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23 바이트 제거됨 ,  17일 전
서울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 연락처 ==* 회사: 02-2220-0851* FAX:02-2281-4554 * jjlee@hanyang.ac.kr
*회사: 02-2220-0851
*FAX:02-2281-4554
*jjlee@hanyang.ac.kr
== 학력사항 Education ==
* 1983. 3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입학.
* 1987. 2 동 대학 졸업 (문학사).
* 1987. 3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대학원 입학.
* 1991. 2 동 대학원 졸업 (문학석사)
* 1992. 8 University of Iowa.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
* 1995. 5 동 대학원 졸업 (M.A.)
* 1995. 8 Southern Illinois Univ.-Carbondale. 대학원 박사과정 입학.
* 1998. 8.동 대학원 졸업 (Ph.D).
== 경력사항 Work Experience 학력사항 Education==
=== 교내=== * 1999 - 현재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83. 3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입학.* 2016 – 2018 한양대 입학전형 공정관리위원회 위원* 2014 – 2018 한양대 기관생명윤리위원회1987. 2 동 대학 졸업 (IRB문학사) 위원.* 2016 - 현재 한양대 교원 인재선발관1987. 3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대학원 입학.* 2009 - 2015 한양대 정책학과 겸직교수1991. 2 동 대학원 졸업 (문학석사)* 2013 - 2014 일본 Bukkyo 1992. 8 University 방문교수of Iowa.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 2009 - 2013 <한대신문> 편집인 겸 주간1995. 5 동 대학원 졸업 (M.A.)* 2011 1995. 8 Southern Illinois Univ.- 2013 한양대 교육방송국 주간Carbondale. 대학원 박사과정 입학.* 2007 - 2012 한양대 기관생명윤리위원회1998. 8.동 대학원 졸업 (IRBPh.D) 위원* 2010 - 2012 한양대 방송통신미디어MBA 과정 공동주임* 2011 한양대 교원입학사정관* 2008 - 2010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학과주임* 2006 - 2007 미국 University of Oregon 방문교수* 2003 - 2005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학과장* 2008 - 2009 <한양대학보> 논설위원.
==경력사항 Work Experience= 교외 === * 2020 – 현재 인터넷신문위원회 광고심의분과위원장* 2018 – 현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2017 – 현재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2017 – 현재 시청자미디어재단 장애인방송시청보장위원회 위원 * 2016 – 현재 방송통신위원회 ‘방송광고산업활성화전문위원회’ 전문위원 * 2014 –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용역심의소위원회 위원 * 2014 – 2018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 위원* 2009 - 2018 법원행정처 전문심리위원* 2016, 2017 한국편집기자협회 편집대상 심사위원장* 2015 – 2017 MBC <공정성 위원회> 위원* 2015 – 2017 SBS <미디어 경제와 문화> 편집위원장* 2014 – 2016 문화체육관광부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위원* 2013 - 2014 EBS 경영평가위원* 2012 - 2014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 전문위원(RB)* 2012 – 2013 방송협회 미래방송연구위원회 자문위원* 2009 - 2011 방송통신심의위원회(KCSC) 위원(비상임)* 2010 - 2011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명예훼손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0, 201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심사위원* 2011, 2012 한국방송카메라기자 대상 심사위원장* 2008 - 2009 MBC 시청자 평가원* 2011 언론중재위원회 선거기사심의위원회 위원* 2011 의치학교육적성시험(MEET/DEET) 출제위원* 2011 약학교육적성시험(PEET) 출제위원* 2011 인터넷신문윤리강령 제정위원회 위원* 2009 2010 수학능력시험 모의고사 출제위원* 2008 2009 법학적성시험(LEET) 출제위원 * 2008 - 2009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 심사위원* 2002 - 2005 서울신문 명예논설위원* 2004 - 2006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위원* 2004 - 2006 서울특별시 선관위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1999 - 2014 한국언론재단 언론인 기본연수 강사(언론법/윤리 강의)* 2000 한국기자협회 총선보도 자문교수단* 2000 중앙일보 옴부즈만 칼럼 집필* 2001-2003 경향신문 미디어비평 칼럼 집필* 2003-2004 서울신문(구 대한매일) 편집자문위원 칼럼 집필* 2003-2005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편집위원* 2003-2004 한국일보 “아침을 열며” 칼럼 집필* 1998 - 현재 강의(국민대, 서울대, 이화여대, 연세대) * 1996 - 1998 연구조교, Southern Illinois Univ.-Carbondale * 1997 - 1998 한국언론연구원 해외통신원* 1994 - 1995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편집위원, Univ. of Iowa* 1987 - 1988 군복무
== 동정 =교내===* 2018년 10월 한국언론학회 제45대 회장* 2017년 4월 언론중재위원회 제7중재부 중재위원* 2017년 1월 한국언론법학회 제9대 회장
*1999 - 현재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16 – 2018 한양대 입학전형 공정관리위원회 위원
*2014 – 2018 한양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위원
*2016 - 현재 한양대 교원 인재선발관
*2009 - 2015 한양대 정책학과 겸직교수
*2013 - 2014 일본 Bukkyo University 방문교수
*2009 - 2013 <한대신문> 편집인 겸 주간
*2011 - 2013 한양대 교육방송국 주간
*2007 - 2012 한양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위원
*2010 - 2012 한양대 방송통신미디어MBA 과정 공동주임
*2011 한양대 교원입학사정관
*2008 - 2010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학과주임
*2006 - 2007 미국 University of Oregon 방문교수
*2003 - 2005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학과장
*2008 - 2009 <한양대학보> 논설위원
== 수상 Awards =교외===
