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ICA40년사/발전하는 안산캠퍼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특성화 목표 및 전략 과제.jpg|섬네일]]
 +
 
=대학의 특성화 전략=
 
=대학의 특성화 전략=
 +
 
*21세기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대학은 사 회 각 분야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사명을 갖게 되었고, 이로 인 한 대학의 큰 과제는 바로 대학별 특성화였다. 대학별 특성화를 통해 각 대학들이 역할을 분담함으로써 차별 화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와 사 회가 필요로 하는 각 분야의 인재들을 적절하게 길러 냄으로써, 교육의 최종 수혜자인 사회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대학 특성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년 여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 조사를 거쳐 1994년에 수립한 ‘중장기 발전전략’ 에서 ‘실용학풍의 실현’을 특성화 목표로 설정하였다.
 
*21세기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대학은 사 회 각 분야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사명을 갖게 되었고, 이로 인 한 대학의 큰 과제는 바로 대학별 특성화였다. 대학별 특성화를 통해 각 대학들이 역할을 분담함으로써 차별 화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와 사 회가 필요로 하는 각 분야의 인재들을 적절하게 길러 냄으로써, 교육의 최종 수혜자인 사회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대학 특성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년 여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 조사를 거쳐 1994년에 수립한 ‘중장기 발전전략’ 에서 ‘실용학풍의 실현’을 특성화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는 일제 강점기 ‘기술보국’이라는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출발하게 된 한양의 정신과 결합되는 것으로 한양대학교의 교육과 연구의 근본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대학에서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와 교육’을 새로운 ‘실용’의 개념으로 정립하였 다. 정보화사회, 후기산업사회에서는 그동안 ‘순수’라고 인식되어 왔던 각 영역분야들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사회적 요구와 결합하였으며, 서로 독자적인 분야로 인식되어 오던 학문 분야들도 과 감하게 벽을 허물고 결합하여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한양대학교는 '실용학풍의 실현'이라는 목표 하에 어떤 특정 분야만을 육성하는 소극적인 특성화가 아니라 현대사회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뿐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출하고자 하는 지향 목표이자 학문적 풍토를 의미하는 것이였다. 이러한 특성화 목표에 따라 한양대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연구 성과 창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양성'이라는 하위목표를 설정하고 연구와 교육을 통해 현실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제 강점기 ‘기술보국’이라는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출발하게 된 한양의 정신과 결합되는 것으로 한양대학교의 교육과 연구의 근본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대학에서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와 교육’을 새로운 ‘실용’의 개념으로 정립하였 다. 정보화사회, 후기산업사회에서는 그동안 ‘순수’라고 인식되어 왔던 각 영역분야들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사회적 요구와 결합하였으며, 서로 독자적인 분야로 인식되어 오던 학문 분야들도 과 감하게 벽을 허물고 결합하여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한양대학교는 '실용학풍의 실현'이라는 목표 하에 어떤 특정 분야만을 육성하는 소극적인 특성화가 아니라 현대사회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뿐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출하고자 하는 지향 목표이자 학문적 풍토를 의미하는 것이였다. 이러한 특성화 목표에 따라 한양대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연구 성과 창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양성'이라는 하위목표를 설정하고 연구와 교육을 통해 현실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020년 7월 9일 (목) 11:53 판

특성화 목표 및 전략 과제.jpg

대학의 특성화 전략

  • 21세기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대학은 사 회 각 분야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사명을 갖게 되었고, 이로 인 한 대학의 큰 과제는 바로 대학별 특성화였다. 대학별 특성화를 통해 각 대학들이 역할을 분담함으로써 차별 화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와 사 회가 필요로 하는 각 분야의 인재들을 적절하게 길러 냄으로써, 교육의 최종 수혜자인 사회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대학 특성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년 여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 조사를 거쳐 1994년에 수립한 ‘중장기 발전전략’ 에서 ‘실용학풍의 실현’을 특성화 목표로 설정하였다.
  • 이는 일제 강점기 ‘기술보국’이라는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출발하게 된 한양의 정신과 결합되는 것으로 한양대학교의 교육과 연구의 근본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대학에서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와 교육’을 새로운 ‘실용’의 개념으로 정립하였 다. 정보화사회, 후기산업사회에서는 그동안 ‘순수’라고 인식되어 왔던 각 영역분야들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사회적 요구와 결합하였으며, 서로 독자적인 분야로 인식되어 오던 학문 분야들도 과 감하게 벽을 허물고 결합하여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한양대학교는 '실용학풍의 실현'이라는 목표 하에 어떤 특정 분야만을 육성하는 소극적인 특성화가 아니라 현대사회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뿐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출하고자 하는 지향 목표이자 학문적 풍토를 의미하는 것이였다. 이러한 특성화 목표에 따라 한양대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연구 성과 창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양성'이라는 하위목표를 설정하고 연구와 교육을 통해 현실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교육 및 학사행정의 변화

교육과정의 다양성

국제화 교육의 확대

학과 통폐합

시설의 확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