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염료감응태양전지기술센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직면해 있는 환경과 자원 위기를 극복하고, 필요한 원천기술개발과 실용화, 나아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선점하고자 설립<ref>한양대학교 요람 2009-2012</ref>, 한국연구재단 기초과학연구사업 우수연구집단육성사업 우수공학연구센터 (Engineering Research Center)
 
*소속: 서울 산학협력단 외부지정연구센터 차세대염료감응태양전지기술센터
 
*소속: 서울 산학협력단 외부지정연구센터 차세대염료감응태양전지기술센터
 
 
*유형: 서울 부설기관
 
*유형: 서울 부설기관
 
*영문명: Center for Next Generation Dye-Sensitized Solar Cells
 
*영문명: Center for Next Generation Dye-Sensitized Solar Cells
 
*중문명: 新一代染料敏化太阳能电池中心
 
*중문명: 新一代染料敏化太阳能电池中心
 +
*소장: [[강용수]] [[에너지공학과]] 교수
 +
=개황=
 +
==설립목적==
 +
# 차세대 고체 및 준고체형(quasi-soild state) 염료감응 태양전지 핵심소재에 관한 세계적 수준의 원천기술을 개발
 +
#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갖는 준고체형 및 고체형 염료감응태양전지 개발
 +
# 분야 국가 경쟁력확보 및 신산업 창출에 기여
 +
# 에너지 특히 태양전지분야의 창조적 핵심 인재 양성을
 +
 +
==연혁==
 +
* 2008.09.01. 차세대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센터 개소
 +
* 2008.10.28. 차세대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센터 개소식 및 제1회 염료감응 태양전지 산학협력 심
 +
* 포지움 개최
 +
* 2009.05. 한양대학교내 퓨전테크놀로지센터(FTC)로 센터 이전
 +
 +
==주요활동==
 +
* 매년 여름 염료감응태양전지 썸머스쿨 개최를 통한 산학연 교육 프로그램 마련
 +
* 매년 일본, 중국, 스웨덴, 스페인 등 우수 연구소와 공동 심포지움, 워크샵, 초청세미나 등을 통한 학술활동 전개
 +
 +
=학술행사=
 +
===국제학술회의===
 +
* 2009. 08. 24-25 Korea-Japan Symposium on Solar Cells (Hironori Arakawa(Tokyo Univ. of Sci.) 외),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
* 2010. 08. 24-25 Korea-China Symposium on Solar Cells(Songyuan Dai(Chinese Academy of Sciences) 외), Huangshan, China
 +
* 2010. 08. 25-28 Aseanian Conference on Solar Cells(Liyuan Han(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외), Huangshan, China
 +
* 2011. 08. 23 Korea-China Symposium on Solar Cells(Jun Zhu(Chinese Academy of Sciences) 외), 한양대학교 종합기술연구원(HIT)
 +
* 2011. 06. 25 Korea-Japan mini Symposium on Solar Cells(Pitchaimuthu Sudhagar(Hanyang University)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놀로지센터(FTC)
 +
 +
===워크샵===
 +
* 2009~2013 성과발표 및 산학협력 심포지움(강용수(한양대학교)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 놀로지센터(FTC) 외
 +
 +
===세미나===
 +
* 2009. 09. 23 국내 석학 초청 세미나(김민규 박사 (포항가속기연구소)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 놀로지센터(FTC)
 +
* 2009. 08. 27 국외 석학 초청 세미나(Anders Hagfeldt(Uppsala University)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놀로지센터(FTC) 등
 +
 +
=연구과제=
 +
*[[연구소/연구과제]] 문서를 참고
 +
=출판=
 +
*해당 출판물이 없을 경우 삭제하며, 하나만 있을 경우 (ex. 학술지만 있음) 학술지를 상위 분류로 둔 후 나머지는 삭제
 +
===학술지===
 +
===출판물(연구총서)===
 +
===저서===
 +
=기타 연구소 사업=
 +
=관련 기사=
 
[[분류:대학 조직]]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분류:서울 부설기관]]

2019년 10월 9일 (수) 13:44 판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직면해 있는 환경과 자원 위기를 극복하고, 필요한 원천기술개발과 실용화, 나아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선점하고자 설립[1], 한국연구재단 기초과학연구사업 우수연구집단육성사업 우수공학연구센터 (Engineering Research Center)

  • 소속: 서울 산학협력단 외부지정연구센터 차세대염료감응태양전지기술센터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영문명: Center for Next Generation Dye-Sensitized Solar Cells
  • 중문명: 新一代染料敏化太阳能电池中心
  • 소장: 강용수 에너지공학과 교수

개황

설립목적

  1. 차세대 고체 및 준고체형(quasi-soild state) 염료감응 태양전지 핵심소재에 관한 세계적 수준의 원천기술을 개발
  2.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갖는 준고체형 및 고체형 염료감응태양전지 개발
  3. 분야 국가 경쟁력확보 및 신산업 창출에 기여
  4. 에너지 특히 태양전지분야의 창조적 핵심 인재 양성을

연혁

  • 2008.09.01. 차세대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센터 개소
  • 2008.10.28. 차세대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센터 개소식 및 제1회 염료감응 태양전지 산학협력 심
  • 포지움 개최
  • 2009.05. 한양대학교내 퓨전테크놀로지센터(FTC)로 센터 이전

주요활동

  • 매년 여름 염료감응태양전지 썸머스쿨 개최를 통한 산학연 교육 프로그램 마련
  • 매년 일본, 중국, 스웨덴, 스페인 등 우수 연구소와 공동 심포지움, 워크샵, 초청세미나 등을 통한 학술활동 전개

학술행사

국제학술회의

  • 2009. 08. 24-25 Korea-Japan Symposium on Solar Cells (Hironori Arakawa(Tokyo Univ. of Sci.) 외),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 2010. 08. 24-25 Korea-China Symposium on Solar Cells(Songyuan Dai(Chinese Academy of Sciences) 외), Huangshan, China
  • 2010. 08. 25-28 Aseanian Conference on Solar Cells(Liyuan Han(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외), Huangshan, China
  • 2011. 08. 23 Korea-China Symposium on Solar Cells(Jun Zhu(Chinese Academy of Sciences) 외), 한양대학교 종합기술연구원(HIT)
  • 2011. 06. 25 Korea-Japan mini Symposium on Solar Cells(Pitchaimuthu Sudhagar(Hanyang University)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놀로지센터(FTC)

워크샵

  • 2009~2013 성과발표 및 산학협력 심포지움(강용수(한양대학교)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 놀로지센터(FTC) 외

세미나

  • 2009. 09. 23 국내 석학 초청 세미나(김민규 박사 (포항가속기연구소)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 놀로지센터(FTC)
  • 2009. 08. 27 국외 석학 초청 세미나(Anders Hagfeldt(Uppsala University) 외), 한양대학교 퓨전테크놀로지센터(FTC) 등

연구과제

출판

  • 해당 출판물이 없을 경우 삭제하며, 하나만 있을 경우 (ex. 학술지만 있음) 학술지를 상위 분류로 둔 후 나머지는 삭제

학술지

출판물(연구총서)

저서

기타 연구소 사업

관련 기사

  1. 한양대학교 요람 2009-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