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편집 요약 없음
==1. 식민과 전쟁의 역경을 딛고 성장한 교육의 꿈(1939~1958)==
[[분류:ERICA40년사]]
*한국 최초 고등기술교육기관인 한양대학교의 역사는 1939년 7월 1일 동아공과학원 설립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산업기반의 구축만이 우리의 살길이라 굳게 믿은 김연준(金連俊) 선생의 줄기찬 집념의 소산이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는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이 기승을 부리던 고난의 시절이었고,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공황의 선후책을 강구하느라 소용돌이치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에 대한 민족차별과 노예적 동화를 근간으로 삼은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은 한국인에 대한 고등기술교육을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있었다. 타고난 음악적 재능으로 음악가의 길을 걷던 25세의 청년 김연준은 이처럼 치욕적인 민족의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오직 ‘기술교육’이라는 신념하에 1939년 7월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한다.
*전통적으로 인문교육만을 중시해 왔던 우리의 역사를 뛰어넘어 ‘쟁이’를 기르기 위한 실용적 기술교육을 목표로, 체계적인 기술교육의 터전이 마련된 것은 이 학원이 최초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노력의 결실로서 천도교기념관에 자리 잡은 동아공과학원은 전임교사 13명, 강사 22명, 서기 2명, 용인 1명, 급사 2명의 진용을 갖추고 학생 630여 명을 모집하여 수업을 시작하였다. 오늘날 한양대학교의 전신인 동아공과학원 배움의 터전은 지금도 수운회관(前 천도교회관) 한 모퉁이에 남아 있어 스스로가 공학도의 산실로서의 구실을 다했음을 뚜렷하게 증언해 주고 있다.

편집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