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생애) |
잔글 (→생애)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일제 강점기,조국이 어둠 속에서 신음할 때 기술보국(技術保國)의 신념으로 한양대학교를 설립하였고, | 일제 강점기,조국이 어둠 속에서 신음할 때 기술보국(技術保國)의 신념으로 한양대학교를 설립하였고, | ||
음악에 대한 사랑으로 <청산에 살리라>와 같은 국민가곡을 작곡하 여 한국인의 가슴에 아름다운 선율을 심어주었으며,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회장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인간에 대한 사랑 을 몸소 실천한 백남 김연준 선생! 사람이 이 땅에 이름을 남기는 것 은 어렵고 그 이름이 후세에 아름답게 기억되는 것은 더욱 어렵지만 백남 김연준 선생은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로 우리 기억에 남아 있다. | 음악에 대한 사랑으로 <청산에 살리라>와 같은 국민가곡을 작곡하 여 한국인의 가슴에 아름다운 선율을 심어주었으며,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회장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인간에 대한 사랑 을 몸소 실천한 백남 김연준 선생! 사람이 이 땅에 이름을 남기는 것 은 어렵고 그 이름이 후세에 아름답게 기억되는 것은 더욱 어렵지만 백남 김연준 선생은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로 우리 기억에 남아 있다. | ||
+ | |||
+ | |||
백남 선생이 설립한 양대학교의 건학이념은 ‘사랑의 실천’이다. | 백남 선생이 설립한 양대학교의 건학이념은 ‘사랑의 실천’이다. | ||
백남 선생은 구호로서의 사랑이 아니라 삶 속에 실천되는 사랑을 중요시했다. | 백남 선생은 구호로서의 사랑이 아니라 삶 속에 실천되는 사랑을 중요시했다. | ||
+ | |||
+ | |||
기회 있을 때마다 백남 선생은 ‘사랑은 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삶 속에서 직접 사랑 을 실천했다. “사랑은 이론에서 화려하고 말에서 시적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론이나 말에 머물러 있는 한 그야말로 무지개 같은 아름다움이어서 실체 없는 환각과 다를 것이 없다. 사랑은 구체적인 생활에 서 스며 나온다. 그러므로 사랑이란 말과 실천이란 말은 분리될 수 없는 한 몸이다.”라는 그의 사랑관 은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 기회 있을 때마다 백남 선생은 ‘사랑은 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삶 속에서 직접 사랑 을 실천했다. “사랑은 이론에서 화려하고 말에서 시적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론이나 말에 머물러 있는 한 그야말로 무지개 같은 아름다움이어서 실체 없는 환각과 다를 것이 없다. 사랑은 구체적인 생활에 서 스며 나온다. 그러므로 사랑이란 말과 실천이란 말은 분리될 수 없는 한 몸이다.”라는 그의 사랑관 은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 ||
+ | |||
그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사회의 질서를 도모하고 모든 이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질서와 조화의 정신 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 그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사회의 질서를 도모하고 모든 이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질서와 조화의 정신 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 ||
“제각기 다른 소리를 내는 여러 악기들이 한데 모여 아름다운 멜로디를 창조 해냅니다. 이 모든 악기들이 질서와 조화의 정신으로 통합되지 않고 각각의 소리를 낸다면 그냥 소음 에 불과할 것입니다. 나는 사랑의 실천을 통해 세계와 인류가 울려내는 오묘한 멜로디를 들을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라는 그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사랑의 실천의 궁극이 어디에 있는지 를 보여주고 있다. | “제각기 다른 소리를 내는 여러 악기들이 한데 모여 아름다운 멜로디를 창조 해냅니다. 이 모든 악기들이 질서와 조화의 정신으로 통합되지 않고 각각의 소리를 낸다면 그냥 소음 에 불과할 것입니다. 나는 사랑의 실천을 통해 세계와 인류가 울려내는 오묘한 멜로디를 들을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라는 그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사랑의 실천의 궁극이 어디에 있는지 를 보여주고 있다. | ||
백남 선생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분명한 사회인식과 역사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 백남 선생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분명한 사회인식과 역사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 ||
