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한양대학교 [[백서2013-2018]] 에서 분야별 업무추진 성과 - 교육 > 대학원과정의 '입학' 내용을 담은 문서이다.
[[분류:백서2013-2018]]
== 입학제도==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대학원과 학과 전공 수에는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다. 우선 일반대학원의 경우 석사과정의 경우 학과 전공 수가 2017년에 한번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박사과정의 경우 학과 전공 수는 2014, 2015년에 증가하였으나 2018년을 기준으로 보면 감소하였다. 전문대학원의 경우 대학원 수는 유지되었으나 학과 전공 수는 감소했으며, 특수대학원의 경우 대학원 수와 학과 전공 수 모두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8년을 재학생을 기준으로 보면 전문대학원은 국제학대학원, 도시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기술경전문대학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등 7개 대학원이 있다. 특수대학원은 공학대학원, 공공정책대학원, 교육대학원, 보건대학원, 언론정보대학원, 국제관광대학원, 상담심리대학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부동산융합대학원, 융합산업대학원 등 10개 대학원이 있다.
===[표 3-1-38] 연도별 대학원 및 학과전공 수===
* 재학생 기준{| class="wikitable"| rowspan="2" |연도| colspan="2" |일반대학원| colspan="3" |전문대학원| colspan="2" |특수대학원|-|석사|박사|대학원 수|석사|박사|대학원 수|석사|-|2013|106|101|7|14|11|8|64|-|2014|109|106|7|15|11|9|61|-|2015|111|106|7|17|13|13|62|-|2016|111|101|7|18|14|12|61|-|2017|106|101|7|16|15|12|65|-|2018|112|99|7|16|12|10|56|}
*재학생 기준
== 입학현황==
=== 입학 정원===
지난 6년간 대학원의 입학정원 변화를 살펴보면, 일반대학원의 입학정원은 석사과정의 경우 전체적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박사과정의 경우 총 정원의 변화는 없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서울캠퍼스의 일반학위과정은 인원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ERICA캠퍼스의 일반학위과정 입학 정원수와 학과 간 협동과정의 정원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기에 결과적으로는 석사학위과정의 입학 정원수가 크게 줄지 않을 수 있었다. 박사학위과정의 경우에도 서울캠퍼스의 일반학위과정 입학 정원수는 감소하였지만 ERICA캠퍼스의 일반학위과정과 학과 간 협동과정 정원수가 증가하여 총 정원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특수·전문대학원의 경우에는 박사과정 입학정원에는 변화가 없었다. 석사과정 입학 정원은 522명에서 458명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한양대학교가 의과대학 체제로 복귀하는 방침을 결정하면서 의학전문대학원이 폐지되어 그 정원이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의 표를 통해서 일반대학원 및 특수·전문대학원의 석·박사과정 입학 정원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다.
==== 일반대학원====
=====[표 3-1-39]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정원=====
=====[표 3-1-40]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입학정원=====
 * 매년 2월 기준으로 작성 * 대학원 분류와 학과 편제사항은 2018년 기준으로 작성
====특수·전문대학원====
=====[표 3-1-41] 특수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정원=====
 * 대학원 명 및 학과 편제사항은 2018년도 기준으로 작성
=====[표 3-1-42] 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정원=====
=====[표 3-1-42] 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정원=====
 * 대학원 명 및 학과 편제사항은 2018년도 기준으로 작성
=====[표 3-1-43] 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입학정원=====
 * 대학원 명 및 학과 편제사항은 2018년도 기준으로 작성
=====[표 3-1-44] 연도별 대학원 입학 정원 총계=====
{| class="wikitable"| colspan="2" |구분|2013|2014|2015|2016|2017|2018|-| rowspan="2" |일반대학원|석사|1,479|1,479|1,424|1,424|1,424|1,424|-|박사|801|801|801|801|801|801|-| rowspan="2" |전문대학원|석사|522|522|522|458|458|458|-|박사|70|70|70|70|70|70|-|특수대학원|석사|907|907|962|971|971|971|-| colspan="2" |계|3,779|3,779|3,779|3,724|3,724|3,724|}
지난 6년 간 대학원 입학정원의 변화를 일반·전문·특수대학원을 나누어 살펴보면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의 입학 정원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전문대학원의 경우 2015년을 기점으로 입학정원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의 입학정원 감소에도 불구하고 대학원 총 정원은 2013년 3,779명에서 2018년 3,724명으로 크게 줄어들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 입학생 현황===
====[표 3-1-45] 최근 6년간(2013~2018) 일반대학원 석·박사과정 및 석·박사 통합과정 입학생 수====
{| class="wikitable"|연도|석사과정|박사과정|합계|-|2013|1,353|726|2,079|-|2014|1,492|864|2,356|-|2015|1,690|858|2,548|-|2016|1,625|932|2,557|-|2017|1,590|820|2,410|-|2018|1,542|764|2,306|} * 석·박사 통합과정은 박사과정으로 포함 * 해당 연도의 입학생 수는 전년도 8월과 당해연도 2월 입학생을 합산한 결과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일반대학원 입학생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도부터 2016년까지 는 입학생이 조금씩 증가하였으나 이후부터는 감소하고 있다. 과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석사과정 입학생의 경우 2016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이후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박사과정 입학생 수의 경우 증가와 감소의 기복이 지속적인 편이다 2016년 이후 역시 감소하고 있다.
