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울캠퍼스 수시모집 선발 전형====
=====2013년=====
* 입학 사정관 전형: 학업우수자, 브레인한양, 미래인재, 사랑의실천, 농어촌학생, 특성화고졸재직자
** 학업우수자 전형: 2단계 전형으로 1단계에서 학생부 교과로 3배수를 선발한다. 이후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50%의 인원을 입학사정관 종합평가 70%와 면접 고사 30%를 합산하고 수능최저기준을 미적용하여 선발하였다. 남은 50%의 인원은 입학사정 관 종합평가와 면접고사 적용 비율은 같으나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하여 선발하였다.
** 재능우수자 전형: 발명, 음악, 체육특기, 연기, 국제학부로 나누어 각각의 전형 별로 서 류(대회성적, 입상경력 등), 실기, 면접 등을 반영하여 선발하였다.
=====2014년=====
2014년도에는 2013년의 제도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 외의 전형은 크게 변화한 내용 없이 유지되었다.
=====2015년 =====
교육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학생부위주, 논술위주, 실기위주로 단순화하였다.
* 기존의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변경 하였고 이외에도 학생부교과, 특성화고졸재직자, 논술, 특기자 전형을 실시했다.
* 핫생부종합전형은 학생부 종합평가를 100% 반영 하여 선발한다. 논술전형은 학생부 종합평가 50%, 논술고사 50%를 반영하여 선발한다.
* 이외 각 특기자 전형(어학, 미술, 음악, 체육, 연기)은 서류(대회성적, 입상경력 등)와 학생부 종합 평가, 실기고사 등을 각 특기에 따라 반영을 달리하여 선발한다.
=====2016년=====
전년도의 큰 기조를 유지하면서 학생부 종합 전형의 선발 인원을 기존보다 44명 더 확대하였다.
* 2016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경쟁률이 크게 증 가하여 2015년도 24.5대 1이었던 수시 경쟁률이 31.5대 1로 늘어났다.
=====2017년=====
2017년도 수시모집 선발전형 역시 전년도의 기조를 유지하며 진행되었다.
* 교육부의 대학정원 감축 정책에 더하여 수시 응시 인원이 타 연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면 서 경쟁률이 26.1대 1로 전년도에 비해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8년=====
2018년도 수시모집 선발전형 역시 이전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진행되었다.
====서울캠퍼스 수시 입학자 수====
{| class="wikitable"
|-

편집

11,913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