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편집 요약 없음
==개관==
=== 설립목적===
본 연구소는 방사선안전신기술에 관한 창의적 연구개발, 산학연 협력사업, 국제협력사업 등의 수행을 통하여 방사선장 해석 및 제어기술, 신소재 방사선 검출기 및 선진형 환경 방사선 감시 신기술, 그리고 방사선 안전성 종합평가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국제수준의 방사선안전기술 연구능력을 확보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우수 연구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함
=== 연혁===
2015. 07. 제8회 방사선안전과 계측기술 국제 심포지움 개최 (제주)
== 조직 및 구성===== 소장==={| class="wikitable"|'''구분'''|'''성명'''|'''소속'''|'''직위'''|-|소장|[[김찬형]]|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교수|} === 운영위원회 ==={| class="wikitable"|'''구분'''|'''성명'''|'''소속'''|'''직위'''|-|소장|김 찬 형|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교수|-|운영위원|김 종 경|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교수|-|운영위원|이 재 기|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교수|-|운영위원|제 무 성|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교수|-|운영위원|김 용 균|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교수|-|운영위원|서 중 석|방사선안전신기술연구소|연구교수|-|운영위원|조 준 호|선광원자력안전(주)|대표이사|-|운영위원|이 상 훈|경북대학교|교수|-|간사|신 창 호|방사선안전신기술연구소|연구교수|} === 연구원 ==={| class="wikitable"|'''구분'''|'''성명'''|'''소속'''|'''직위'''|-|연구원|서 중 석|방사선안전신기술연구소|연구교수|-|연구원|김 시 환|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특임교수|-|연구원|신 창 호|방사선안전신기술연구소|연구교수|} == 학술행사 =={| class="wikitable"|'''구분'''|'''대주제'''|'''발표자'''|'''개최일시'''|'''개최장소'''|-|국제 학술회의|제8회 방사선안전 및 계측기술 국제 학술대회|김찬형 외 192명|2015.07.14.-2015.07.16|제주 롯데시티호텔|} == 주요 연구과제 수행 =={| class="wikitable"|'''과제명'''|'''연구책임자'''|'''연구기간'''|'''지원기관'''|'''총연구비'''|-|원전 소내·외 저장시설의 임계제어를 위한 인공희토류 기반 신개념 중성자흡수체 핵심기술 개발|김종경|2012.10.01. ~ 2015.09.30|한국에너지 기술평가원|360,000,000|-|중이온가속기 및 부대시설의 방사선 안전|신창호|2013.12.03 ~ 2020.04.30|기초과학연구원|1,461,208,270|-|원전 종사자 및 조직의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한국형 공공 모니터링 체계 시작품 및 역량 증진기술 개발|제무성|2013.06.01. ~ 2014.05.31|한국원자력연구원|150,000,000|-|개선형 ICRP 전산모사 표준팬텀 및 피폭선량 평가기술 개발|김찬형|2014.12.01. ~ 2017.09.30|한국원자력안전재단|242,000,000|-|리스크정보 이용 초고온가스로 설계의 불확실도 저감 신기술 개발|제무성|2014.04.01.~ 2016.03.31|(재)한국연구재단|230,021,640|-|고에너지 즉발 감마선 측정 기반 입자빔 비정 결정 기술 개발|김찬형|2015.01.01. ~ 2017.12.31|한국전자통신연구원|360,000,000|-|원전도입국 원전전문인력 양성 2단계 지원사업|김시환|2015.10.01. ~ 2017.09.30|전력기반조성|826,000,000|-|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 기반구축|김용균|2015.08.10.~ 2016.02.29|(재)한국연구재단|200,000,000|-|방사능 사고에 따른 오염 탐지를 위한 PMT 기반 대형 콤프턴 영상장치 제작 핵심기술 개발|김찬형|2015.08.10. ~ 2018.07.31|(재)한국연구재단|150,000,000|-|방사선치료 적용을 위한 4D 복셀 기반 연속변형 인체모델 개발|김찬형|2016.11.01. ~ 2019.10.31|(재)한국연구재단|108,333,000|-|피폭상황별 선량평가 정확도 제고를 위한 인체 전산모델 개발|김찬형|2017.04.06. ~ 2019.12.31|한국원자력안전재단|600,000,000|-|원전 해체 후 잔류방사능 및 피폭선량평가 기술개발|신창호|2017.05.01. ~ 2020.04.30|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227,500,000|-|한국형원전 수출촉진을 위한 잠재 대상국의 인력양성 지원사업|신창호|2017.08.01. ~ 2019.07.31|전력기반조성 사업센터|800,000,000|-|3D 프린팅 플라스틱 섬광체 개발 및 치료선량 측정 연구|김용균|2017.10.01. ~ 2019.09.30|재)한국연구재단|541,168,098|-|정밀 선량측정을 위한 광역에너지 중성자용 계측장비 개발|김용균|2017.10.01. ~ 2019.05.31|(주)오르비텍|120,000,000|-|사고대응 최적값 선정 및 오염영상화기술 개발|김찬형|2019.01.01. ~2019.12.31|한국원자력연구원|168,172,259|} == 출판서 발간 =={| class="wikitable"|'''출판서'''|'''저자'''|'''출판사'''|'''발행년도'''|-|원전과 방사선|이재기|현대아트콤|2016년 07월|} == 기타 연구소 주요사업 =={| class="wikitable"|'''사업명'''|'''사업 기간'''|'''사업연월'''|-|방사선기초 및 응용|2013.02.04.-02.21|교육사업|-|방사성폐기물 관리|2013.08.12.-08.29|교육사업|-|2013년 방사선 방호체계 최적화 과정|2013.08.19.-08.21|교육사업|-|2013년 방사선 방호 최적화 및 폐기물 관리|2013.06.23.-06.27|교육사업|-|2014년 방사선 방호체계 최적화 과정|2014.06.23-06.25|교육사업|-|2014년 몬테칼로 이론 및 MCNP 사용자 교육|2014.07.08.-07.11|교육사업|-|2014년 방사선 방호 최적화 및 폐기물 관리|2014.08.18.-08.22|교육사업|-|2014년 Geant4 코드 초급자 교육|2014.10.21.-10.24|교육사업|-|2015년 Geant4 코드 초급자 교육|2015.01.26.-01.30|교육사업|-|2015년 방사선 방어 최적화 및 폐기물 관리|2015.06.29.-07.03|교육사업|-|2015년 몬테칼로 이론 및 MCNP 사용자 교육|2015.08.03.-08.07|교육사업|-|2016년 Geant4 코드 초급자 교육|2016.01.11.-01.15|교육사업|-|2016년 방사선 방어 최적화 및 폐기물 관리|2016.06.27.-07.01|교육사업|-|2016년 몬테칼로 이론 및 실무 교육|2016.08.08.-08.12|교육사업|-|2017년 Geant4 코드 초급자 교육|2017.01.16.-01.20|교육사업|-|2017년 iTRS 관리자 방사선 방어 교육|2017.06.27.-06.3|교육사업|-|2017년 몬테칼로 이론 및 실무 교육|2017.08.07.-08.1|교육사업|-|2018년 Geant4 코드 초급자 교육|2017.12.18.-12.22|교육사업|-|2018년 iTRS 관리자 방사선 방어 교육|2018.06.26.-06.29|교육사업|-|2018년 몬테칼로 이론 및 실무 교육|2018.07.23.-07.27|교육사업|}

편집

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