+ | |||
“사회의 운명은 곧 나의 운명이고 사회의 비극은 곧 나의 비극이라는 연대적 책임감이 철저”해야 한다 고 강조하고 “우리는 역사의 방향을 바로 잡는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 가 되어야 한다. 그것만이 역사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사의식에 바탕을 둔 사랑의 철학을 피력한 바 있다. | “사회의 운명은 곧 나의 운명이고 사회의 비극은 곧 나의 비극이라는 연대적 책임감이 철저”해야 한다 고 강조하고 “우리는 역사의 방향을 바로 잡는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 가 되어야 한다. 그것만이 역사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사의식에 바탕을 둔 사랑의 철학을 피력한 바 있다. | ||
+ | |||
백남 선생에게 있어서 사랑은 추상명사가 아니었다. 그것은 실천을 통 해 동사가 되었다. 그에게는 분명한 사랑을 실천하는 방법론이 있었기 때문이다. 백남 선생은 사랑의 실천 방법으로 근면, 정직, 겸손, 봉사의 네 가지 덕목을 제시한 바 있다. | 백남 선생에게 있어서 사랑은 추상명사가 아니었다. 그것은 실천을 통 해 동사가 되었다. 그에게는 분명한 사랑을 실천하는 방법론이 있었기 때문이다. 백남 선생은 사랑의 실천 방법으로 근면, 정직, 겸손, 봉사의 네 가지 덕목을 제시한 바 있다. | ||
− | “젊은이들은 보다 많은 과일을 따기 위해서 근면하지 않으면 안 된다. | + | |
+ | <big>“젊은이들은 보다 많은 과일을 따기 위해서 근면하지 않으면 안 된다.</big> | ||
+ | |||
근면하되 항상 정직한 방법만으로 많은 과일을 따도록 해야 한다. 또한 많은 과일을 땄다고 해서 오만하지 말고 언제나 누구에게나 겸손해야 한다. 그리고 많은 과일들 을 따서 나 혼자서 그것을 차지하려하지 말고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 한 바 있다. 이러한 사랑의 실천 덕목은, 사랑을 명사적 구호가 아닌 실천의 동사로 만들었다. | 근면하되 항상 정직한 방법만으로 많은 과일을 따도록 해야 한다. 또한 많은 과일을 땄다고 해서 오만하지 말고 언제나 누구에게나 겸손해야 한다. 그리고 많은 과일들 을 따서 나 혼자서 그것을 차지하려하지 말고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 한 바 있다. 이러한 사랑의 실천 덕목은, 사랑을 명사적 구호가 아닌 실천의 동사로 만들었다. | ||
우리가 백남 선생을 기리는 것은 바로 이렇게, 사랑을 명사에서 동사로 바꾸었기 때문이며 몸소 근면, 정직, 겸손, 봉사의 덕목을 삶 속에 실천하며 사랑의 실천자로 일관된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교육자 자신들에게는 늙어죽는 그 순간까지 끊임없는 사명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어서 교육자됨을 끝낼 수는 없는 것이다. 그에게는 후배를 위한 제사장적인 대도(代禱)의 책임이 있다. 강단에서 강의하 거나 교육기관에서 행정을 맡은 일이 끝났다고 할지라도 그의 스승으로서의 구실만은 단념할 수가 없 는 것이다”는 그의 말처럼 백남 선생의 삶은 제사장적 대도(代禱)의 삶이었고 이제 선생은 가고 없지 만 그의 사랑의 실천이라는 대도(代禱)는 아직까지 남아 이제 백남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 우리가 백남 선생을 기리는 것은 바로 이렇게, 사랑을 명사에서 동사로 바꾸었기 때문이며 몸소 근면, 정직, 겸손, 봉사의 덕목을 삶 속에 실천하며 사랑의 실천자로 일관된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교육자 자신들에게는 늙어죽는 그 순간까지 끊임없는 사명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어서 교육자됨을 끝낼 수는 없는 것이다. 그에게는 후배를 위한 제사장적인 대도(代禱)의 책임이 있다. 강단에서 강의하 거나 교육기관에서 행정을 맡은 일이 끝났다고 할지라도 그의 스승으로서의 구실만은 단념할 수가 없 는 것이다”는 그의 말처럼 백남 선생의 삶은 제사장적 대도(代禱)의 삶이었고 이제 선생은 가고 없지 만 그의 사랑의 실천이라는 대도(代禱)는 아직까지 남아 이제 백남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
2017년 9월 26일 (화) 23:31 판
- 한양 재단 설립자
- 호는 백남(Paiknam)
생애
"명사를 동사로 바꾸다." 백남 선생의 ‘사랑의 실천’ 철학
백남 김연준 선생의 삶은 ‘사랑의 실천’이라는 한 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조국이 어둠 속에서 신음할 때 기술보국(技術保國)의 신념으로 한양대학교를 설립하였고, 음악에 대한 사랑으로 <청산에 살리라>와 같은 국민가곡을 작곡하 여 한국인의 가슴에 아름다운 선율을 심어주었으며,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회장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인간에 대한 사랑 을 몸소 실천한 백남 김연준 선생! 사람이 이 땅에 이름을 남기는 것 은 어렵고 그 이름이 후세에 아름답게 기억되는 것은 더욱 어렵지만 백남 김연준 선생은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로 우리 기억에 남아 있다.
