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사랑한대248-이슈&뉴스
↑ 뉴스H 기사 http://www.hanyang.ac.kr/surl/QoG0
(→연구실적)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연구실적 = | = 연구실적 = | ||
+ | * 이달의 연구자 2019년 3월 선정 | ||
+ | * 단결정 고분자 나노 와이어(‘PCDTPT') 개발<ref>[[사랑한대248]]-이슈&뉴스</ref> | ||
+ | *# ‘PCDTPT’ 단결정 나노선은 단결정 고분자 나노 와이어로, 가볍고 뛰어난 성능과 함께 넓은 면적과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 ||
+ | *# 'PCDTPT'의 개발로 유기 반도체의 전하이동도를 기존의 열 배 이상으로 높였다. | ||
+ | |||
* '''<big>새로운 작동 원리 '트랜지스터 소자 개발(2019.5)</big>''' <ref>뉴스H 기사 http://www.hanyang.ac.kr/surl/QoG0</ref> | * '''<big>새로운 작동 원리 '트랜지스터 소자 개발(2019.5)</big>''' <ref>뉴스H 기사 http://www.hanyang.ac.kr/surl/QoG0</ref> | ||
*# 성 교수는 하이브리드 반도체 초격자 구조의 신소재를 이용해 새로운 작동 원리의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했다. | *# 성 교수는 하이브리드 반도체 초격자 구조의 신소재를 이용해 새로운 작동 원리의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했다. | ||
*# 기존 이진법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0과 1의 두 가지 입력에서 벗어나 다중 입력을 이용하는 '멀티레벨(Multi-level)' 컴퓨터가 주목받고 있지만 난이도 높은 제조 공정, 한정된 동작 온도 등이 실용화의 걸림돌이었다. 연구팀은 초격자 구조의 반도체 소재로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멀티레벨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는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기존 이진법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0과 1의 두 가지 입력에서 벗어나 다중 입력을 이용하는 '멀티레벨(Multi-level)' 컴퓨터가 주목받고 있지만 난이도 높은 제조 공정, 한정된 동작 온도 등이 실용화의 걸림돌이었다. 연구팀은 초격자 구조의 반도체 소재로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멀티레벨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는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4월 30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 *#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4월 30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
2020년 7월 16일 (목) 11:34 판
연구실적
- 이달의 연구자 2019년 3월 선정
- 단결정 고분자 나노 와이어(‘PCDTPT') 개발[1]
- ‘PCDTPT’ 단결정 나노선은 단결정 고분자 나노 와이어로, 가볍고 뛰어난 성능과 함께 넓은 면적과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 'PCDTPT'의 개발로 유기 반도체의 전하이동도를 기존의 열 배 이상으로 높였다.
- 새로운 작동 원리 '트랜지스터 소자 개발(2019.5) [2]
- 성 교수는 하이브리드 반도체 초격자 구조의 신소재를 이용해 새로운 작동 원리의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했다.
- 기존 이진법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0과 1의 두 가지 입력에서 벗어나 다중 입력을 이용하는 '멀티레벨(Multi-level)' 컴퓨터가 주목받고 있지만 난이도 높은 제조 공정, 한정된 동작 온도 등이 실용화의 걸림돌이었다. 연구팀은 초격자 구조의 반도체 소재로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멀티레벨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는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4월 30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