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섹터연구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제3섹터연구소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제3섹터연구소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영문명: Third Sector Institute
+
* 영문명: THIRD SECTOR INSTITUTE
 
* 중문명: 第三sector研究所  
 
* 중문명: 第三sector研究所  
 +
* 소장: [[주성수]]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 위치: 서울캠퍼스 [[학군단]] 지하 1층 제3섹터연구소
 
* 홈페이지: http://www.ngo.hanyang.ac.kr/
 
* 홈페이지: http://www.ngo.hanyang.ac.kr/
 +
=개황=
 +
==설립목적==
 +
한양대학교 ‘사랑의 실천’ 건학정신을 이어받아 ‘실용학풍’ 중장기 발전전략을 실천하기 위해 추상적 이론연구에 그치지 않고 사회문제 해결모델과 프로그램을 연구개발, 우리 사회 현실에 적용, 실험하는 ‘사회실험실’ 임무를 맡는다.
  
 
==연혁==
 
==연혁==
*1998년 1월 설립
+
*1998년.1 설립
 +
*2002.12 연구소 확장 및 개소식
 +
*2008.12 제3섹터연구소 확장 및 이전
 +
==주요활동==
 +
*[[제3섹터연구소/주요활동]] 문서를 참고
 +
=학술행사=
 +
===워크샵===
 +
* 2009.4.23. ‘한국 시민사회지표’ 연구 자문회의 시민사회지표 연구진행과정조직조사와 이해관계자조사 주요 내용, 제3섹터연구소
  
==학술 및 연구활동==
+
===세미나===
 +
* 2009.3.27. 시민사회연구회 제45차 세미나 “경제위기 속 생협의 과제와 역할은 무엇일까?”(김용우(원주협동조합운동협의회의)), 제3섹터연구소
 +
* 2009.4.30. 시민사회연구회 제46차 세미나 “이탈리아의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경제”(김종법(한국외대)), 제3섹터연구소
 +
* 2009.5.30. 시민사회연구회 제47차 세미나“세계경제의 흐름과 대안으로서 살림의 경제”(강수돌(고려대)), 제3섹터연구소
 +
* 2010.6.6. 글로벌 프로젝트 세미나 “한국 시민사회지표” (주성수(한양대) 외 2인), 제3섹터연구소
 +
* 2012.9.20 자원봉사 국가기본계획 델파이조사 결과(주성수(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
* 2012.11.5 한국 NGO 센터 설립“미국, 일본 NGO센터”“한국 NGO센터” (주성수(한양대), 이영재(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 저널 발간 및 시민사회 시리즈 출간 ===
+
=연구과제=
* 2003. 5.부터 현재까지 정기간행물 『시민사회와 NGO』 발간(연 2회, KCI등재지)
+
*[[제3섹터연구소/연구과제]] 문서를 참고
* 2001. ~ 2004. <한국 NGO Report> 발간
+
=출판=
* 시민참여 시리즈(2004) - 『시민참여와 정부정책』 『참여를 넘어서는 직접행동』 『시민사회와 제3섹터』 『정부와 제3섹터 파트너십』등
+
*[[제3섹터연구소/출판]] 문서를 참고
* 민주주의 시리즈(2006) -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한국 민주주의와 시민참여』(2007)
 
* 글로벌 가버넌스와 NGO(2000), 『공공정책 거버넌스』 (2003), 『기업시민정신과 NGO』 (2003), 『한국시민사회와 지식인』(2002) 등 다수
 
  
=== 시민사회연구회 창설 및 운영 ===
+
=기타 연구소 사업=
* 2003. 4. ‘시민사회연구회’ 창설
+
=관련 기사=
* 2003. 4.~2009. 12. 월례세미나 개최(학계 및 시민사회 전문가 참여)
 
 
 
===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 선정 ===
 
* 2002~2004.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과 NGO의 역할> 연구
 
* 2004~2006. <한국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연구
 
* 2006~2008. <민주적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연구
 
 
 
===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연구''' ===
 
* 2004~2006. CIVICUS "Civil Society Index for South Korea"
 
* 2008~2010. CIVICUS "Civil Society Index for South Korea" 한국 대표 연구소
 
* 한국 시민사회지표(civil society index) 개발 및 연구 수행
 
* 한국 시민사회지표 발표(The Explosion of CSOs and Citizen Participation)
 
 
 
=== '''사회적경제 포럼 창설 및 운영''' ===
 
* 2009. ~2012. 협동조합중앙회, 여성민우회 등과 사회적경제 포럼 진행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근현대총서 사업 : 한국 시민사회사 연구 ===
 
* 2014. 12. ~2016. 5. <한국시민사회사(제도·조직·이념·생활사> 저술 3권 발간 예정
 
 
 
