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원 = * 소속: 서울 대학원 원자력공학과 *유형: 대학원*영문명: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중문명: 原子能工学系 =학부= *소속: 서울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유형: 서울 대학*영문명: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중문명: 原子能工学系
* 유형: 대학원
* 영문명: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 중문명: 原子能工学系
= 학부 =
* 소속: 서울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
* 유형: 서울 대학
* 영문명: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 중문명: 原子能工学系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0]]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원자력공학은 말 그대로 원자가 가진 힘을 이용하는 학문입니다. 원자는 핵반응(핵분열,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핵이 반응을 하면 질량이 감소한 만큼 열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또한 반응 후 핵은 불안정한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가 되면서 방사선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 두 에너지를 활용하여 보다 우리 삶을 윤택하게 만들기 위해 관련 이론을 배우고 기술을 개발하며 새로운 영역을 연구 개척해 내는 것이 원자력공학과의 설립목표이자 지향점입니다.
*커리큘럼
[[파일: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기계공학과 커리큘럼(전공안내서2020)<nowiki>*</nowiki>연도별 커리큘럼은 상이할 수 있으니,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시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png{|가운데class="wikitable"|섬네일+! colspan="2" |450x450픽셀전공!1학년!2학년!3학년!4학년|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기계공학과 커리큘럼(전공안내서2020)]]-| colspan="2" |공통|일반물리미분적분학 컴퓨터프로그래밍 원자력과 환경|공업수학수치해석|공업수학||-|발전*|구조및설계||핵공학개론원자로공학응용
핵물리
|운동량및열전달
원자로열수력학
응용열역학
기초원자로재료
방사선차폐설계
원자로이론
기초핵공학실험
|원자력정책
열계통설계
원자로재료
핵융합과플라즈마
원자로물리
원자로설계
원자로실험
열수력실험
|-
|
|안전해석
|
|확률통계
|신뢰성공학
PSA기초이론
실용공학연구
|원자로안전공학
|-
|비발전(방사선)
|
|
|방사선상호작용
방사선계측
|방사선계측실험
방사선량과생물학적영향
|원자력의과학
방사선영상
방사선응용기술
|}* 발전(구조 및 설계) : 원자로 내부에서의 핵반응(양자역학) 및 에너지의 이동(열역학/동역학) 그리고 원자로의 주요 계통 및 시스템(원자로 공학 /설계), 주요계통에서 일어나는 열 · 수력 현상(유체역학/열수력학), 원자로의 재료(재료역학), 차세대 원전의 원리(제 4세대 원전) 등을 배우게 됩니다.
*진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이후로 일본 및 독일, 일부 유럽국가에서 원전 제로정책을 시행하겠다고 공표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에너지원 수입에 인한 수출적자로 인해 2기를 재가동, 독일의 경우 프랑스에서 원자력을 통해 만든 전기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실제 미국과 유럽의 전력을 담당하는 프랑스는 원자력 확대 계획 중이며, 중국 및 인도 등 신흥개발국에서 급증하는 전기수요의 대응으로 원자력을 택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원전(제4세대 원전)을 개발하는 것이 현재 우리가 택할 수 있는 대책이며,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 싶다면 책(대통령을 위한 물리학,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 원자력의 유혹)을 추천해 드립니다.
= 역사 =
" 국내 최초 학과 "
원자력 기술은 각고의 노력 끝에 갈고 닦은 것이다. 1956년 방한한 미국 에디슨전력회사 워커 시슬러 회장은 이승만 대통령에게 "우라늄은 석탄의 250만배 전력을 생산한다"며 원자력 개발을 권유했다. 그때 시슬러 회장은 원자력을 "두뇌에서 캐내는 에너지"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1958년 원자력원을 발족시켰고, 1959년 원자력연구소를 만들었고, 원자력 유학생 273명을 미국·영국에 보냈다. 1958년엔 한양대에, 1959년엔 서울대에 원자력공학과가 생겼다. 당시 한국은 1인당 GDP가 80달러 안팎 나라였다. 지금의 아프리카 수준보다 못한 세계 최빈국이 최첨단 원자력 기술을 습득하겠다고 도전하고 나선 것이다. 미래를 보는 지도자의 안목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박정희 대통령이 이를 이어받아 1971년 국내 첫 원전 고리 1호기를 착공해 1978년 완공시켰다. 당시 한 해 국가 예산의 4분의 1 정도인 3억달러 공사비가 투입됐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3/2019062302058.html
[[분류:대학 조직]] [[분류:대학원]] [[분류:서울 대학]] [[분류:대학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