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ICA40년사/1980년대입시정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34번째 줄: 34번째 줄:
 
|2,080
 
|2,080
 
|}
 
|}
 +
*졸업정원제는 졸업정원을 기준으로 일정비율의 신입생을 초과 모집하여 성적 불량자를 매년 유급 탈락시키고, 성적이 정원 내에 미치지 못하는 졸업탈락자는 수료증을 주는 제도였다. 이 제도에 따라 한양대학교 반월대학은 정원의 30%를 초과하여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
*그러나 대학입시의 과열현상을 막고 학업에 전념하는 대학풍토를 구축, 대학교육을 정상화한다는 졸업정원제는 표면적으로는 그 취지가 교육적이고 바람직하지만, 실제 동기는 대학교육 정상화라는 이름 아래 학점과 졸업을 미끼로 교수들의 학생들에 대한 장악력을 강화함으로써 정권에 비판적인 대학생들을 위축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 또, 졸업정원제가 중도탈락자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는 데다 대학생활이 성적 위주로 흐른다는 비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논술도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이 문제가 되었으며 결국 1986년에 졸업정원제는 폐지되었고, 논술은 면접 방식으로 바뀌었다.
 +
 +
==예비고사 폐지와 대학입학 학력고사 실시==

2020년 5월 8일 (금) 13:22 판

ERICA40년사 중 1980년대 안산캠퍼스 관련 내용입니다.

졸업정원제 실시

  • 대학입학전형은 1981학년도에 이르자 큰 변화를 맞이했다. 1980년대 정부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7·30 교육개혁조치를 발표하였다. 이 조치는 과외공부의 과열을 해소시키고 고교 교육을 정상화시킨다는 명분하에 취해진 것으로 졸업정원제 실시와 대입본고사 폐지, 대학입학학력고사, 고교내신제 도입이 주된 내용이었다. 이에 따라 한양대학교 반월분교 역시 졸업정원제에 의해 입학정원이 재조정되었다.
  • 1981학년도 반월대학 계열별 학생 현황 (<단위 : 명>) (입학인원은 졸업정원에 30%를 가산한 숫자임)
계열 졸업정원 입학인원
공학계열

(기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산업공학과, 금속재료공학과)

980 1,274
어문계열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중어중문학과)

300 390
상경계열

(경제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

240 312
체육계열

(체육학과, 무용과)

80 104
반월대학 합계 1,600 2,080
  • 졸업정원제는 졸업정원을 기준으로 일정비율의 신입생을 초과 모집하여 성적 불량자를 매년 유급 탈락시키고, 성적이 정원 내에 미치지 못하는 졸업탈락자는 수료증을 주는 제도였다. 이 제도에 따라 한양대학교 반월대학은 정원의 30%를 초과하여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 그러나 대학입시의 과열현상을 막고 학업에 전념하는 대학풍토를 구축, 대학교육을 정상화한다는 졸업정원제는 표면적으로는 그 취지가 교육적이고 바람직하지만, 실제 동기는 대학교육 정상화라는 이름 아래 학점과 졸업을 미끼로 교수들의 학생들에 대한 장악력을 강화함으로써 정권에 비판적인 대학생들을 위축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 또, 졸업정원제가 중도탈락자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는 데다 대학생활이 성적 위주로 흐른다는 비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논술도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이 문제가 되었으며 결국 1986년에 졸업정원제는 폐지되었고, 논술은 면접 방식으로 바뀌었다.

예비고사 폐지와 대학입학 학력고사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