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출처:사랑한대매거진251-이달의연구자
(→연구)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김 교수는 나노와이어 형태 마이크로 LED를 제작한 후에 프로그래머블 비접촉 전사 방법을 이용해 화소를 구성하는 공정을 고안했다. | *# 김 교수는 나노와이어 형태 마이크로 LED를 제작한 후에 프로그래머블 비접촉 전사 방법을 이용해 화소를 구성하는 공정을 고안했다. | ||
*# 나노와이어 형태의 마이크로 LED 소자를 기판에 미리 제작하고 용매에 분산시켜 개별 화소를 준비한다. 용매에 분산된 마이크로 LED 소자는 교류전기 신호로 백플레인(배후 기판) 위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다. 직접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서 생산성이 높고 빠르게 전사 공정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출처:[[사랑한대매거진251]]-이달의연구자</ref> | *# 나노와이어 형태의 마이크로 LED 소자를 기판에 미리 제작하고 용매에 분산시켜 개별 화소를 준비한다. 용매에 분산된 마이크로 LED 소자는 교류전기 신호로 백플레인(배후 기판) 위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다. 직접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서 생산성이 높고 빠르게 전사 공정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출처:[[사랑한대매거진251]]-이달의연구자</ref> | ||
+ | * '나노와이어 기반 마이크로 LED 연구(차세대 디스플레이)’가 2019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 테마 연구지원 과제로 선정 |
2020년 7월 14일 (화) 13:31 판
연구
- 마이크로 LED 활용한 미래 디스플레이 연구 진행 중
- 김 교수는 나노와이어 형태 마이크로 LED를 제작한 후에 프로그래머블 비접촉 전사 방법을 이용해 화소를 구성하는 공정을 고안했다.
- 나노와이어 형태의 마이크로 LED 소자를 기판에 미리 제작하고 용매에 분산시켜 개별 화소를 준비한다. 용매에 분산된 마이크로 LED 소자는 교류전기 신호로 백플레인(배후 기판) 위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다. 직접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서 생산성이 높고 빠르게 전사 공정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 '나노와이어 기반 마이크로 LED 연구(차세대 디스플레이)’가 2019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 테마 연구지원 과제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