====[표 3-1-46] 대학원 입학생 남녀 구성 비율====
{| class="wikitable"
| colspan="3" rowspan="2" |구분
| colspan="2" |남
| colspan="2" |여
|합계
|-
|인원
|구성비(%)
|인원
|구성비(%)
|인원
|-
| rowspan="5" |2013
| rowspan="2" |일반대학원
|서울
|1,058
|62.1
|643
|37.9
|1,701
|-
|ERICA
|258
|68
|120
|32
|378
|-
| colspan="2" |전문대학원
|343
|66.6
|172
|33.4
|515
|-
| rowspan="2" |특수대학원
|서울
|464
|58.9
|324
|41.1
|788
|-
|ERICA
|71
|57.7
|50
|42.3
|121
|-
| rowspan="5" |2014
| rowspan="2" |일반대학원
|서울
|1,150
|60.1
|762
|39.9
|1,912
|-
|ERICA
|304
|68.5
|140
|31.5
|444
|-
| colspan="2" |전문대학원
|313
|62.9
|185
|37.1
|498
|-
| rowspan="2" |특수대학원
|서울
|423
|55.6
|338
|44.4
|761
|-
|ERICA
|91
|67.9
|43
|32.1
|134
|-
| rowspan="5" |2015
| rowspan="2" |일반대학원
|서울
|1,150
|57.6
|845
|42.4
|1,995
|-
|ERICA
|374
|67.6
|179
|32.4
|553
|-
| colspan="2" |전문대학원
|323
|62.4
|195
|37.6
|518
|-
| rowspan="2" |특수대학원
|서울
|425
|56.2
|331
|43.8
|756
|-
|ERICA
|50
|53.2
|44
|46.8
|94
|-
| rowspan="5" |2016
| rowspan="2" |일반대학원
|서울
|1,173
|58.2
|842
|41.8
|2,015
|-
|ERICA
|379
|69.9
|163
|30.1
|542
|-
| colspan="2" |전문대학원
|323
|58.8
|226
|41.2
|549
|-
| rowspan="2" |특수대학원
|서울
|440
|52.5
|398
|47.5
|838
|-
|ERICA
|61
|58.1
|44
|41.9
|105
|-
| rowspan="5" |2017
| rowspan="2" |일반대학원
|서울
|1,013
|53.5
|880
|46.5
|1,893
|-
|ERICA
|341
|66
|176
|34
|517
|-
| colspan="2" |전문대학원
|288
|58.9
|201
|41.1
|489
|-
| rowspan="2" |특수대학원
|서울
|395
|48.4
|421
|51.6
|816
|-
|ERICA
|42
|56
|33
|44
|75
|-
| rowspan="5" |2018
| rowspan="2" |일반대학원
|서울
|1,028
|56.3
|799
|43.7
|1,827
|-
|ERICA
|310
|64.7
|169
|35.3
|479
|-
| colspan="2" |전문대학원
|728
|56
|572
|44
|1,300
|-
| rowspan="2" |특수대학원
|서울
|425
|50.4
|418
|49.6
|843
|-
|ERICA
|51
|64.6
|28
|35.4
|79
|}
====[표 3-1-46] 대학원 입학생 남녀 구성 비율====* 해당 연도의 입학생 수는 전년도 8월과 당해연도 2월 입학생 수를 합산한 결과
대학원 입학생의 남녀 구성비를 살펴보면, 일반대학원의 경우 서울은 남학생의 비율이 2013년에서 2016년까지는 53~62%이고 여학생의 비율이 38~48%인 반면, ERICA캠퍼스는 남학생 비율이 64~70%, 여학생 비율이 30~36%정도로 남학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전문대학원의 경우 남학생의 비율이 56~66% 사이이고, 여학생의 비율은 34~44% 정도를 유지했다. 특수대학원의 경우 서울은 남학생이 48~58%, 여학생이 42~52%로 상대적으로 남녀학생의 비율이 차이가 크지 않다. 그러나 ERICA캠퍼스의 경우 2015년 남학생 비율 53%, 여학생 비율 46%를 기록했는데 전체적으로 남학생의 비율이 이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편집

11,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