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편집 요약 없음
매스미디어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사업을 지원하거나 실시하고, 실증적 조사를 통해 미디어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터전 조성을 목적으로 1971년 신문방송연구소로 설립되었으며, 1981년 언론문화연구소로 개칭되었다가 커뮤니케이션 현상 전반에 걸친 연구조사활동과 인접분야와의 학제간 연구활동을 위해 2001년 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로 확대 개편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영문명: Center for Communication ResearchCENTER FOR COMMUNICATION RESEARCH* 중문명: 传播研究中心* 소장: [[안동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홈페이지: http://comm.hanyang.ac.kr/main/center/=개황===설립목적==교내외 커뮤니케이션학 학자 및 인접 학문분야의 학자들과 폭넓은 연구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여러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한양대학교의 실용학풍을 구현하고자 설립==연혁==*1971년 한양대학교 부설 연구기관인 신문방송연구소 설립.*1981년 언론문화연구소로 개칭.*2001년 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로 개편.==주요활동==* 커뮤니케이션 현상 전반에 걸친 연구조사 활동* 교내외 연구 단체와의 교류 및 공동학술 활동* 연구 간행물 발간* 정기 학술지 <언론학보> 발간* 국제, 국내 학술 세미나 및 강연회 개최* 외부연구 수주 연구 활동* 사회과학 및 인접분야와 관련한 학제간 연구활동=조직 및 인적구성===역대 소장==*1971년 초대 연구소장 [[장용]] 교수 취임.*1980년 [[이강수]] 교수 소장 취임.*1988년 [[팽원순]] 교수 소장 취임.*1997년 [[박영상]] 교수 소장 취임.*2001년 [[정대철]] 교수 센터장 취임.*2004년 [[황상재]] 교수 센터장(대리) 취임.*2005년 [[김정기]] 교수 센터장 취임.*2009년 [[윤선희]] 교수 센터장 취임.*2011년 [[손동영]] 교수 센터장 취임.*2013년 [[안동근]] 교수 센터장 취임=학술행사===프로그램==*2014.05.12. Understanding the Global Journalist: Emerging Places and Spaces.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6층 국제회의실.*2013.05.31. 저널리즘의 위기 그리고 급변하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산업.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6층 국제회의실.*2012.11.23. 신 한류 담론의 현재적 의미와 전망 : 초국적 문화콘텐츠로서 K-Pop의 생산과 수용, 접합과 분기를 중심으로. 주관: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606호.*2012.10.10. 한/중/일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문화교류의 이해. 주관: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6층 국제회의실.*2012.05.16. 소셜네트워크 환경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606호.*2011.11.04.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저널리즘 그리고 참여.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후원: 한국언론학회 저널리즘분과 · 한국외대 언론정보연구소 ·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박물관 2층 세미나실.*2011.06.14.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광고 연구의 전망과 활용.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05.26. 우리나라 방송통신 심의제도의 현실과 쟁점.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1.19. 한류담론의 성찰과 재조명: 문화산업과 문화정치의 경계에서 말 걸기.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HIT 세미나실(606호).*2010.11.12. 한류와 문화담론.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0.29. 통섭시대, 담론 연구의 이해와 담론기획. 주최: 한국언론학회 ·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2010.10.25. Documentary as a Social Media.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0.11. 지상파 방송의 재송신과 외주제작 현황과 개선점.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04.02. 글로벌 시대, 지방 공동체와 공공 저널리즘의 만남. 주최: 한국언론학회 ·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언론과사회 분과). 후원: 경기개발연구원 · 경인일보. 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2010.03.26. 개화기 언론사 연구의 쟁점.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후원: 나남 ·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과 역사분과.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국제회의실*2010.01.22. 인터넷 규제와 방송심의 제도간의 고찰.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2010.12.08. 광고와 설득 커뮤니케이션: 수용자에게 다가서기.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 ==세미나==*2016.04.21. 과학 보도와 공보준칙. 주최 :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주관 :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6층 국제회의실*2014.05.30.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시대, 신한류(新韓流)의 현재적 의미와 전망. 주최 : 한국방송학회,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후원 : 한국언론진흥재단. 광화문 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2014.05.19. 과학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 : 원자력과 언론. 주최 :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국제회의실(백남학술정보관 6층)*2012.11.27.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 현상(이광석(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5호*2012.11.21. 한류의 세계화와 그 의미(강승묵(공주대)),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2.11.19. AE를 보면 광고가 보인다(송춘호(제일기획)),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2.11.13. 책의 미래 e-book(조영규),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2.10.31. 사내커뮤니케이션(박찬도(블루리본커뮤니케이션즈 대표)),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공공정책대학원 523호*2012.09.25. CJ E&M과 플랫폼의 이해(백승일(CJ E&M)),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2.09.24. 네거티브 선거, 여론과 유권자(배종찬(리서치앤리서치)),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417호*2012.08.20. 사법의 투명성과 개방성 확보를 위한 재판방송 실시 방안(한동섭, 정문식, 김형일),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213호*2012.05.01. 대중문화 속 코드를 쫓는다(김재용(MBC 보도국문화과학부)),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2.04.18. 국제커뮤니케이션 보도(이재강(KBS)),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301호*2011.12.08. 