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입학제도==
===모집 단위===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캠퍼스의 입학 모집단위에서는 이전의 추세가 이어져 학부제에서 학과제로의 전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2013년에는 자연과학부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로 분리하고 생활과학부를 의류학과, 식품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로 분리했다. 또한 공과대학에 응용시스템학과를 신설하고 의과대학의 간호학과를 분리하여 간호학부 간호학전공으로 개편하였다. 2014년에는 사회과학부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행정학과로 분리했다. 2015년에서 2016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15개로 늘어난 것은 공과대학의 응용시스템학과가 별도로 산업융합학부로 신설되면서 새로운 단과대학으로 출범하기 때문이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ERICA캠퍼스 입학 모집단위의 특징은 기존의 학과 및 모집단위 체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변화하는 양상을 띠었다는 점이다. 2015년 학과 구조조정 및 학제 개편으로 전자통신공학과 및 전자시스템공학과는 전자공학부로 통합, 재료공학과 및 화학공학과는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되었으며, 해군과의 군사계약학과 설립 협약으로 국방정보공학과가 신설되었다.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난 것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되어 소프트웨어학부 및 ICT융합학부가 신설되었기 때문이다.  ====[표 3-1-1] 서울캠퍼스 입학 모집 단위 (2013-2018)====
{| class="wikitable"
|-
|2018||15||11||47||2||4
|}
====[표 3-1-2] ERICA캠퍼스 입학 모집 단위 (2013-2018) ====
{| class="wikitable"
|-
|35
|}
==== 연도별 현황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캠퍼스의 입학 모집단위에서는 이전의 추세가 이어져 학부제에서 학과제로의 전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2013년에는 자연과학부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로 분리하고 생활과학부를 의류학과, 식품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로 분리했다. 또한 공과대학에 응용시스템학과를 신설하고 의과대학의 간호학과를 분리하여 간호학부 간호학전공으로 개편하였다. 2014년에는 사회과학부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행정학과로 분리했다. 2015년에서 2016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15개로 늘어난 것은 공과대학의 응용시스템학과가 별도로 산업융합학부로 신설되면서 새로운 단과대학으로 출범하기 때문이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ERICA캠퍼스 입학 모집단위의 특징은 기존의 학과 및 모집단위 체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변화하는 양상을 띠었다는 점이다. 2015년 학과 구조조정 및 학제 개편으로 전자통신공학과 및 전자시스템공학과는 전자공학부로 통합, 재료공학과 및 화학공학과는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되었으며, 해군과의 군사계약학과 설립 협약으로 국방정보공학과가 신설되었다.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난 것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되어 소프트웨어학부 및 ICT융합학부가 신설되었기 때문이다.
====[표3-1-3] 서울캠퍼스 단과대학별 모집단위 (2013-2018)====
|}
=====[표 3-1-6] ERICA캠퍼스 수시 입학자 수=====
{| class="wikitable"
|-
|2018||수시||1,346||30,922||1,299||23.0
|}
====편입생====
===편입생===
2013년도 편입학 선발방식은 인문계의 경우,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성적 10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80%, 전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한다. 자연계는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50%, 수학5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40%, 수학4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했다. 2014년도까지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5년도부터 자연계 필기시험 반영비율을 조정하였다. 자연계1단계 필기시험 어40%, 수학60% 반영하고, 2단계에서 어30%, 수학5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하고, 수학 반영비율을 높여 자연계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2015년도에 일반편입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행정고시,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인세무사, 보험계리사, 외교관후보자 시험 1차 이상 합격자의 지원을 유도하였다. 2016년도 선발방식의 변화로 일반편입학의 보험계리학과는 인문계에 속하지만 자연계에 준하여 영어 및 수학시험을 실시한다. 2017년도는 전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8년도 편입학 선발부터 정원 외 특별전형 선발을 확대하여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성화고교출신자, 기회균형선발, 농어촌학생 편입학을 선발하였다.
 
