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2015년: 학과 구조조정 및 학제개편으로 전자통신공학과 및 전자시스템공학과는 전자공학부로 통합. 재료공학과 및 화학공학과는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 해군과의 군사계약학과 설립 협약으로 국방정보공학과가 신설.
** 2017년: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되어 소프트웨어학부, ICT융합학부 신설. 과학기술대학은 과학기술융합대학으로 명칭 변경 및 나노광전자학과, 화학분자공학과, 해양융학공학과가 신설.
 
 
=== 전공학점 및 졸업이수학점 변경 ===
한양대학교는 전공필수과목을 도입하고 전공 이수학점을 단과대학별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전공교육을 내실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서울캠퍼스
** 2013-2015 교육과정에서 이전보다 졸업 이수 학점을 낮추었다.
*** 기존 공과대학 제외 공통 졸업학점: 136학점 이상 → 126학점 이상
*** 공과대학의 졸업학점: 140학점 이상 → 130학점 이상
*** 건축학부 졸업학점: 172학점 이상 → 162학점 이상
 
** 2016-2019 교육과정에서는 전공 의무 이수 학점 기준을 낮추어 기본적으로 전공핵심 36학점, 전공심화 30학점을 듣도록 하였다.
** 전공 학점이 줄어든 이유는 이전까지 졸업학점을 채우기 위해 원하지 않는 과목을 들어야 한다는 불만을 해결하고, 다(多)전공을 장려하여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 공과대학 전공 학점: 전공핵심 36학점, 전공심화 24학점으로 줄어듬.
*** 공과대학 제외 단과 대학: 전공핵심 27학점, 전공심화 18학점으로 줄어듬.
** 전공 강의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존보다 전공과목 수를 줄임.
** 전공과목의 개설 여부는 각 학과가 결정하나, 학사팀에서 개설 가능한 학과별 전공과목 개수를 기존보다 낮춤.
 
** 교양 영역에서도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개편을 단행함.
** 복합적 사고 능력을 요하는 추세에 맞춰 창의, 소통, 융합이라는 'ACE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축.
** 온라인 교육이 강조되는 추세에 따라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B-Learning을 활성화하고 융합전공을 확대함.
** 5가지 영역으로 나눠져 있던 핵심교양 영역을 개편함.
*** 기존의 '비즈니스와 리더십', '언어와 표현' 영역 대신 '소프트웨어', '미래산업과 창업', '글로벌 언어와 문화', '고전읽기'의 4가지 영역이 새롭게 생김.
 
 
* ERICA캠퍼스
** 2013-2015교육과정에서 산합협력영영 POOL 내에서 지정학점 이수를 의무화하여 전문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했다.
** 공통기초필수인 '영어 커뮤니케이션'과 '창의적 영어읽기' 교과목을 수준별로 운영함.
** 전공필수과목을 도입하고 전공 이수학점을 단과대학별 특성에 맞게 변경하였다.
 
** 2016-2019교육과정에 들어서면서 다(多)전공 이수를 장려하기 위해 학생들이 의무 이수해야 할 최소 전공 학점을 낮추었고, 이를 통해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
*** 공학대학(건축학전공, 융합공학과, 스마트융합공학부 제외), 과학기술융합대학, 국제문화대학, 디자인대학의 경우 최소 전공이수학점이었던 72점을 66점으로 낮춤.
*** 공학대학 융합공학과는 87점을 81점으로 낮춤.
*** 셩상대학 회무세계학과 역시 87점을 81점으로 낮춤.
** 전공등재학점 감소에 따라 학생들의 전공과목 선택권을 확보하기 위해 학과 간 전공과목교류제(Code Share)를 도입.
** 유사 교양과목 통폐합을 통해 강좌 수를 조정하고 융복합과목 개설을 확대함.
 
=== 다(多)전공 권장 ===
한양대학교는 학제 간 경계가 흐려지고 다양한 학문적 실험들이 시도되고 있는 세계적 학문 추세를 반영해 다(多)전공을 권장하고 있다. 다(多)전공에는 다중전공, 융합전공, 부전공, 복수전공, 연계전공, 마이크로 전공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학생들이 의무 이수해야할 최소 전공학점을 낮추어 다전공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다중전공: 타 학과의 소정 학점을 이수하면 주전공과 다중전공이 병행표기된 학위를 수여받는 제도이다.
* 융합전공: 다중전공과 비슷하지만, 기존 전공에서 융합해 만들어진 전공을 제2전공으로 이수하는 제도다.
* 부전공: 다중전공보다 필요이수학점이 적으며, 다중전공과 달리 부전공은 1개만 인정된다.
** 다중전공을 취소하고 부전공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2개 이상의 다중전공을 진행하고 있을 경우 한 개만 부전공으로 선택이 가능함.
** 부전공 과정 역시 이수할 경우 주전공과 부전공이 병행 표기된 학위를 취득하게 됨.
* 복수전공: 주전공의 졸업 요건을 충족한 뒤 졸업을 미루고 다른 전공을 이수하는 제도다.
** 복수전공 학과의 지정된 전공학점을 이수하면 주전공과 복수전공이 병행 표기된 학위를 취득하게 됨.
** 복수전공은 양 캠퍼스 간 교차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임.
* 연계전공: 3개 이상의 전공이 참여해 가상의 전공을 구성하고 참여 학과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제도다.
** 편재 상 실재하지 않는 학과라는 점이 특징임.
 
서울캠퍼스 연도별 다(多)전공 이수 학생 수(졸업자 기준) (2013-2018)
{| class="wikitable"
|-
! 표 제목 !! 표 제목 !! 표 제목 !! 표 제목 !! 표 제목 !! 표 제목 !! 표 제목
|-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편집

310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