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석 문서 원본 보기
←
정문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emailconfirmed.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
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공학과]] 교수이다. [[분류:교수]] =연구= ===인공지능을 활용해 복잡한 물리학 문제 해법 확인(2021.08)<ref><뉴스H> 2023.08.16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1011 인공지능으로 물리학 연구의 해법 찾다]</ref>=== *텅스텐 다이셀레나이드 (WSe2)에서 라만 산란 (Raman scattering)과 광발광(Photoluminescence) 사이의 연관성을 인공지능을 이용해 확인 *인공지능 모델 ‘컨볼루션 신경망(CNN)’를 통해 복잡한 물리학적 연관성 정확하게 예측 및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을 통해 연관성의 근원 분석 *논문명은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to Identify the Origin of Phonon-Assisted Emission in WSe2 Monolayer’로, 연구결과는 인공지능 응용 분야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Intelligent Systems」 7월호에 게재 ===관찰대상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화하는 나노광학현미경 개발에 참여(2021.06)<ref><뉴스H> 2021.06.28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3349 정문석 교수 공동 연구팀, 관찰대상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화하는 나노광학현미경 개발]</ref>=== *정문석 교수 공동연구팀이 관찰대상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관찰 방법자 자유자재로 변화하는 나노광학현미경 개발했다. *개발된 현미경을 통해 특정 방향으로 굽혀진 분자만 골라 관찰하거나 모드를 바꿔 다양한 물질의 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정 교수팀은 UNIST 박경덕 교수팀의 연구에 사용된 시료의 제작에 참여했으며, 논문명은 'Adaptive tip-enhanced nano-spectroscopy'로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니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6월 8일자로 출판됐다.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전하 재활용 매커니즘 규명(2021.08) <ref><뉴스H> 2021.08.10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3770 정문석 교수 공동 연구팀,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전하 재활용 매커니즘 규명]</ref>=== *세종대 이동기 교수, 포항공대 조길원 교수 공동 연구팀과 함께한 연구가 국제학술지 ‘ACS Energy Letters’에 게재됐다. *연구 논문 제목은 '3성분계 유기태양전지 내에서 일어나는 전하 재활용 메커니즘 규명'이다. *공동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의 주사슬과 곁가지를 확장해 3원계 유기태양전지 광활성층의 미세구조를 조절했으며, 펨토초 순간흡수분광법을 이용해 전하 재활용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규명했다. ===반도체 소모전력 줄이는 에너지 저감기술 개발(2021.08) <ref><뉴스H> 2021.08.24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3846 정문석 교수팀, 반도체 소모전력 혁신적으로 줄이는 에너지 저감기술 개발]</ref>=== *정문석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양희준 교수와 동국대 물리반도체과학부의 Dun Anh Nguyen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공동연구팀은 백금막이 코팅된 텔루린(Tellurene) 반도체 물질에 레이저를 조사해 디랙 준금속 물질인 플래티늄다이텔루라이드(PtTe2)를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텔루린과 플래티늄다이텔루라이드의 반도체-전극 계면을 형성하고 변칙성이 낮은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번 연구(논문명 ‘Patterning of type-II Dirac Semimetal PtTe2 for Optimized Interface of Tellurene Optoelectronic Device’)는 나노물질을 이용한 에너지 분야 세계적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IF=17.881)의 8월호에 게재됐다. ===기존 반도체 소자 한계 극복한 저전력·초고속 반도체 소자 개발(2021.10) <ref><뉴스H> 2021.10.22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4290 정문석 교수, 기존 반도체 소자 한계 극복한 저전력·초고속 반도체 소자 개발]</ref>=== *정문석 교수 공동연구팀이 최근 2차원 단일소재인 몰리브데늄 다이텔루라이드(MoTe2)를 이용, 기존실리콘반도체 대비 전력 소모가 낮고 효율이 높은 스위칭 소자를 개발했다. *논문명 : Gate-controlled MoTe2homojunction for sub-thermionic subthreshold swing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베트남 페니카 대학교(Phenikaa Univ.)의 Ngoc Thanh Duong 교수와 공동연구, 나노 분야 세계적 학술지 「나노 투데이(Nano Today)」(IF=20.722)의 10월호에 게재 =교내 매체= *<뉴스H> 2021.08.24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3846 정문석 교수팀, 반도체 소모전력 혁신적으로 줄이는 에너지 저감기술 개발] *<뉴스H> 2023.09.01 [http://cms.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1154 정문석 교수, 인공지능 활용해 물리학을 연구하다] =각주= <references />
정문석
문서로 돌아갑니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한국어
이름공간
문서
토론
변수
보기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Pdf 내보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Pdf 내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