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편집 요약 없음
학과 모음 : [[:분류:화학공학과|분류 바로가기:화학공학과]]
[[분류:화학공학과]]
=서울=
 
*홈페이지: http://chemeng.hanyang.ac.kr
 
==대학원==
 
*소속: 서울 [[대학원]] 화학공학과
*유형: 대학원
*영문명: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중문명: 化学工学系
*소속: 서울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유형: 서울 대학
*영문명: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중문명: 化学工学系
===질의응답===
 
*화학공학과는 어떤 적성을 가진 학생이 진학하면 좋을까요?
**화학공학과는 기본적으로 화학과 물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가 요구됩니다. 그리고 공과대학에 속하기 때문에 수학적 능력과 기술, 장비 활용능력이 필요합니다. 실험을 설계할 때나 결과를 분석할 때 미적분학, 통계학 등이 사용됩니다. 또한 서로의 협력이 필요한 프로젝트가 많으므로 상호간의 소통 능력이나 협력의 태도 등의 사회성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것들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을 가지고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창의적인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나아가서 새로운 제품을 만들거나 기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혁신적인 태도 등이 도움이 됩니다.
==연혁==
 * 1948.07 한양공과대학 설립과 더불어 화학공학과 설치* 1954.03 제 1회 36명 졸업* 1956.03 대학원 석사학위 과정 설치* 1959.02 2부대학 화학공학과 설치* 1959.07 대학원 박사학위 과정 설치* 1975.10 문교부 실험대학 정책에 의하여 공과대학 19개 학과를 5개 공학부로 분류,* 실험대학으로 승인 (제 5공학부: 화학공학과, 섬유공학과, 요업공학과, 고분자공학과, 열공학과)* 1978.02 대학원 석,박사학위 정원을 학과 단위에서 계열단위로 변경, 화학공학과는 자연과학계열에 속함)* 1979.02 공학부제 폐지* 1980.11 2부대학 화학공학과 폐과* 1982.10 학부과정의 정원을 70명으로 증원* 1983.10 학부과정의 정원을 80명으로 증원* 1986.11 안산캠퍼스 이공대학에 화학공학과 신설* 1994. 중앙일보, 교육부 전국 화학공학과 평가에서 학부 및 대학원 최우수 등급 획득* 1994.11 화학공학과, 섬유공학과, 무기재료공학과, 공업화학과를 통합,* 화공,공화,섬유,세라믹공학과군으로 명칭 변경* 1995.12 신소재공정공학원(화공,공화,섬유,세라믹,금속,재료)이 6개 국책 대학원 중* 하나로 선정되어 5년간 교육부의 지원을 확보* 1996.11 화공,공화,섬유,세라믹공학과군을 응용화학공학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공, 공화, 섬유고분자, 세라믹전공을 둠* 1998.02 개교 이래 학사과정 5,400여명, 석사과정 350여명, 박사과정 50여명 등의 졸업생을 배출* 1999. BK21 재료연구인력 양성사업단으로 선정되어 7년간 교육부의 지원을 확보* 2004. 응용화학공학부를 응용화공생명공학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학공학 , 분자시스템공학, 생명공학 전공을 둠* 2004. 2004 특성화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어 ‘융합기술기반 핵심소재분야 글로벌 리더 양성 사업‘으로* 1년간 교육부의 지원을 확보* 2005. 2005 특성화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어 ‘융합기술기반 핵심소재분야 글로벌 리더 양성 사업'으로* 1년간 교육부의 지원을 확보
==교수진==
 * [[고민재]] 교수* [[구상만]] 교수* [[김도환]] 교수* [[김동원(화학공학과)|김동원]] 교수* [[김종만]] 교수* [[김진국]] 교수 / 화학공학과장* [[문성용]] 교수* [[박홍우]] 교수* [[배영찬]] 교수* [[상병인]] 교수* [[서동학]] 교수* [[서영웅]] 교수* [[여영구]] 교수* [[염봉준]] 교수* [[오성근(공과대학)|오성근]] 교수* [[이성철]] 교수* [[조은철]] 교수* [[서정길]] 교수* [[장윤정]] 교수
=학부(ERICA)=

편집

2,046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