* 2016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 등재* 2011 한양대학교 출판부 우수학술도서 선정(표현2025 - 현재 2025 SBS 시청자위원회 위원장<ref><뉴스H> 2025.03.31 [https://cms.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8190 이재진 교수,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 2010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2009 제8회 철우언론법상 수상(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2007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언론 자유와 인격권)* 2006 한국방송학회 학술상(언론 자유와 인격권)* 2006 강의 우수교원 포상 * 2003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한국 언론윤리법제의 현실과 쟁점)* 2000 한국언론학회 우당 신진학자 논문상(Libel Law and the Press) * 2000 연구업적 우수교원 포상* 2000 우수수업계획서 포상* 1998 Dissertation Research Award Fellowship,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 (SIUC) * 1997, 1998 Outstanding Graduate Student Award, School of Journalism, SIUC * 1994 Kappa Tau Alpha (KTA) national honor society invitation * 1990 방송위원회 우수 논문상* 1987 서울대학교 우등 졸업 2025 SBS 시청자위원회 위원장 선임]</ref>
*2020 – 현재 인터넷신문위원회 광고심의분과위원장
*2018 – 현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2017 – 현재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2017 – 현재 시청자미디어재단 장애인방송시청보장위원회 위원
*2016 – 현재 방송통신위원회 ‘방송광고산업활성화전문위원회’ 전문위원
*2014 –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용역심의소위원회 위원
*2014 – 2018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 위원
*2009 - 2018 법원행정처 전문심리위원
*2016, 2017 한국편집기자협회 편집대상 심사위원장
*2015 – 2017 MBC <공정성 위원회> 위원
*2015 – 2017 SBS <미디어 경제와 문화> 편집위원장
*2014 – 2016 문화체육관광부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위원
*2013 - 2014 EBS 경영평가위원
*2012 - 2014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 전문위원(RB)
*2012 – 2013 방송협회 미래방송연구위원회 자문위원
*2009 - 2011 방송통신심의위원회(KCSC) 위원(비상임)
*2010 - 2011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명예훼손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0, 201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심사위원
*2011, 2012 한국방송카메라기자 대상 심사위원장
*2008 - 2009 MBC 시청자 평가원
*2011 언론중재위원회 선거기사심의위원회 위원
*2011 의치학교육적성시험(MEET/DEET) 출제위원
*2011 약학교육적성시험(PEET) 출제위원
*2011 인터넷신문윤리강령 제정위원회 위원
*2009 2010 수학능력시험 모의고사 출제위원
*2008 2009 법학적성시험(LEET) 출제위원
*2008 - 2009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 심사위원
*2002 - 2005 서울신문 명예논설위원
*2004 - 2006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위원
*2004 - 2006 서울특별시 선관위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1999 - 2014 한국언론재단 언론인 기본연수 강사(언론법/윤리 강의)
*2000 한국기자협회 총선보도 자문교수단
*2000 중앙일보 옴부즈만 칼럼 집필
*2001-2003 경향신문 미디어비평 칼럼 집필
*2003-2004 서울신문(구 대한매일) 편집자문위원 칼럼 집필
*2003-2005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편집위원
*2003-2004 한국일보 “아침을 열며” 칼럼 집필
*1998 - 현재 강의(국민대, 서울대, 이화여대, 연세대)
*1996 - 1998 연구조교, Southern Illinois Univ.-Carbondale
*1997 - 1998 한국언론연구원 해외통신원
*1994 - 1995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편집위원, Univ. of Iowa
*1987 - 1988 군복무
== 학회 및 관련 활동 Affiliation and Other Activities 동정==
* 2018 – 2019 2018년 10월 한국언론학회 제45대 회장* 2018 – 현재 한국언론법학회 고문* 2017 – 2018 한국언론학회 차기회장2017년 4월 언론중재위원회 제7중재부 중재위원* 2016 – 2018 2017년 1월 한국언론법학회 제9대 회장* 2015 – 2017 한국언론학회 언론법제윤리연구회 회장* 2013 - 2016 한국언론법학회 부회장, 차기회장* 2014 – 2015 연구재단 등재지 <언론과 법> 편집위원장(언론법학회)* 2014 – 2016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이사* 2007 - 2012 한국언론법학회 연구이사* 2009 - 2011 한국법정책학회 홍보이사* 2008 - 2009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2008 - 2010 한국방송학회 편집위원* 2008 - 2009 한국언론정보학회 편집위원* 2007 - 2008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2004 - 2005 한국방송학회 편집위원 * 2001 - 2002 한국방송학회 편집위원* 2004 - 2006 한국언론법학회 편집이사* 2002 - 2004 한국언론법학회 총무이사* 2003 - 2004 한국언론정보학회 홍보이사* 2000 - 2001 한국언론학회 이사* 1999 - 현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법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방송학회* 1992 - 현재 AEJMC, ICA, IAMCR
== 연구사항 Research 수상 Awards==
=== 저서 ===*2016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 등재* 이재진 (2018). <언론과 공인>. 한양대 2011 한양대학교 출판부. * 문재완 등 14인 우수학술도서 선정(2017). <미디어와 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한영학ㆍ이재진(공역)(2017). <미디어 자유는 기본권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재진(2015). <한국의 언론 ADR의 현실과 쟁점>. 서울: 컬처룩. * 이재진(2013). <미디어 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재진(2013). <미디어 윤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재진ㆍ이정기(2011).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 서울: 한양대 출판부.)* 강내원 외 12인(2010).<저널리즘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이재진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2009). <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서울: 한나래.