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한양미래포럼'''은 과학기술, 의학, 인문사회 등 전 분야 최근 이슈 주제를 선정해 매월 둘째주 금요일 오후 3시(2시간) 정기 개최를 원칙으로 진행되는 포럼이다.  이슈화 되는 종합적 주제에 대한 대외적 동향 파악, 대내 역량 강화, 한양 미래 전략 모색 등을 목적으로 열린다.* 담당부서 : [[산학협력단]] [[산학R&SD전략센터]]  = 주제 =* '''과학기술, 의학, 인문사회 등 전 분야 최근 이슈주제 선정'''* 인공지능(AI, IoT), 자동차(자율, 에너지), 환경(초미세먼지,리사이클), 융합의료, 에너지, 로봇, 드론(유인, 응급), Bionic, VR, Arts&Tech, 다문화, 고령화, 통일, 복지(형평성, 사회보험) 등 
= 역대 개최 현황 =
==제1회==
#* 일시 : 2016년 5월 30일 (금) 오전 11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발표1 :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장병탁 교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발표2 : AI and Robots: Past, Now and Future: [[서일홍]] 교수(융합과학공학부)
==제2회==
#* 일시 : 2016년 7월 8일 (금) 오후 2시 4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뉴로사이언스(Neuroscience)#* 발표1 : 21세기 뇌과학-극초전도 MRI와 고성능 PET를 이용한 기능 뇌지도 완상: 조장희 박사(서울대학교)#* 발표2 : 뇌과학발전전략과 뇌지도 구축: 임혜원 박사(KIST)#* 발표3 : 미래형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조희영 PD(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토론 : [[안동현]] 교수(정신건강의학교실), [[임창환]] 교수(생체공학부), [[이미선]] 교수(영어영문학과)
== 제3회==
#* 일시 : 2016년 9월 9일 (금) 오후 2시 4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자율주행자동차#* 발표1 : Current status of R&D works on Autonomous car in worldwide: 선우명호 교수(미래자동차공학과)#* 발표2 :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적 대응방안: 이재관 본부장(자동차부품연구원)#* 발표3 : 미래형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조희영 PD(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토론 : 자율주행자동차의 법적책임(송호영 교수(법학전문대학원))
== 제4회==
#* 일시 : 2016년 10월 14일 (금) 오후 3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환경호르몬#* 발표1 : 저출산 대책-남성불임을 중심으로: 서주태 교수(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발표2 : 자식세대에서 나타나는 환경호르몬의 생식독성: [[계명찬]] 교수(생명과학과)#* 발표3 : 환경호르몬과 식품용기 안전: 박태균 대표(한국식품포럼)
== 제5회==
#* 일시 : 2016년 11월 25일 (금) 오후 3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양자컴퓨터#* 발표 발표1 : AR/VR 기술의 현황과 전망: 유범재 단장(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발표2 : AR/VR 컨텐츠산업 현망과 전망: 이상수 대표(AIXLAB)
== 제6회==
#* 일시 : 2017년 2월 10일 (금) 오후 3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AR/VR(가상증강현실)#* 발표1 : AR/VR 기술의 현황과 전망: 유범재 단장(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발표2 : AR/VR 컨텐츠산업 현망과 전망: 이상수 대표(AIXLAB)
== 제7회==
#* 일시 : 2017년 3월 17일 (금) 오후 2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4차 산업혁명#* 발표 : 제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대응 - 정책 대응을 중심으로: 홍남기 차관(미래창조과학부)
== 제8회==
#* 일시 : 2017년 4월 21일 (금) 오후 2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소리공학#* 발표 : Industry 4.0 이후 꿈의 사회를 위한 감성적 음향 튜닝과 설계: 이정권 교수(KAIST)#* 토론 : [[김상욱]] 교수(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박준홍]] 교수(기계공학과), [[전진용]] 교수(건축공학과)
== 제9회==
#* 일시 : 2017년 6월 9일 (금) 오후 2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의료 IT#* 발표1 : 인공지능과 미래의료: 정지훈 교수(경희사이버대학교)#* 발표2 : 4차 산업혁명화 의료 서비스의 결합: 문찬곤 대표((주)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토론 : [[한영근]] 교수(물리학과), [[임한웅]] 교수(안과학교실)
== 제10회==
#* 일시 : 2017년 7월 14일 (금) 오후 2시#*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레이더#* 발표1 : 스마트 IoT 레이더 센싱 기술 및 응용: [[조성호]] 교수(융합전자공학부)#* 발표2 : 무선신호를 사용한 인지 및 미래 응용 기술: [[김선우]] 교수(융합전자공학부)
== 제11회==
#* 일시 : 2017년 9월 1일 (금) 오후 2시 45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바이오닉스#* 발표1 : Introduction and Applications to Bionics: [[김선일]] 교수(전기·생체공학부 생체공학전공)#* 발표2 : Festo의 Bionic Learning Network: 양대열 부장(한국 Festo)
