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편집 요약 없음
* 위치: 서울캠퍼스 [[학군단]] 지하 1층 제3섹터연구소
* 홈페이지: http://www.ngo.hanyang.ac.kr/
=개황===설립목적==
==연혁==
*1998년.1 설립
*2002.12 연구소 확장 및 개소식
*2008.12 제3섹터연구소 확장 및 이전
==주요활동==
*[[제3섹터연구소/주요활동]] 문서를 참고
==학술 및 연구활동==
 
=== 저널 발간 및 시민사회 시리즈 출간 ===
* 2003. 5.부터 현재까지 정기간행물 『시민사회와 NGO』 발간(연 2회, KCI등재지)
* 2001. ~ 2004. <한국 NGO Report> 발간
* 시민참여 시리즈(2004) - 『시민참여와 정부정책』 『참여를 넘어서는 직접행동』 『시민사회와 제3섹터』 『정부와 제3섹터 파트너십』등
* 민주주의 시리즈(2006) -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한국 민주주의와 시민참여』(2007)
* 글로벌 가버넌스와 NGO(2000), 『공공정책 거버넌스』 (2003), 『기업시민정신과 NGO』 (2003), 『한국시민사회와 지식인』(2002) 등 다수
 
=== 시민사회연구회 창설 및 운영 ===
* 2003. 4. ‘시민사회연구회’ 창설
* 2003. 4.~2009. 12. 월례세미나 개최(학계 및 시민사회 전문가 참여)
 
===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 선정 ===
* 2002~2004.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과 NGO의 역할> 연구
* 2004~2006. <한국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연구
* 2006~2008. <민주적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연구
 
===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연구 ===
* 2004~2006. CIVICUS "Civil Society Index for South Korea"
* 2008~2010. CIVICUS "Civil Society Index for South Korea" 한국 대표 연구소
* 한국 시민사회지표(civil society index) 개발 및 연구 수행
* 한국 시민사회지표 발표(The Explosion of CSOs and Citizen Participation)
 
=== 사회적경제 포럼 창설 및 운영 ===
* 2009. ~2012. 협동조합중앙회, 여성민우회 등과 사회적경제 포럼 진행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근현대총서 사업 : 한국 시민사회사 연구 ===
* 2014. 12. ~2016. 5. <한국시민사회사(제도·조직·이념·생활사> 저술 3권 발간 예정
 
== 대학 및 시민사회·지자체와의 연계 ==
 
===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설립 주도 및 관련 강의 개설 ===
* 시민사회 관련 <세계문화변동과 사회문화>, <시민사회이론>, <신사회운동과 NGO>, <정책과정과 NGO>, <지구환경협력의 이해>, <시민운동과 비영리조직>, <시민사회와 NGO>, <한국과 세계의 NGO>, 
*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개설(2014)
* 사회적경제 교과 편성 및 석사과정 장학생 유치(2009-2012, 2014-2015)
 
=== 시민사회 도서관 운영 ===
* 시민사회 및 NGO 관련 연구를 위한 연구소 전문도서관 운영
* 2015. 5. 현재 영서 1,261권, 국서 501권 등 총 1,762권 보유
* 외부 연구자 열람 및 대여
 
=== 시민사회 리더십 과정 운영 ===
* 학생·일반인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한국시민사회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방안·이론·사례 교육.
* 전체 약 10주로 진행, 대학교수 및 시민단체대표 10여명으로 강사풀 구성.
* 2013년 National Democracy nternational(NDI Korea)과 공동으로 “Young NGO Leadersership Program" (2013.4-6 까지) 진행. 총 15개 강좌 개설, 14인 강사 출강
 
=== 시민사회와 관련한 정부, 지자체 정책제언 및 사업평가 주관 ===
* 서울시 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실태조사(서울시 NPO 지원센터, 2014. 11.)
* 서울동행프로젝트 성과분석 및 중장기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용역 (서울특별시·서울시교육청·서울시자원봉사센터, 2014. 2.)
* 자원봉사와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확장을 위한 상생모델 개발(한국자원봉사협의회·한국자원봉사관리협회, 2013. 2.)
* 퇴직공무원 사회공헌활동 성과측정 및 발전방안 연구용역(공무원 연금공단, 2013. 12.)
* 사회적 갈등 해소 방안 토론회 참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13. 2.)
* 전국자원봉사대축제 포럼 등 시민의 자발적 참여 활동 제언 (2012. 4.)
* 시민활동 촉진을 위한 시민지원방안 연구 (특임장관실, 2012. 9.)
* 한국자원봉사협의회와 공동으로 행정안전부 “제2차 자원봉사 국가기본계획 수립” 용역(2012년) 외 다수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편집

4,674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