* 류춘렬ㆍ이병혜ㆍ이재진(공편)(2009). <미디어 산업을 넘어 경쟁력 있는 사회>. 한반도선진화재단. * 이재진 외 14인(2009).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한나래.* Lee, J. 제8회 철우언론법상 수상(2008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The Right of Correction" & "The Right of Reply," in vol.10.,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London: Blackwell. * 박조원ㆍ이재진ㆍ이승선(2008). <간행물 납본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재진ㆍ이원(2007). <미국과 프랑스의 디지털 전환 특별법>. 서울: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언론 자유와 인격권)방송위원회. * 이재진2006 한국방송학회 학술상(2006). <언론 자유와 인격권>. 서울: 한나래.)* 김영석ㆍ김재영ㆍ박선영ㆍ성선제ㆍ이재진ㆍ황용석 (2004). <인터넷언론과 법>. 서울: 언론재단.2006 강의 우수교원 포상* 이재진2003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2003한국 언론윤리법제의 현실과 쟁점). <언론과 명예훼손 소사전>. 서울: 나남.* 이재진 2000 한국언론학회 우당 신진학자 논문상(2002Libel Law and the Press). <한국언론윤리법제의 현실과 쟁점>. 서울: 한양대 출판부.* 이재진 외 14인(2001).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한나래.2000 연구업적 우수교원 포상* 이구현ㆍ이재진(2001). <언론소송 10년의 판례연구>. 서울: 한국언론재단.2000 우수수업계획서 포상* 이재진(2001). 미국-언론자유 천국도 책임1998 Dissertation Research Award Fellowship, 의무 다해야. <신문개혁을 위한 각국 법제 비교>. 서울: 언론개혁시민연대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 (10인 공저SIUC), 75-85.* 이재진(2001). 언론윤리 제고방안. <신문개혁 이렇게 합시다>. 서울: 언론개혁시민연대1997, 1998 Outstanding Graduate Student Award, (15인 공저)School of Journalism, 179-194 SIUC* 이재진1994 Kappa Tau Alpha (1999KTA). 명예훼손법 상의 공인과 언론에 나타난 공인의 개념적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 저널리즘과 언론사상>. 서울: 나남 (20인 공저), 483-510. national honor society invitation*1990 방송위원회 우수 논문상*1987 서울대학교 우등 졸업
==학회 및 관련 활동 Affiliation and Other Activities== *2018 – 2019 한국언론학회 회장*2018 – 현재 한국언론법학회 고문*2017 – 2018 한국언론학회 차기회장*2016 – 2018 한국언론법학회 회장*2015 – 2017 한국언론학회 언론법제윤리연구회 회장*2013 - 2016 한국언론법학회 부회장, 차기회장*2014 – 2015 연구재단 등재지 <언론과 법> 편집위원장(언론법학회)*2014 – 2016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이사*2007 - 2012 한국언론법학회 연구이사*2009 - 2011 한국법정책학회 홍보이사*2008 - 2009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2008 - 2010 한국방송학회 편집위원*2008 - 2009 한국언론정보학회 편집위원*2007 - 2008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2004 - 2005 한국방송학회 편집위원*2001 - 2002 한국방송학회 편집위원*2004 - 2006 한국언론법학회 편집이사*2002 - 2004 한국언론법학회 총무이사*2003 - 2004 한국언론정보학회 홍보이사*2000 - 2001 한국언론학회 이사*1999 - 현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법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방송학회*1992 - 현재 AEJMC, ICA, IAMCR  ==연구사항 Research== ===저서=== *이재진 (2018). <언론과 공인>. 한양대 출판부.*문재완 등 14인 (2017). <미디어와 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한영학ㆍ이재진(공역)(2017). <미디어 자유는 기본권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이재진(2015). <한국의 언론 ADR의 현실과 쟁점>. 서울: 컬처룩.*이재진(2013). <미디어 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이재진(2013). <미디어 윤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이재진ㆍ이정기(2011).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 서울: 한양대 출판부.*강내원 외 12인(2010).<저널리즘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이재진(2009). <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서울: 한나래.*류춘렬ㆍ이병혜ㆍ이재진(공편)(2009). <미디어 산업을 넘어 경쟁력 있는 사회>. 한반도선진화재단.*이재진 외 14인(2009).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한나래.*Lee, J. (2008). "The Right of Correction" & "The Right of Reply," in vol.10.,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London: Blackwell.*박조원ㆍ이재진ㆍ이승선(2008). <간행물 납본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재진ㆍ이원(2007). <미국과 프랑스의 디지털 전환 특별법>. 서울: (구)방송위원회.*이재진(2006). <언론 자유와 인격권>. 서울: 한나래.*김영석ㆍ김재영ㆍ박선영ㆍ성선제ㆍ이재진ㆍ황용석 (2004). <인터넷언론과 법>. 서울: 언론재단.*이재진(2003). <언론과 명예훼손 소사전>. 서울: 나남.*이재진 (2002). <한국언론윤리법제의 현실과 쟁점>. 서울: 한양대 출판부.*이재진 외 14인(2001).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한나래.*이구현ㆍ이재진(2001). <언론소송 10년의 판례연구>. 서울: 한국언론재단.*이재진(2001). 미국-언론자유 천국도 책임, 의무 다해야. <신문개혁을 위한 각국 법제 비교>. 서울: 언론개혁시민연대(10인 공저), 75-85.*이재진(2001). 언론윤리 제고방안. <신문개혁 이렇게 합시다>. 서울: 언론개혁시민연대, (15인 공저), 179-194*이재진(1999). 명예훼손법 상의 공인과 언론에 나타난 공인의 개념적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 저널리즘과 언론사상>. 서울: 나남 (20인 공저), 483-510.  === 논문 ===
학위논문>
 * "Press Freedom, the Press Arbitration System, and Sociopolitical Changes in South Korea: 1981-1996." Ph.D. dissert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Carbondale, 1998.* "Korean Libel Laws in Transition: 1981-1993." M.A. thesis, University of Iowa, 1995. * 언론자유와 인격권의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1.