광고 캠페인 성공 사례연구(임상욱(농심기획)),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1.12.05.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정의철(상지대)),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253호*2011.11.28. BTL 이해 및 전략(김건표),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1.11.14. 스마트폰 활성화 현황 및 의미(이호준(방송통신위원회)),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공공정책대학원 650호*2011.11.08. 직장에서 통해야 하는것들(박찬도(블루리본커뮤니케이션즈 대표)),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417호*2011.11.03. 유료방송시장과 컨텐츠(백승일),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1.10.27. 세미나 기업홍보와 언론(강신구(LG유플러스)),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103호*2011.10.24. 방송심의제도와 사례(김형성(방송통신위원회)),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공공정책대학원 650호*2011.01.27. 편집 이론 및 실습.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01.24. 조명 이론.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01.21. 카메라 실습.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HIT 세미나실.*2011.01.17. 조명 실습.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01.06. 저널리즘적 글쓰기.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01.03. 창조적 비판력과 논리적 글쓰기.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1.10. 출판의 미래 eBOOK.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1.03. 예능(버라이어티)이란 무엇인가.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0.28. 조직커뮤니케이션.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10.27. 케이블 tv의 전략 : 컨텐츠를 중심으로.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09.30. 드라마 제작 활성화 방안. 주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 ==심포지움==*2009. 9. 18 아시아 미디어 교류의 정치경제학과 한류 담론(류웅재, 심두보, 박진규, 이기형, 한동섭),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2009. 10. 16 가상공간에서 상호작용성과 수용자(윤선희, 정동훈, 조수선, 박성복, 박종일), 한양대학교 HIT 세미나실 (606호)*2009. 11. 9 Asia Cultural Imagination and Media Reception(윤선희, Michael Keane, LiKun, Peichi Chung, Annette Hemilton),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국제세미나실 (6층)*2010. 1. 22 인터넷 규제와 방송심의 제도 간의 고찰(김형성, 이재진, 정명진, 한동섭, 황상재),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2010. 3. 26 개화기 언론사 연구의 쟁점(정대철, 김남석, 채 백, 김영희, 안종묵, 이용성),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국제회의실*2010. 4. 2 글로벌 시대, 지방 공동체와 공공 저널리즘의 만남(장호순, 강내원, 류웅재, 반현, 이정훈, 유재명, 심영섭, 정연구, 윤인수), 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2010. 10. 11 지상파 방송의 재송신과 외주제작 현황과 개선점(윤선희, 하승보, 류웅재, 윤승옥, 이재진, 한동섭),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 10. 25 Documentary as a Social Media(전창희, 김성연, 윤선희, 이재진, 한동섭),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 10. 11 지상파 방송의 재송신과 외주제작 현황과 개선점(윤선희, 하승보, 류웅재, 윤승옥, 이재진, 한동섭),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 10. 25 Documentary as a Social Media(전창희, 김성연, 윤선희, 이재진, 한동섭),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 10. 29 통섭시대, 담론 연구의 이해와 담론기획(서덕희, 이선미, 서유석, 금인숙, 김성해),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2010. 11. 12 한류와 문화담론(진달용, 류웅재, 이영주, 윤선희, 이욱),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0. 11. 19 한류담론의 성찰과 재조명:문화산업과 문화정치의 경계에서 말 걸기(윤선희, 진달용, 강승묵, 이기형, 이영주, 김수철, 이희은), 한양대학교 HIT 세미나실(606호)*2010. 12. 8 광고와 설득 커뮤니케이션:수용자에게 다가서기(박민혁, 한동섭, 구재범, 황상재, 이욱), 한양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2011. 5. 26 우리나라 방송통신 심의제도의 현실과 쟁점(윤성옥, 하주용, 백미숙, 조연하, 반 현, 류웅재),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 6. 14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광고 연구의 전망과 활용(이병관, 지준형, 윤태웅, 김경란, 김기한, 최영균),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 523호*2011. 11. 4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저널리즘 그리고 참여(황유선, 심 훈, 이정훈, 정낙원, 홍원식, 강국진), 한양대학교 박물관 2층 세미나실*2012. 5. 16 심포지움 소셜네트워크 환경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이형민, 정낙원, 주지혁, 김경환, 진보래, 정성은, 채영길, 송요셉),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606호*2012. 10. 10 한/중/일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문화교류의 이해(와타나베 코헤이, 김관규, 김경환, 김성민, 백승혁, 김수철),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국제회의실*2012. 11. 23 신 한류 담론의 현재적 의미와 전망:초국적 문화콘텐츠로서 K-Pop의 생산과 수용, 접합과 분기를 중심으로(김수정, 강승묵, 이희은, 윤태진, 원용진, 이광석),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606호==콜로키움==* 2019.06.26 인공지능과 커뮤니케이션([[한동섭]]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사회과학대학]] 415호<ref><뉴스H> 2019.06.20 한양대 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 콜로키움 개최</ref> =연구과제=*2009.4.1.~2010.3.31 녹색성장시대의 원자력:국민적 이해증진을 위한 IMC(통합적 설득기법) 전략 개발(교강사 교육 매뉴얼 개발용), 한동섭, 한국과학재단*2009.4.1~ 2009.12.31 방송통신 분쟁 해결기준 마련 연구, 이재진,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11.5.1.~2012.4.30 신한류의 문화 혼종성과 아시아적 여성성 원형에 대한 문화전망, 윤선희, 한국연구재단*2012.5.1.~2013.4.30 신한류의 유럽적 수용과 SNS 문화 확산의 탈영토화, 윤선희, 한국연구재단*2012.5.1~ 2013.4.30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정보신뢰도 형성 및 정보신뢰도 형성 및 정보 확산 과정에 관한 연구, 손동영, 한국연구재단 =학술지=*2009. 12. 30 언론학보 26 *2010. 12. 30 언론학보 27*2011. 12. 30 언론학보 28 *2012. 12. 30 언론학보 29  =기타 연구소 사업=*한양대학교 중장년 취업아카데미 "[[광고홍보컨설턴트 양성과정]]" 교육 =관련 기사=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편집

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