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입학제도==
===모집 단위===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캠퍼스의 입학 모집단위에서는 이전의 추세가 이어져 학부제에서 학과제로의 전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2013년에는 자연과학부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로 분리하고 생활과학부를 의류학과, 식품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로 분리했다. 또한 공과대학에 응용시스템학과를 신설하고 의과대학의 간호학과를 분리하여 간호학부 간호학전공으로 개편하였다. 2014년에는 사회과학부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행정학과로 분리했다. 2015년에서 2016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15개로 늘어난 것은 공과대학의 응용시스템학과가 별도로 산업융합학부로 신설되면서 새로운 단과대학으로 출범하기 때문이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ERICA캠퍼스 입학 모집단위의 특징은 기존의 학과 및 모집단위 체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변화하는 양상을 띠었다는 점이다. 2015년 학과 구조조정 및 학제 개편으로 전자통신공학과 및 전자시스템공학과는 전자공학부로 통합, 재료공학과 및 화학공학과는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되었으며, 해군과의 군사계약학과 설립 협약으로 국방정보공학과가 신설되었다.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난 것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되어 소프트웨어학부 및 ICT융합학부가 신설되었기 때문이다.  ====[표 3-1-1] 서울캠퍼스 입학 모집 단위 (2013-2018)====
{| class="wikitable"
|-
|2018||15||11||47||2||4
|}
====[표 3-1-2] ERICA캠퍼스 입학 모집 단위 (2013-2018) ====
{| class="wikitable"
|-
|35
|}
==== 연도별 현황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캠퍼스의 입학 모집단위에서는 이전의 추세가 이어져 학부제에서 학과제로의 전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2013년에는 자연과학부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로 분리하고 생활과학부를 의류학과, 식품양학과, 실내건축디자인학과로 분리했다. 또한 공과대학에 응용시스템학과를 신설하고 의과대학의 간호학과를 분리하여 간호학부 간호학전공으로 개편하였다. 2014년에는 사회과학부를 정치외교학과, 사회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행정학과로 분리했다. 2015년에서 2016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15개로 늘어난 것은 공과대학의 응용시스템학과가 별도로 산업융합학부로 신설되면서 새로운 단과대학으로 출범하기 때문이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ERICA캠퍼스 입학 모집단위의 특징은 기존의 학과 및 모집단위 체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변화하는 양상을 띠었다는 점이다. 2015년 학과 구조조정 및 학제 개편으로 전자통신공학과 및 전자시스템공학과는 전자공학부로 통합, 재료공학과 및 화학공학과는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되었으며, 해군과의 군사계약학과 설립 협약으로 국방정보공학과가 신설되었다.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가면서 단과대학수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난 것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이 설립되어 소프트웨어학부 및 ICT융합학부가 신설되었기 때문이다.
====[표3-1-3] 서울캠퍼스 단과대학별 모집단위 (2013-2018)====
===편입생===
2013년도 편입학 선발방식은 인문계의 경우,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성적 10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80%, 전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한다. 자연계는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50%, 수학5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40%, 수학4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했다. 2014년도까지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5년도부터 자연계 필기시험 반영비율을 조정하였다. 자연계1단계 필기시험 어40%, 수학60% 반영하고, 2단계에서 어30%, 수학5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하고, 수학 반영비율을 높여 자연계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2015년도에 일반편입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행정고시,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인세무사, 보험계리사, 외교관후보자 시험 1차 이상 합격자의 지원을 유도하였다. 2016년도 선발방식의 변화로 일반편입학의 보험계리학과는 인문계에 속하지만 자연계에 준하여 영어 및 수학시험을 실시한다. 2017년도는 전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8년도 편입학 선발부터 정원 외 특별전형 선발을 확대하여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성화고교출신자, 기회균형선발, 농어촌학생 편입학을 선발하였다.
편입생 수는 2013년도에 비해 2016년까지 감소하다가 2017년도에 늘어났고 2018년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표 3-1-7] 서울캠퍼스 편입생 수====
{| class="wikitable"
특례편입은 외국인 편입생 수
 
====년도별 편입학 특징====
2013년도 편입학 선발방식은 인문계의 경우,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성적 10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80%, 전적대 성적20% 반영하여 선발한다. 자연계는 1단계 필기시험에서 영어50%, 수학50% 반하고, 2단계에서 영어40%, 수학4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했다. 2014년도까지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5년도부터 자연계 필기시험 반영비율을 조정하였다. 자연계1단계 필기시험 어40%, 수학60% 반영하고, 2단계에서 어30%, 수학50%, 전적대 성적20% 반하여 선발하고, 수학 반영비율을 높여 자연계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2015년도에 일반편입 우선선발 제도를 도입하여 행정고시,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인세무사, 보험계리사, 외교관후보자 시험 1차 이상 합격자의 지원을 유도하였다. 2016년도 선발방식의 변화로 일반편입학의 보험계리학과는 인문계에 속하지만 자연계에 준하여 영어 및 수학시험을 실시한다. 2017년도는 전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2018년도 편입학 선발부터 정원 외 특별전형 선발을 확대하여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성화고교출신자, 기회균형선발, 농어촌학생 편입학을 선발하였다.
 
편입생 수는 2013년도에 비해 2016년까지 감소하다가 2017년도에 늘어났고 2018년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입학현황==

편집

11,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