전문학술지 논문(연구재단 등재지)>
* 이재진ㆍ진승현 (2018). 공인에 대한 언론사와 언론인의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7권 1호, 1-50.
* 이재진 (2018). 초창기 언론법제 연구와 장용 교수의 기여에 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55권 1호, 195-229.
* 박현아ㆍ이재진(2018). 온라인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101호(겨울호), 123-152.
* 이정기ㆍ이재진 (2017).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 보호 현황과 한계에 관한 연구 - 진정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법>, 16권 2호, 35-73.
* 진승현ㆍ이영희ㆍ박성순ㆍ이재진 (2017). 장애인 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6권 1호, 133-174.
* 이영희ㆍ이재진 (2017). 문화·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장애인차별금지법 비교 연구 : 영화접근권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권 4호, 255-285.
* 박현아ㆍ이재진(2016). 게임중독 규제법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7-33.
* 최진호ㆍ이재진(2016). 선거보도 심의 및 심의기구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언론과 법>, 15권 2호, 1-35.
* 박현아ㆍ이재진(2016). 온라인 MMORPG 약관의 아이템 현금거래 금지 조항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5권 1호, 143-182.
* 김상우ㆍ이재진(2015). 언론중재위원회 손해배상 제도의 기능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법』, 14권 3호, 173-211.
* 이재진ㆍ박성순(2015). 언론법제 연구의 어제와 오늘: 〈언론중재〉지 30년의 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11권 3호, 213~260.
* 이정기ㆍ이재진(2015). ‘피해자 특정’ 문제에 있어 언론의 자유와 제한에 관한 탐색, 『언론과 법』, 14권 2호, 1~36.
* 이영희ㆍ진승현ㆍ정삼희ㆍ이재진(2015).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방송편성의 개선방안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6권 2호, 37~83. |
* 이재진ㆍ동세호(2015). 방송 관련 초상권 침해 소송에서 나타난 ‘동의’의 적용 법리에 대한 연구. 『언론과 법』, 14권 1호, 101~148.
* 이재진ㆍ이영희(2015). 매체이용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서비스의 법제도적 현실과 개선점. 『미디어 경제와 문화』, 13권 1호, 54~100.
* 이재진ㆍ최진호(2015). 언론사 간 명예훼손 소송에서 나타난 법원의 언론비평 및 언론사의 지위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 연구. 『언론과 사회』, 23권 1호, 138.
* 이재진ㆍ이홍천(2014). 일본 방송심의제도의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법』, 13권 2호, 59~91.
* 이정기ㆍ이재진(2014). 영화의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151~182.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egal Principles of Expression and Restriction in Film : With a Focus on Precedents of an Injunction Filed against Film Screen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8(3), 151-182.
* 이재진ㆍ이영희(2013). 음악·영상저작물의 동일성유지권 침해 판단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11권 3호, 121~174.
* Jae-Jin Lee & Yoonmo Sang(2013). How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ompeting interests on the Internet. 『언론과 법』,12권 1호, 185~215.
* 이재진ㆍ김보람(2012). 비정치적 방송 내용 심의를 위한 기준 설정의 필요성 연구. 『언론과 법』, 11권 2호, 151~184.
* 이재진ㆍ이정기(2012). 인터넷 포털의 임시차단 조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6권 3호, 51~84.
* 이재진ㆍ박현아(2012). 온라인 MMORPG와 웹 MMORPG의 약관에 대한 비교분석. 『언론과 법』, 11권 1호, 125~164.
* 이재진ㆍ박성순(2012). 지상파방송사업자와 유료방송사업자 간 방송 분쟁에 대한 법적 판단 기준에 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10권 2호, 7~51.
* 이재진ㆍ박성순(2012). 언론의 오래된 기사로 인한 피해 구제근간으로서 잊혀질 권리에 대한 연구. 『정보법학』,16권 1호, 61~91.
* 이재진ㆍ이정기(2011). 한국과 중국 명예훼손법상의 ‘공인’ 개념에 관한 비교 연구. 『언론과 법』, 10권 2호, 237~277.
* 이승선ㆍ이재진(2011). 언론법제 연구의 최근 동향분석. 『언론과 법』, 10권 1호, 153~188.
* 이재진ㆍ이정기(2011). 초ㆍ중ㆍ고교 교원의 정치적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국선언'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4권, 32~57.
* 이재진ㆍ유승관(2010). ‘집시법’상의 야간옥외집회 관련 조항에 관한 신문보도 경향과 프레임 연구. 『언론과 법』, 9권 2호, 30~55.
* 이재진ㆍ이정기(2010). 인터넷 논객의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4권 5호, 59~85.
* 이재진ㆍ이창훈(2010). 법원과 언론의 공인 개념 및 입증책임에 대한 인식적 차이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8권 3호, 235~286.
* 이재진ㆍ이정기(2009). 표현 수단으로서의 1인 시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언론과학연구』, 9권 4호, 603~638.
* 이재진ㆍ김상우ㆍ상윤모(2008). 인터넷상의 반론권 적용에 대한 비판적 이해. 『언론과 법』, 7권 2호, 105~133.