== 대학 및 시민사회·지자체와의 연계 ==
 
 
 
===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설립 주도 및 관련 강의 개설 ===
 
* 시민사회 관련 <세계문화변동과 사회문화>, <시민사회이론>, <신사회운동과 NGO>, <정책과정과 NGO>, <지구환경협력의 이해>, <시민운동과 비영리조직>, <시민사회와 NGO>, <한국과 세계의 NGO>, 
 
*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개설(2014)
 
* 사회적경제 교과 편성 및 석사과정 장학생 유치(2009-2012, 2014-2015)
 
 
 
=== 시민사회 도서관 운영 ===
 
* 시민사회 및 NGO 관련 연구를 위한 연구소 전문도서관 운영
 
* 2015. 5. 현재 영서 1,261권, 국서 501권 등 총 1,762권 보유
 
* 외부 연구자 열람 및 대여
 
 
 
=== 시민사회 리더십 과정 운영 ===
 
* 학생·일반인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한국시민사회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방안·이론·사례 교육.
 
* 전체 약 10주로 진행, 대학교수 및 시민단체대표 10여명으로 강사풀 구성.
 
* 2013년 National Democracy nternational(NDI Korea)과 공동으로 “Young NGO Leadersership Program" (2013.4-6 까지) 진행. 총 15개 강좌 개설, 14인 강사 출강
 
 
 
=== 시민사회와 관련한 정부, 지자체 정책제언 및 사업평가 주관 ===
 
* 서울시 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실태조사(서울시 NPO 지원센터, 2014. 11.)
 
* 서울동행프로젝트 성과분석 및 중장기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용역 (서울특별시·서울시교육청·서울시자원봉사센터, 2014. 2.)
 
* 자원봉사와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확장을 위한 상생모델 개발(한국자원봉사협의회·한국자원봉사관리협회, 2013. 2.)
 
* 퇴직공무원 사회공헌활동 성과측정 및 발전방안 연구용역(공무원 연금공단, 2013. 12.)
 
* 사회적 갈등 해소 방안 토론회 참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13. 2.)
 
* 전국자원봉사대축제 포럼 등 시민의 자발적 참여 활동 제언 (2012. 4.)
 
* 시민활동 촉진을 위한 시민지원방안 연구 (특임장관실, 2012. 9.)
 
* 한국자원봉사협의회와 공동으로 행정안전부 “제2차 자원봉사 국가기본계획 수립” 용역(2012년) 외 다수
 
 
[[분류:대학 조직]]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분류:서울 부설기관]]

2021년 2월 24일 (수) 15:37 기준 최신판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는 비영리(NPO), 비정부(NGO)단체의 활동과 시민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통해 자율적인 선진 시민사회 정착에 기여하고자 1998년 1월에 설립.

제3섹터는 국가(정부)와 시장(기업) 영역을 제외한 제3의 영역, 주로 비정부단체(NGO)와 비영리단체(NPO)로 구성되는 시민사회를 지칭한다.

개황

설립목적

한양대학교 ‘사랑의 실천’ 건학정신을 이어받아 ‘실용학풍’ 중장기 발전전략을 실천하기 위해 추상적 이론연구에 그치지 않고 사회문제 해결모델과 프로그램을 연구개발, 우리 사회 현실에 적용, 실험하는 ‘사회실험실’ 임무를 맡는다.

연혁

  • 1998년.1 설립
  • 2002.12 연구소 확장 및 개소식
  • 2008.12 제3섹터연구소 확장 및 이전

주요활동

학술행사

워크샵

  • 2009.4.23. ‘한국 시민사회지표’ 연구 자문회의 시민사회지표 연구진행과정조직조사와 이해관계자조사 주요 내용, 제3섹터연구소

세미나

  • 2009.3.27. 시민사회연구회 제45차 세미나 “경제위기 속 생협의 과제와 역할은 무엇일까?”(김용우(원주협동조합운동협의회의)), 제3섹터연구소
  • 2009.4.30. 시민사회연구회 제46차 세미나 “이탈리아의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경제”(김종법(한국외대)), 제3섹터연구소
  • 2009.5.30. 시민사회연구회 제47차 세미나“세계경제의 흐름과 대안으로서 살림의 경제”(강수돌(고려대)), 제3섹터연구소
  • 2010.6.6. 글로벌 프로젝트 세미나 “한국 시민사회지표” (주성수(한양대) 외 2인), 제3섹터연구소
  • 2012.9.20 자원봉사 국가기본계획 델파이조사 결과(주성수(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 2012.11.5 한국 NGO 센터 설립“미국, 일본 NGO센터”“한국 NGO센터” (주성수(한양대), 이영재(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연구과제

출판

기타 연구소 사업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