공학과]]

편집

27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