* 이재진ㆍ이희영(2008). 한국 대법원의 음란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6권 3호(여름), 79~132.
* 이재진(2008). 언론의 파수견 개념의 발전과 적용.『한국언론정보학보』, 41호, 108~144.
* 이재진ㆍ이승선(2008). 언론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언론과 법』, 7권 1호, 105~133.
* 이재진ㆍ구본권(2008). 인터넷상의 지속적 기사 유통으로 인한 피해의 법적 쟁점. 『한국방송학보』, 22권 3호, 172~212.
* 이재진ㆍ상윤모(2008). 매개된 뉴스로 인한 인격권 침해의 구제방안 연구.『방송연구』, 13권 1호, 265~296.
* 이재진ㆍ박성복(2007). UCC의 방송저작권 침해에 대한 고찰. 『방송연구』, 12권 2호, 59~82.
* 이재진ㆍ정영주(2007). 명예훼손 소송에 나타난 기업의 공익성 요건에 대한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8권 2호, 156~192.
* 이재진(2007). 인터넷에서의 모욕죄 적용의 실태와 쟁점.『한국방송학보』, 21권 5호, 127~164.
* 이재진(2006). An Overview on the Korean Media Law Education for the Last 50 Years. 『언론과 법』, 5권 2호, 169~194.
* 이재진(2006). 표현으로서의 광고의 보호 정도에 대한 탐구: 인격권 관련 판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2호, 133~167.
* 이재진ㆍ이민주(2006). 1920년대 일제 '문화정치' 시기의 법치적 언론통제의 폭압적 성격에 대한 재조명.『한국언론학보』, 50권 1호, 131~161.
* 이재진ㆍ정영주(2005). 유료방송시장의 공정거래 위반 사례 분석을 통한 현행 규제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3/4호(가을), 113~155.
* 李在鎭ㆍ鄭榮珠ㆍ李在鎬(2005). 企業と世論に關硏究: 韓國企業の名譽毁損訴訟を中心に. 『星城大學硏究紀要』 2호, 121~142.
* 이재진(2005). 언론윤리에 대한 언론과 사법부 간의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방송과 커뮤니케이션』, 6권 1호, 6~32.
* 이재진(2005). 저널리즘 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권 1호, 231~246.
* 이재진(2004). 연예인 관련 언론소송에서 나타난 한ㆍ미간의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보』18권 3호, 7~50.
* 이재진(2004).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재고찰. 『언론과 법』3권 1호, 121~160.
* 이재진ㆍ유재웅(2004). 언론중재제도의 조정전치 기능에 대한 재고찰. 『한국언론학보』, 48권 2호, 267~293.
* 이재진ㆍ최민욱(2004). IMC 연구의 체계적 이론 모델 구성을 위한 비판적 탐색. 『한국언론정보학회』, 24권 1호, 119~150.
* 이재진(2003). 사이버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의 분쟁해결 방식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22권 2호(통권57호), 235~270.
* 이재진ㆍ고영신(2003). 통신기사 인용과 면책항변에 관한 연구.『언론과 사회』, 11권 3/4호, 108~143.
* 이재진ㆍ이성훈(2003). 명예훼손 소송의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공익성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20권 4호, 141~176.
* 이재진(2003). 방송에서의 공인의 의미에 대한 법제론적고찰: 명예훼손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권 1호, 107~144.
* 이재진ㆍ김영수(2002). 방송의 공익성과 미디어렙 제도에 관한 연구.『방송연구』, 53, 213~238.
* 이재진(2002). 사생활 침해 판례에서 나타난 면책사유의 가상공간에서의 적용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16권 4호, 246~278.
* 이재진(2002). 언론자유와 명예권의 갈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10권 2호, 73~110.
* Lee, J. & Lee, S. (2001). The right of reply system for the last two decades in South Korea.『한국언론학보』(special edition), 395~411.
* 이재진(2001). 방송금지 가처분제도에 대한 이론적 탐색.『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호, 201~230.
* 이재진(2001). 저널리즘 구성요소로서의 카툰의 정치적 기능과 표현의 한계.『한국언론학보』, 45권 4호, 412~452.
* 이재진(2001).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와 규제에 대한 비교법제론적 연구.『한국방송학보』15권 2호, 303~342.
* 이재진(2000). 가상공간에서의 혐오언론의 문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6호, 104~146.
* 이재진(2000). 방송관련 명에훼손 판레에 있어 '진실성'과 '공익성'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호, 188~226.
* Lee, J. (1999). Libel law and the press: Struggle of the Korean press to establish public person privilege against libel litigation. Gazette, 61 (5), 433-446.
* Lee, J. (1999). The Korean press: Establishing 'Public Person' as a safeguard against libel suits. Media Asia, 26 (1), 11-17.
* 이재진(1999). 명예훼손법 상의 공인과 언론에서 나타난 공인의 개념적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3권 4호, 5~34.
* Lee, J. (1998). Freedom of the press and right of reply under the contemporary Korean libel laws: A comparative analysis. UCLA Pacific Basin Law Journal, 16(2), 155~197,
* Lee, J. (1997). Understanding hate speech as a communication phenomenon: Another view on campus speech code issues. Communications and the Law, 19(2), 55~77.
* Lee, J. (1997). Social changes and libel laws in Korea: A Critical Review. Sungkok Journalism Review, 8(1), 85~118.
* 이재진ㆍ김형곤ㆍ이강형(1990). 텔레비전 뉴스의 정치보도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31권 4호, 239~278.