편입생 수는 2013년도에 비해 2016년까지 감소하다가 2017년도에 늘어났고 2018년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표 3-1-7] 서울캠퍼스 편입생 수====
{| class="wikitable"
특례편입은 외국인 편입생 수
==입학현황====년도별 편입학 특징=입학 정원===2013년도 편입학 선발방식은 인문계의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입학정원 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서울캠퍼스의 경우2013년에 는 2,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성적 10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80%915명이었던 인원이 2018년에는 2, 전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한다767명까지 감소했다. 자연계는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50%, 수학5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40%ERICA캠퍼스의 경우 2013년에는 1, 수학40%930명이었던 정원이 2018년에는 1,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했다. 2014년도까지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5년도부터 자연계 필기시험 반영비율을 조정하였다. 자연계1단계 필기시험 어40%, 수학60% 반영하고, 2단계에서 어30%, 수학5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하고, 수학 반영비율을 높여 자연계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2015년도에 일반편입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행정고시,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인세무사, 보험계리사, 외교관후보자 시험 1차 이상 합격자의 지원을 유도하였다. 2016년도 선발방식의 변화로 일반편입학의 보험계리학과는 인문계에 속하지만 자연계에 준하여 영어 및 수학시험을 실시한다. 2017년도는 전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8년도 편입학 선발부터 정원 외 특별전형 선발을 확대하여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성화고교출신자, 기회균형선발, 농어촌학생 편입학을 선발하였다852명까지 감소했다
편입생 수는 2013년도에 비해 2016년까지 감소하다가 2017년도에 늘어났고 2018년도에 서울캠퍼스는 2014년까지 2,915명의 정원을 유지하다가 이후 입학정원 감축으로 2015년 2907명, 2016년에는 2,826명, 2017년에는 2,762명까지 감축되었으나 2018년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2,767명으로 5명 증가하였다. 전체 입학정원은 감축되었으나 2017년부터 의예과 정원이 확대되는 성 과도 있었다.
==입학현황==
===입학 정원===
====서울캠퍼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입학정원 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서울캠퍼스의 경우 2013년에 는 2,915명이었던 인원이 2018년에는 2,767명까지 감소했다.
*서울캠퍼스는 ERICA캠퍼스는 2014년까지 2입학정원은 1,915명의 정원을 930명 선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이후 수도권 대학특성화(CK) 사업 선정으로 인한 3년간 입학정원 감축으로 2015년 2907명20명을 감축한 1, 2016년에는 2910명,826명2016 년 27명 감축한 1, 2017년에는 2883명,762명까지 감축되었으나 2018년 다시 22017년 31명 감축한 1,767명으 로 5명 증가하였다.*전체 입학정원은 감축되었으나 2017년부터 의예과 정원이 확대되는 성과도 있었다852명으로 확정되어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서울캠퍼스 입학 정원 수=====
{| class="wikitable"
|-
*괄호 안에 표기된 수는 정원 외 입학
====ERICA캠퍼스====2013년에는 1,930명이었던 정원이 2018년에는 1,852명까지 감소했다. *ERICA캠퍼스는 2014년까지 입학정원은 1,930명 선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수도권 대학특 성화(CK) 사업 선정으로 인한 3년간 입학정원 감축으로 2015년 20명을 감축한 1,910명, 2016년 27명 감축한 1,883명, 2017년 31명 감축한 1,852명으로 확정되어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ERICA캠퍼스 입학 정원 수=====
{| class="wikitable"
|-
|1,852
|}
 
*괄호 안에 표기된 수는 정원 외 입학
===입학생 현황===
====출신별 분류====
지난 6년간 서울캠퍼스의 입학생 출신별 분류를 살펴보면 당해 연도 졸업자가 55~60%의 비율을, 재수자가 38~42%의 내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검정고시 및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인 입학생의 경우 1%내외로 상당히 적은 비율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6년간 서울캠퍼스의 입학생 출신별 분류를 살펴보면 당해 연도 졸업자가 55~60%의 비율을, 재수자가 38~42%의 내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검정고시 및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 인 입학생의 경우 1%내외로 상당히 적은 비율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RICA캠퍼스의 경우 전반적으로 당해 연도 졸업자가 70% 내외의 비율을, 재수자가 30% 내외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검정고시 및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인 등의 경우는 3% 내외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ERICA캠퍼스의 경우 전반적으로 당해 연도 졸업자가 70% 내외의 비율을, 재수자가 30% 내외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검정고시 및 기타 재외국민과 외국인 등의 경우는 3% 내외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표 3-1-11] 서울캠퍼스 입학생 출신별 분류=====
{| class="wikitable"
! rowspan="2" |연도
|3,117
|}
=====[표 3-1-12] ERICA캠퍼스 입학생 출신별 분류=====
{| class="wikitable"
! rowspan="2" |연도
====성별별 분류====
지난 6년간 서울캠퍼스의 입학생 성별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비율이 65%에 달하던 것이 2015년부터 59%대로 떨어져 여학생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RICA캠퍼스의 경우에는 남학생이 55%, 여학생이 45% 안팎을 유지하는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서울캠 퍼스에 비해 여학생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6년간 서울캠퍼스의 입학생 성별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비율이 65%에 달하던 것이 2015년부터 59%대로 떨어져 여학생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ERICA캠퍼스의 경우에는 남학생이 55%, 여학생이 45% 안팎을 유지하는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서울캠 퍼스에 비해 여학생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1-13] 서울캠퍼스 입학생 성별 분류=====
{| class="wikitable"
! rowspan="2" |연도
|3,117
|}
=====[표 3-1-14] ERICA캠퍼스 입학생 성별 분류=====
{| class="wikitable"
! rowspan="2" |연도
|2,075
|}
 
