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편집 요약 없음
1974년 3월 1일 국학연구원으로 출발하여, 1982년 3월25일 한국전통과학연구소를 흡수 통합하면서 한국학연구소로 개칭하였으며, 2009년 9월 23일 동아시아문화연구소로 확대 개편. 동아시아 각국 문화의 비교 및 교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와 한국 문화의 발전에 기여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영문명: East Asian Culture Research InstituteEAST ASIAN CULTURE RESEARCH INSTITUTE* 중문명: 东亚文化研究所*소장: [[유성호]] [[국어국문학과]] 교수*전화: 02-2220-1497* 홈페이지: http://eastasia.hanyang.ac.kr/=개황===설립목적==# 동아시아 각국 문화의 비교 및 교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와 한국 문화의 발전에 기여함# 인문사회분야 및 융복합분야의 연구로 연구소의 연구역량 강화 및 성장을 이룸.== 연혁 ==* 1974.03 한양대 부설 ‘국학연구원’으로 출발* 1980.09 학술지 <한국학논집> 창간호 발간* 1982.03 ‘한국학연구소’로 개칭* 1994.03 교육부 인문과학분야 중점영역 연구과제 채택(1994-1996, 3개년)* 1994.09 한국학연구소 창립2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1998.05 <한국학연구총서2-조선초기 당상관 겸직제 연구> 발간* 1999.10 <한국학연구총서3-동학사상과 한국문학> 발간* 2001.06 <한국학특수사전> 시리즈 발간* 2001.11 <한국학학술총서1-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 발간* 2002.09 조선후기 조선풍 한시 연구* 2005.06 <한국학학술총서2-만하몽유록> 발간* 2005.12 <정추 교수 채록 소비에트시대 고려인의 노래> 시리즈 발간* 2006.12 <한국학학술총서3-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문화지형도>발간* 2008.07 동아시아문화네트워크연구단 발족 (한양대 특성화사업단으로 선정됨)* 2008.12 <한국학논집>이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에 선정됨* 2009.02 동아시아문화네트워크 연구단, 조선통신사로 답사 (오사카-나고야)* 2009.03 “표류와 동아시아의 문화교류”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9.07 동아시아문화네트워크 연구단, 연행사로 답사 (센양-베이징)* 2009.09 연구소 명칭을 ‘동아시아문화연구소’로 개칭* 2009.11 학술지 명칭을 <동아시아문화연구>로 개제* 2010.02 동아시아문화네트워크 연구단, 조선통신사로 답사 (시즈오카-센다이)* 2010.04 "중국지역문화와 언어"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0.05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1-여행의 발견 타자의 표상>발간* 2010.06 "동아시아 전통 축제와 도시문화"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0.09 "1763년 계미 통신사행과 동아시아 문화 접촉"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1.02 "여행기에 나타난 동아시아 고대의 표상"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1.05 가오싱젠 페스티벌, 서울 2011* 2011.10 "한중 문화교류와 북경 유리창"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1.11 "동아시아 전통축제와 공연문화"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2.09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분야 인문과학분야 중점연구소 채택(2012-2015, 3개년)* 2013.02 "글로벌시대와 동아시아 문화의 표상"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13.02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2-18.19세기 동아시아의 문화거점 북경유리창>발간* 2013.05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3-동아시아 전통 축제의 재발견>발간* 2013.06 "글로벌시대와 동아시아 문화의 표상(2)"을 주제로 한.중.일 학술대회 개최* 2014.03 "글로벌시대와 동아시아 문화의 표상(3)"을 주제로 한.중.일 학술대회 개최* 2014.06 "글로벌시대와 동아시아 문화의 표상(4)"을 주제로 한.중.일 학술대회 개최* 2013.01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4-국가, 민족, 국토>발간* 2015.02 "글로벌시대와 동아시아 문화의 표상(5)"을 주제로 한.중.일 학술대회 개최* 2015.04 "글로벌시대와 동아시아 문화의 표상(6)"을 주제로 한.중.일 학술대회 개최* 2016.10 "동아시아 연극에서의 문화적 기억과 교류, 그리고 문제의식"을 주제로 한국연극학회와 공동학술대회 개최==주요활동==*동아시아 문화와 한국 문화에 대한 연구 및 교육*학술지 ˂동아시아문화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 ˂동아시아문화자료총서˃ 등의 간행*각종 학술회의, 세미나, 강연회 등의 개최*국내외 각 학회, 연구기관과의 교류협력*기타 동아시아문화, 한국문화 연구에 필요한 사업=조직 및 인적구성===역대 소장==*1974. 3. 1 ~ 1980. 5 [[이숭녕]] (국학연구원장)*1980. 5. 5 ~ 1982. 2 [[조인현]]*1982. 3. 1 ~ 1993. 2 [[이경선]], [[장세경]]*1993. 3.22 ~ 1997. 3 [[이종은]]*1997. 3.22 ~ 2002. 2 [[이완재]]*2003. 3 ~ 2006. 2 [[정민]] *2006. 3 ~ 2008. 2 [[이도흠]] *2008. 3 ~ 2010. 2 [[박찬승]] *2010. 3 ~ 2012. 2 [[오수경]]*2012. 3 ~ 2012. 8 [[박찬승]] *2012. 9 ~ 2015. 2 [[신성곤]] *2015. 3 ~ [[최형욱]]*현재 [[유성호]] =학술행사====국내학술회의===* 2009.02.04 도시와 근대성의 경험(박진빈 외), 11-화상회의실* 2009.09.18 여행의 발견, 타자의 표상(조성운 외), HIT-610* 2010.03.19 동아시아 근대 전환기 여가문화의 형성(김현숙 외), HIT-608* 2012.12.01 동아시아 인문학의 계보학1(서원남 외), 6-403* 2013.02.13 동아시아 인문학의 계보학2(박찬승 외), 6-403 ===국제학술회의===*[[동아시아문화연구소/국제학술회의]] 문서를 참고===워크숍===* 2010.01.28 연구기관 네트워크와 연구윤리, HIT-606* 2012.07.11 한국근대사 속의 잊혀진 사람들 -한국인 3인과 일본인 3인-(정종원 외), 6-403 =연구과제=*[[동아시아문화연구소/연구과제]] 문서를 참고=출판====학술지===* 2009.05.31 동아시아문화연구 45호* 2009.11.30 동아시아문화연구 46호 * 2010.05.31 동아시아문화연구 47호 * 2010.11.30 동아시아문화연구 48호 * 2011.05.31 동아시아문화연구 49호 * 2011.11.30 동아시아문화연구 50호 * 2012.05.31 동아시아문화연구 51호 * 2012.11.30 동아시아문화연구 52호  ===출판물(연구총서)===* 2010. 05. 31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여행의 발견 타자의 표상> 발간  =기타 연구소 사업=*[[동아시아문화연구소/기타 연구소 사업]] 문서를 참고=관련 기사=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편집

2,046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