*이재진ㆍ진승현 (2018). 공인에 대한 언론사와 언론인의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7권 1호, 1-50.*이재진 (2018). 초창기 언론법제 연구와 장용 교수의 기여에 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55권 1호, 195-229.*박현아ㆍ이재진(2018). 온라인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101호(겨울호), 123-152.*이정기ㆍ이재진 (2017).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 보호 현황과 한계에 관한 연구 - 진정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법>, 16권 2호, 35-73.*진승현ㆍ이영희ㆍ박성순ㆍ이재진 (2017). 장애인 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6권 1호, 133-174.*이영희ㆍ이재진 (2017). 문화·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장애인차별금지법 비교 연구 : 영화접근권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권 4호, 255-285.*박현아ㆍ이재진(2016). 게임중독 규제법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7-33.*최진호ㆍ이재진(2016). 선거보도 심의 및 심의기구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언론과 법>, 15권 2호, 1-35.*박현아ㆍ이재진(2016). 온라인 MMORPG 약관의 아이템 현금거래 금지 조항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 『언론과 법』, 15권 1호, 143-182.*김상우ㆍ이재진(2015). 언론중재위원회 손해배상 제도의 기능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법』, 14권 3호, 173-211.*이재진ㆍ박성순(2015). 언론법제 연구의 어제와 오늘: 〈언론중재〉지 30년의 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11권 3호, 213~260.*이정기ㆍ이재진(2015). ‘피해자 특정’ 문제에 있어 언론의 자유와 제한에 관한 탐색, 『언론과 법』, 14권 2호, 1~36.*이영희ㆍ진승현ㆍ정삼희ㆍ이재진(2015).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방송편성의 개선방안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6권 2호, 37~83. |*이재진ㆍ동세호(2015). 방송 관련 초상권 침해 소송에서 나타난 ‘동의’의 적용 법리에 대한 연구. 『언론과 법』, 14권 1호, 101~148.*이재진ㆍ이영희(2015). 매체이용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서비스의 법제도적 현실과 개선점. 『미디어 경제와 문화』, 13권 1호, 54~100.*이재진ㆍ최진호(2015). 언론사 간 명예훼손 소송에서 나타난 법원의 언론비평 및 언론사의 지위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 연구. 『언론과 사회』, 23권 1호, 138.*이재진ㆍ이홍천(2014). 일본 방송심의제도의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법』, 13권 2호, 59~91.*이정기ㆍ이재진(2014). 영화의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151~182.*An Exploratory Study on the Legal Principles of Expression and Restriction in Film : With a Focus on Precedents of an Injunction Filed against Film Screen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8(3), 151-182.*이재진ㆍ이영희(2013). 음악·영상저작물의 동일성유지권 침해 판단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11권 3호, 121~174.*Jae-Jin Lee & Yoonmo Sang(2013). How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ompeting interests on the Internet. 『언론과 법』,12권 1호, 185~215.*이재진ㆍ김보람(2012). 비정치적 방송 내용 심의를 위한 기준 설정의 필요성 연구. 『언론과 법』, 11권 2호, 151~184.*이재진ㆍ이정기(2012). 인터넷 포털의 임시차단 조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6권 3호, 51~84.*이재진ㆍ박현아(2012). 온라인 MMORPG와 웹 MMORPG의 약관에 대한 비교분석. 『언론과 법』, 11권 1호, 125~164.*이재진ㆍ박성순(2012). 지상파방송사업자와 유료방송사업자 간 방송 분쟁에 대한 법적 판단 기준에 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10권 2호, 7~51.*이재진ㆍ박성순(2012). 언론의 오래된 기사로 인한 피해 구제근간으로서 잊혀질 권리에 대한 연구. 『정보법학』,16권 1호, 61~91.*이재진ㆍ이정기(2011). 한국과 중국 명예훼손법상의 ‘공인’ 개념에 관한 비교 연구. 『언론과 법』, 10권 2호, 237~277.*이승선ㆍ이재진(2011). 언론법제 연구의 최근 동향분석. 『언론과 법』, 10권 1호, 153~188.*이재진ㆍ이정기(2011). 초ㆍ중ㆍ고교 교원의 정치적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국선언'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4권, 32~57.*이재진ㆍ유승관(2010). ‘집시법’상의 야간옥외집회 관련 조항에 관한 신문보도 경향과 프레임 연구. 『언론과 법』, 9권 2호, 30~55.*이재진ㆍ이정기(2010). 인터넷 논객의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4권 5호, 59~85.*이재진ㆍ이창훈(2010). 법원과 언론의 공인 개념 및 입증책임에 대한 인식적 차이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8권 3호, 235~286.*이재진ㆍ이정기(2009). 표현 수단으로서의 1인 시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언론과학연구』, 9권 4호, 603~638.*이재진ㆍ김상우ㆍ상윤모(2008). 인터넷상의 반론권 적용에 대한 비판적 이해. 『언론과 법』, 7권 2호, 105~133.*이재진ㆍ이희영(2008). 한국 대법원의 음란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6권 3호(여름), 79~132.*이재진(2008). 언론의 파수견 개념의 발전과 적용.『한국언론정보학보』, 41호, 108~144.*이재진ㆍ이승선(2008). 언론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언론과 법』, 7권 1호, 105~133.