===입학 관련 특기할 제도===
====학생부종합 전형 현황====
[표 3-1-15] 연도별 학생부종합 전형 현황 (2013 ~ 2018)
{| class="wikitable"
|-
|25.68
|}
<nowiki>*</nowiki> 서울캠퍼스의 2013, 2014년의 수치는 입학사정관전형 전체 경쟁률 현황 *201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수시모집을 학생부위주, 논술위주, 실기위주로 단순화 함.*201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2014년까지 선발하였던 미래인재 전형(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개편. **학생부종합 전형: 국내 정규고교 졸업(예정)자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전형으로 학생의 꿈과 끼를 충실히 반영하고 학교생활 중심의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이 있는 학생 선발이 될 수 있도록 학생부종합평가 100%, 수능최저기준 미적용으로 선발한다.
201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수시모집을 학생부위주, 논술위주, 실기위주로 단순화 하였고 그 중 2014년까지 선발하였던 미래인재 전형(입학사정 관제 전형)을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개편하였다. 학생부종합 전형은 국내 정규고교 졸업(예정)자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전형으로 학생의 꿈과 끼를 충실히 반하고 학교생활 중심 의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이 있는 학생 선발이 될 수 있도록 학생부종합평가 100%, 수능최저 기준 미적용으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 전형 선발 첫해인 2015년에 서울캠퍼스는 963명 모집에 18.26대 1의 경쟁률을 보고 2016년에는 1,000명이 넘게 선발함에도 21.9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ERICA캠퍼스는 297명 모집에 18.38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2017년부터는 330명 가까이 선발함에도 불구하고 경쟁률은 25대 1 전후로 이전보다 더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다이아몬드7 학과제도 신설====
한양대학교의 한양대학교 다이아몬드7 학과는 대한민국의 내일을 이끌어갈 1%의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의 대학 의 모든 역량이 투자되어 기획된 특별한 7개의 학과이다. *다이아몬드7 학과는 자연계열 4개 학과 (4개): 융합전자공학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에너지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와 인문/상경계열 3개 학과 (3개): 정책학과, 행정학과, 파이낸스경영학과*선발혜택: 파이낸스경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발된 신입생에게는 등록금 면제, 4년 전액 장학금 지원,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산학협력기업에 인턴, 취업 연계인턴이나 취업을 연계하고, 본교 대학원으로 진학시 장학생 진학 시 장학생으로 우선선발 자격 부여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등의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레인보우 장학 프로그램====
ERICA캠퍼스에서는 우수학생 유치의 일환으로 신입생 장학금 제도를 대폭적으로 개선하여 2014년부터 레인보우 장학을 신설하였다. *해당학과: 레인보우 장학 해당학과는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분자생명과학과, 문화콘텐츠학과, 광고홍보학부, 보험계리학과*장학대상자는 이다. 레인보우 장학 대상자 기준은 해당학과 정원 내 최초합격자에 해당되고, 4년 동안 등록금 반액 장학 혜택을 받음혜택이 주어진다.*장학제도 도입 초기 파격적인 장학혜택 수혜를 보는 레인보우 학과의 선도적인 입시결과 향상으로 입시시장에 대내외 인지도 상승을 가져올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파급효과로 인하여 타학과에도 입학점수 향상에 기여함기여하였다
====입시설명회 개최====
 *ERICA 입학설명회는 개별고교 방문설명회, 지역별 설명회 및 박람회 등의 방식으로 진행됨진행되었다.*2014년부터 입학설명회의 양적인 확대를 통해 잠재적 지원자 Pool 확보와 각종 대외평가 결과 우수성을 수험생들에게 홍보하고자 하다.*2014년 입학설명회(총 367회) 참가인원: 입학설명회에 참가인원이 24,803명*2015년 입학설명회(803명에 달하였으며, 2015년에는 총 342회) 입학설명회에 총 참가인원: 24,249명*249명이 참석하다. 2016년부터는 입학설명회의 양적인 확대보다 내실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자 기존의 입학설명회를 진행하면서 교내 수시상담카페를 개최개최하다.**이를 통해 수험생의 교내방문을 유도, 유도하고 입학사정관의 상세한 분석과 상담을 통해 ERICA의 대외적 이미지 향상과 잠재적 우수학생 확보를 꾀하고자 하였다.   <br /><references />

편집

11,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