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소속 : 서울 공과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부
홈페이지 : <nowiki>https://hyds.hanyang.ac.kr/</nowiki>
== 목차 ==
* 1. 전공소개** 1.1 학과 소개** 1.2 학과 정보** 1.3 특징(연혁)** 1.4 커리큘럼* 2. 진로* 3. 교수진
==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5에서 발췌
=== 학과 소개 ===
* 인공지능은 지능이 필요한 게임 영역에서 인간보다 앞서 나가고 있으며 음성인식데이터는 어디든지 존재하며, 얼굴인식 분야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얼마나 더 발전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진화하고 소프트웨어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사람의 지능을 넘어서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 한양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학부는 이러한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과학과 뇌과학을 연구하는 교육연구하는 학부입니다. 데이터사이언스학부는 탄탄한 소프트웨어 개발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과 연구기회를 제공합니다.* 데이터사이언스전공 : 데이터와 “계산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새로운 데이터 소스(예: 아두이노스, 3D 프린팅, 마이크로 전자 장치, 가상 현실)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화형 시스템을 만들며, “데이터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심리뇌과학전공 : 뇌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물리학, 수학, 공학기술의 발전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뇌과학은 과학기술의 많은 분야가 융합이 이루어지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특히, 뇌에 대한 연구는 보다 혁신적인 인공지능 시스템의 개발에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뇌의 인지적 기능의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컴퓨터 공학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2021년 새롭게 신설된 한양대학교 심리 뇌과학과는 뇌에 대한 다양한 연구 중 기억 및 학습, 의사결정, 정보의 처리와 같은 인간의 고위 인지기능을 이해함으로써 이를 인공지능, 인간-컴퓨터 상호작용과 같은 분야에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 학과 정보 ===
# 총학생수 : 250명 (2024년 기준)# 전화번호 : 02-2220-2341# 행정실 대표 메일 : bksj0718@hanyang.ac.kr# 학과설립연도 : 2020
=== 특징 ===
2020년도에 데이터사이언스전공이 신설되었고 그 다음 해인 2021년도에 심리뇌과학전공이 신설되면서 2022년도, 두 전공이 병합된 데이터사이언스학부가 설립되었고 해당 연도부터 공과대학에 소속되었습니다.
수업은 대부분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로 진행되며, 전공 수업은 영어로 운영되고 이는 글로벌 사회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 커리큘럼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진로 ===
데이터사이언스 전공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습니다. 주로 IT 기업, 금융권, 의료/바이오 산업, 제조업에서 직무를 수행합니다. 학부를 마치고 바로 취업할 수 있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데이터사이언스 학문에 대한 더 심화적인 내용을 공부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
|기업계
|소프트웨어 데이터 처리, 분석, 활용, 의사 결정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IT 서비스 기업 등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관리 직군,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인공지능/머신러닝 엔지니어 등
|-
|금융권기술분야|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관리 직군데이터애널리스트, 금융 데이터 전문가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데이터엔지니어 등
|-
|공공・정부기관
|중앙 및 지방정부 기술직 공무원(전산직, 데이터 분석 등), 공기업 기술직 등
|-
|기타
|스타트업 창업, 연구원 등
|}
=== 교수진 ===
{| class="wikitable"
|+1)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