*이재진ㆍ구본권(2008). 인터넷상의 지속적 기사 유통으로 인한 피해의 법적 쟁점. 『한국방송학보』, 22권 3호, 172~212.*이재진ㆍ상윤모(2008). 매개된 뉴스로 인한 인격권 침해의 구제방안 연구.『방송연구』, 13권 1호, 265~296.*이재진ㆍ박성복(2007). UCC의 방송저작권 침해에 대한 고찰. 『방송연구』, 12권 2호, 59~82.*이재진ㆍ정영주(2007). 명예훼손 소송에 나타난 기업의 공익성 요건에 대한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8권 2호, 156~192.*이재진(2007). 인터넷에서의 모욕죄 적용의 실태와 쟁점.『한국방송학보』, 21권 5호, 127~164.*이재진(2006). An Overview on the Korean Media Law Education for the Last 50 Years. 『언론과 법』, 5권 2호, 169~194.*이재진(2006). 표현으로서의 광고의 보호 정도에 대한 탐구: 인격권 관련 판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2호, 133~167.*이재진ㆍ이민주(2006). 1920년대 일제 '문화정치' 시기의 법치적 언론통제의 폭압적 성격에 대한 재조명.『한국언론학보』, 50권 1호, 131~161.*이재진ㆍ정영주(2005). 유료방송시장의 공정거래 위반 사례 분석을 통한 현행 규제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3/4호(가을), 113~155.*李在鎭ㆍ鄭榮珠ㆍ李在鎬(2005). 企業と世論に關硏究: 韓國企業の名譽毁損訴訟を中心に. 『星城大學硏究紀要』 2호, 121~142.*이재진(2005). 언론윤리에 대한 언론과 사법부 간의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방송과 커뮤니케이션』, 6권 1호, 6~32.*이재진(2005). 저널리즘 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권 1호, 231~246.*이재진(2004). 연예인 관련 언론소송에서 나타난 한ㆍ미간의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보』18권 3호, 7~50.*이재진(2004).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재고찰. 『언론과 법』3권 1호, 121~160.*이재진ㆍ유재웅(2004). 언론중재제도의 조정전치 기능에 대한 재고찰. 『한국언론학보』, 48권 2호, 267~293.*이재진ㆍ최민욱(2004). IMC 연구의 체계적 이론 모델 구성을 위한 비판적 탐색. 『한국언론정보학회』, 24권 1호, 119~150.*이재진(2003). 사이버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의 분쟁해결 방식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22권 2호(통권57호), 235~270.*이재진ㆍ고영신(2003). 통신기사 인용과 면책항변에 관한 연구.『언론과 사회』, 11권 3/4호, 108~143.*이재진ㆍ이성훈(2003). 명예훼손 소송의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공익성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20권 4호, 141~176.*이재진(2003). 방송에서의 공인의 의미에 대한 법제론적고찰: 명예훼손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권 1호, 107~144.*이재진ㆍ김영수(2002). 방송의 공익성과 미디어렙 제도에 관한 연구.『방송연구』, 53, 213~238.*이재진(2002). 사생활 침해 판례에서 나타난 면책사유의 가상공간에서의 적용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16권 4호, 246~278.*이재진(2002). 언론자유와 명예권의 갈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10권 2호, 73~110.*Lee, J. & Lee, S. (2001). The right of reply system for the last two decades in South Korea.『한국언론학보』(special edition), 395~411.*이재진(2001). 방송금지 가처분제도에 대한 이론적 탐색.『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호, 201~230.*이재진(2001). 저널리즘 구성요소로서의 카툰의 정치적 기능과 표현의 한계.『한국언론학보』, 45권 4호, 412~452.*이재진(2001).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와 규제에 대한 비교법제론적 연구.『한국방송학보』15권 2호, 303~342.*이재진(2000). 가상공간에서의 혐오언론의 문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6호, 104~146.*이재진(2000). 방송관련 명에훼손 판레에 있어 '진실성'과 '공익성'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호, 188~226.*Lee, J. (1999). Libel law and the press: Struggle of the Korean press to establish public person privilege against libel litigation. Gazette, 61 (5), 433-446.*Lee, J. (1999). The Korean press: Establishing 'Public Person' as a safeguard against libel suits. Media Asia, 26 (1), 11-17.*이재진(1999). 명예훼손법 상의 공인과 언론에서 나타난 공인의 개념적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3권 4호, 5~34.*Lee, J. (1998). Freedom of the press and right of reply under the contemporary Korean libel laws: A comparative analysis. UCLA Pacific Basin Law Journal, 16(2), 155~197,*Lee, J. (1997). Understanding hate speech as a communication phenomenon: Another view on campus speech code issues. Communications and the Law, 19(2), 55~77.*Lee, J. (1997). Social changes and libel laws in Korea: A Critical Review. Sungkok Journalism Review, 8(1), 85~118.*이재진ㆍ김형곤ㆍ이강형(1990). 텔레비전 뉴스의 정치보도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31권 4호, 239~278. === 교내 및 일반 논문 === * 이재진 (2015). 언론법과 피해구제제도의 변화. <관훈저널>, 136호(가을), 52~58. * 이재진 (2013). 방송에 의한 명예훼손 및 초상권 침해. <방송통신 심의동향>, 통권 5호, 81~89.* 이재진 (2013). 공인의 사생활 보도의 실제와 한계: 발레리 트리에르바일레와 빌 클린턴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중재>, 33(4), 6-13.