백남 선생이 설립한 양대학교의 건학이념은 ‘사랑의 실천’이다.
백남 선생은 구호로서의 사랑이 아니라 삶 속에 실천되는 사랑을 중요시했다.
기회 있을 때마다 백남 선생은 ‘사랑은 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삶 속에서 직접 사랑 을 실천했다. “사랑은 이론에서 화려하고 말에서 시적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론이나 말에 머물러 있는 한 그야말로 무지개 같은 아름다움이어서 실체 없는 환각과 다를 것이 없다. 사랑은 구체적인 생활에 서 스며 나온다. 그러므로 사랑이란 말과 실천이란 말은 분리될 수 없는 한 몸이다.”라는 그의 사랑관 은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그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사회의 질서를 도모하고 모든 이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질서와 조화의 정신 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제각기 다른 소리를 내는 여러 악기들이 한데 모여 아름다운 멜로디를 창조 해냅니다. 이 모든 악기들이 질서와 조화의 정신으로 통합되지 않고 각각의 소리를 낸다면 그냥 소음 에 불과할 것입니다. 나는 사랑의 실천을 통해 세계와 인류가 울려내는 오묘한 멜로디를 들을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라는 그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사랑의 실천의 궁극이 어디에 있는지 를 보여주고 있다. 백남 선생의 사랑의 실천 철학은 분명한 사회인식과 역사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사회의 운명은 곧 나의 운명이고 사회의 비극은 곧 나의 비극이라는 연대적 책임감이 철저”해야 한다 고 강조하고 “우리는 역사의 방향을 바로 잡는 위대한 사랑의 실천자 가 되어야 한다. 그것만이 역사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사의식에 바탕을 둔 사랑의 철학을 피력한 바 있다.
백남 선생에게 있어서 사랑은 추상명사가 아니었다. 그것은 실천을 통 해 동사가 되었다. 그에게는 분명한 사랑을 실천하는 방법론이 있었기 때문이다. 백남 선생은 사랑의 실천 방법으로 근면, 정직, 겸손, 봉사의 네 가지 덕목을 제시한 바 있다.
“젊은이들은 보다 많은 과일을 따기 위해서 근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근면하되 항상 정직한 방법만으로 많은 과일을 따도록 해야 한다. 또한 많은 과일을 땄다고 해서 오만하지 말고 언제나 누구에게나 겸손해야 한다. 그리고 많은 과일들 을 따서 나 혼자서 그것을 차지하려하지 말고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 한 바 있다. 이러한 사랑의 실천 덕목은, 사랑을 명사적 구호가 아닌 실천의 동사로 만들었다. 우리가 백남 선생을 기리는 것은 바로 이렇게, 사랑을 명사에서 동사로 바꾸었기 때문이며 몸소 근면, 정직, 겸손, 봉사의 덕목을 삶 속에 실천하며 사랑의 실천자로 일관된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교육자 자신들에게는 늙어죽는 그 순간까지 끊임없는 사명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어서 교육자됨을 끝낼 수는 없는 것이다. 그에게는 후배를 위한 제사장적인 대도(代禱)의 책임이 있다. 강단에서 강의하 거나 교육기관에서 행정을 맡은 일이 끝났다고 할지라도 그의 스승으로서의 구실만은 단념할 수가 없 는 것이다”는 그의 말처럼 백남 선생의 삶은 제사장적 대도(代禱)의 삶이었고 이제 선생은 가고 없지 만 그의 사랑의 실천이라는 대도(代禱)는 아직까지 남아 이제 백남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공학
음악
인권/봉사
연보
백남기념사업회
- 백남기념사업회 홈페이지 : http://paiknam.hanyang.ac.kr
- 백남상 제정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