== 제12회<ref><뉴스H> 2017.10.18 한양대, 20일 센서 관련 미래포럼 열어</ref>==#* 일시 : 2017년 10월 20일 (금) 오후 1시 45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센서#* 발표1 : Bio-integrated and Biomimetic Sensors: 김태일 교수(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발표2 : Chemical Sensors: [[김종만]] 교수(화학공학과)* 발표3 : Performance Requirements of Sensor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이석원 소장((주) 아이센스 센서연구소)
== 제13회<ref><뉴스H> 2017.11.24 한양대, 사이버 보안 관련 미래포럼 개최</ref>==#* 일시 : 2017년 11월 24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사이버 보안#* 발표1 : 악성코드의 진화와 대응 방안 : [[임을규]] 교수(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발표2 : IT 정보보안, 선택이 아닌 필수 : 김진수 대표이사(트리니티소프트)#* 토론 : 한국의 사이버테러 대응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김재봉]]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제14회<ref><뉴스H> 2018.03.07 한양대, 고령화 문제 관련 미래포럼 개최</ref>==#* 일시 : 2018년 3월 9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에이징#* 발표1 : 다가오는 초고령사회, 위기인가 기회인가?([[이삼식 ]] 정책학과 교수(고령사회연구원장))#* 발표2 : 고령친화사업 진흥 사례 소개(김기선 교수(광주과학기술원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장))
== 제15회<ref><뉴스H> 2018.04.10 한양대, 13일 스마트팩토리 관련 미래포럼</ref>==#* 일시 : 2018년 4월 13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스마트팩토리#* 발표1 :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배석주 산업공학과 교수)#* 발표2 : 4차산업혁명-산업정보예측: 딥 러닝 물리학적 접근(윤병동 서울대 항공기계공학부 교수)#* 발표3 : 디지털화 및 4.0 자격(강성우 한국 Festo 과장)
==제16회<ref><뉴스H> 2018.05.03 한양대, 11일 비트코인 관련 미래포럼 개최</ref>==#* 일시 : 2018년 5월 11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비트코인#* 발표1 : 비트코인, 블록체인 그리고 기업 지배구조([[배경훈]]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수)#* 발표2 : 블록체인, 개인건강기록, 그리고 메디블록([[이은솔]] 메디블록 대표)#* 토론 : 비트코인의 법적 함의([[정규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제17회==
#* 일시 : 2018년 6월 8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미세먼지#* 발표1 :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이해와 대응([[김기현]]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발표2 : 미세먼지로 본 전문가의 사회적 역할(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장)#* 토론 : 미세먼지, 과연 중국탓일까?([[김연규]] 국제학부 교수)* 관련 기사 : <뉴스H> 2018.05.29 [http://www.hanyang.ac.kr/surl/LvXBB 8일 미세먼지 관련 미래포럼 개최] ==제18회==* 일시 : 2018년 11월 16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미세플라스틱* 발표1 : 고형폐기물의 관리:플라스틱을 중심으로([[전병훈]] [[자원환경공학과]] 교수)* 발표2 : 미세플라스틱과 멜서스의 유령(최영준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부장)* 토론1 : Microplastic and Human Health ([[이항락]] 의과대학 교수)* 토론2 : 미세플라스틱의 국내외 규제동향 (박정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 == 제19회 <ref><뉴스H> 2019.08.28 한양대, 제19회 한양미래포럼 개최</ref><ref><출처> 2019.08.28 [[대표홈페이지]] 광장 공지 ([[산학R&SD전략센터]])</ref>==* 일시 : 2019년 9월 6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의료인공지능(A.I. in Medicine & Healthcare)* 발표1 : 의료 진단분야의 음향 A.I. 적용 ([[박준홍]] 기계공학부 교수)* 발표2 : 인공지능기술과 의료 및 헬스케어 (김연배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PM)* 토론 : [[김봉영]] 내과학교실 교수, [[강보경]] 영상의학교실 교수, [[안병규]] 외과학교실 교수 == 제20회 ==* 일시: 2019. 10. 18(금) 오후 2시 50분* 장소: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방사선* 발표 1 : 생활 속 방사선 안전 - 진영우 박사(한국원자력의학원)* 발표 2 : 방사선의 이용: R&D와 산업화 - [[김용균]] 교수(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토론 1 : 저선량 방사선의 연구 활용사례 - [[이수재]] 교수(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토론 2 : 진단영역에서의 방사선 노출 - [[강보경]] 교수(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제19회 주석==<ref>뉴스H 기사 http:references //www.hanyang.ac.kr/surl/PHm8</ref>==#* 일시 : 2019년 9월 6일(금) 오후 1시 50분#* 장소 :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컨퍼런스룸(105호)#* 주제 : 의료인공지능(A.I. in Medicine & Healthcare)#* 발표1 : 의료 진단분야의 음향 A.I. 적용 ([[박준홍]] 기계공학부 교수)#* 발표2 : 인공지능기술과 의료 및 헬스케어 (김연배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PM)#* 토론 : [[김봉영]] 내과학교실 교수, [[강보경]] 영상의학교실 교수, [[안병규]] 외과학교실 교수

편집

5,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