* 이재진 (2011). 주요 국가의 언론피해 구제방식 비교 고찰. <언론중재>, 31(1), 20~34, * Lee, Jae-Jin (2010). Disclosure of a celebrities' privacy: Limitations and legal issues. Korea Journalism Review, 4권 1호, 102~113.* 이재진ㆍ박성순 (2009). 유료방송시장에서의 대안적 분쟁해결(ADR) 사례와 분쟁 당사자 인식 연구. <사회과학논총>, 28집, 101~136.* 이재진(2009). 대중스타의 사생활 정보 공개의 한계와 법적 쟁점. <언론중재>, 29(4)(겨울), 121~134, * 이재진(2008). 이명박 정부의 방송정책에 대한 소고: 방송 철학의 구축을 위하여. <사회과학논총>, 28집, 81~100.* 이재진(2008). 인터넷에서의 정보 생산 및 유통 구조의 변화와 법적 쟁점. <언론중재>, 28(4)(겨울), 5~22.* 이재진(2007). 한국 언론법제 교육의 현실과 쟁점: 대학에서의 언론법제 교육을 중심으로. <언론중재>, 27(4)(겨울), 4~20. * 이재진(2007). 선거보도와 선거법 그리고 보도윤리. <관훈저널>, 48권 1호 통권 제102호 (2007년 봄), 149~155. * 이재진(2004). 정치적 폭로에 대한 중계보도와 언론의 법적 책임. 『언론중재』, 24(4) (겨울), 30~45.* 이재진ㆍ김영수(2004). 방송의 공익성과 방송광고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언론학보』, 23권 1호, 143~186.* 이재진(2004).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재고찰. 『관훈저널』, 87호, 215~240.* 이재진ㆍ김영근(2003). 영상관련 저작권에서의 주요쟁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22(2), 93~121.* 이재진(2003). 인터넷언론의 보도상의 특성과 법적 책임. 『언론중재』23(2)(여름), 21~37.* 이재진(2002). 언론관련 명예훼손소송 추이 비교.『언론중재』22(2)(여름), 37~51.* 이재진(2001). 신문의 시사만화 및 만평에 있어서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 한국언론학술논총』, 1호, 455~497.* 이재진(2000). 사이버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 보호. 『언론중재』, 20(2)(여름), 64~82.* 이재진(1999). 혐오언론(hate speech) 현상에 대한 법제론적 고찰. 『언론학보』, 19호, 99~125.* Lee, J. (1999). An impact of the press arbitration system on press freedom during the sociopolitical transition in South Korea. 『사회과학논총』, 18호, 151~187.
학술대회발표>
* 이재진 (2015). 언론법과 피해구제제도의 변화. <관훈저널>, 136호(가을), 52~58. * 이재진 (2013). 방송에 의한 명예훼손 및 초상권 침해. <방송통신 심의동향>, 통권 5호, 81~89.* 이재진 (2013). 공인의 사생활 보도의 실제와 한계: 발레리 트리에르바일레와 빌 클린턴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중재>, 33(4), 6-13.* 이재진 (2011). 주요 국가의 언론피해 구제방식 비교 고찰. <언론중재>, 31(1), 20~34, * Lee, Jae-Jin (2010). Disclosure of a celebrities' privacy: Limitations and legal issues. Korea Journalism Review, 4권 1호, 102~113.* 이재진ㆍ박성순 (2009). 유료방송시장에서의 대안적 분쟁해결(ADR) 사례와 분쟁 당사자 인식 연구. <사회과학논총>, 28집, 101~136.* 이재진(2009). 대중스타의 사생활 정보 공개의 한계와 법적 쟁점. <언론중재>, 29(4)(겨울), 121~134, * 이재진(2008). 이명박 정부의 방송정책에 대한 소고: 방송 철학의 구축을 위하여. <사회과학논총>, 28집, 81~100.* 이재진(2008). 인터넷에서의 정보 생산 및 유통 구조의 변화와 법적 쟁점. <언론중재>, 28(4)(겨울), 5~22.* 이재진(2007). 한국 언론법제 교육의 현실과 쟁점: 대학에서의 언론법제 교육을 중심으로. <언론중재>, 27(4)(겨울), 4~20. * 이재진(2007). 선거보도와 선거법 그리고 보도윤리. <관훈저널>, 48권 1호 통권 제102호 (2007년 봄), 149~155. * 이재진(2004). 정치적 폭로에 대한 중계보도와 언론의 법적 책임. 『언론중재』, 24(4) (겨울), 30~45.* 이재진ㆍ김영수(2004). 방송의 공익성과 방송광고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언론학보』,23권 1호, 143~186.* 이재진(2004).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재고찰. 『관훈저널』, 87호, 215~240.* 이재진ㆍ김영근(2003). 영상관련 저작권에서의 주요쟁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22(2), 93~121.* 이재진(2003). 인터넷언론의 보도상의 특성과 법적 책임. 『언론중재』23(2)(여름), 21~37.* 이재진(2002). 언론관련 명예훼손소송 추이 비교.『언론중재』22(2)(여름), 37~51.* 이재진(2001). 신문의 시사만화 및 만평에 있어서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 『한국언론학술논총』, 1호, 455~497.* 이재진(2000). 사이버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 보호. 『언론중재』, 20(2)(여름), 64~82.* 이재진(1999). 혐오언론(hate speech) 현상에 대한 법제론적 고찰. 『언론학보』, 19호, 99~125.* Lee, J. (1999). An impact of the press arbitration system on press freedom during the sociopolitical transition in South Korea. 『사회과학논총』, 18호, 151~187.
<br>
==교내 매체==
 * <[[하이에리카95]]> 2020.07.28 [ERICA's Keyword] 해양생의학분야 세계전문가 6위, 해양융합공학과 김세권 석좌교수* http://www.hanyang.ac.kr/surl/86hUB* <뉴스H> 2018.03.25 [http://www.hanyang.ac.kr/surl/n8UTB [백남의 교수저서<nowiki>]</nowiki> 이재진 교수, '공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논의하다]* <뉴스H> 2020.07.14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879443 이재진 교수, 인터넷신문위원회 광고심의분과위원장으로 위촉] 
[[분류:교수]]
[[분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편집

78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