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편집 요약 없음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자연의 세계를 원자단위에서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21세기 신지식 창조를 위한 첨단연구의 메카가 되고자 [[자연대학]]과 [[공과대학]]이 주축이 되어 2004년 4월 1일 설립 한양대학교내에 설립설립되었다. <ref>한양대학교 백서 2005-2008, 2009-2012</ref>
화학, 물리, 생명과학, 화공, 재료, 전자, 환경 등 이공계를 종합적으로 연계. 교내 나노과학기술 분야와 관련된 센터와 연구팀들을 기반으로 강력한 인프라조직을 구축하고 학제 간 유기적인 과학기술 연구와 창의적 전문연구인력 양성양성한다.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나노과학기술연구소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영문명: Institute of Nano Science and TechnologyINSTITUTE OF NANO SCIENCE AND TECHNOLOGY
* 중문명: 纳米科学技术研究所
* 소장: [[김종만]] [[화학공학과]] 교수
*2013. 02. 2013 중점연구소 동계 Workshop 개최
*2012. 09. 2013 중점연구소 동계 Workshop 개최
*2012. 09. [[김종만 ]] 2대 소장 취임
*2011. 11. 'RIKEN-한양대 Joint Conference 2011' 개최
*2011. 08. ARN Summer Camp 2011 개최
*2010. 11. AsiaNANO 2010에서 'RIKEN-한양대 Joint Conference' 개최
*2010. 03. 대학원 [[나노융합과학과 ]] 신설 주도
===2000===
*2009. 09. 삼성전자 반도체 공정 장비기증 (20억원 규모)
*2008. 10. 교과부 ‘한양대-RIKEN 공동연구센터 지원’ 사업 수주 (7억)
*2008. 07.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이전 - FTC 6층 입주
*2008. 07. [[FTC ]] 개관기념 행사 및 Symposium 개최
*2008. 03. 아시아연구네트위크 국제심포지엄, 일본 동경
*2007. 10. 나노과학기술연구소 내 RIKEN 연구인력 상주
*2004. 10.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주최 RIKEN과 공동 Workshop 개최
*2004. 04. 나노과학기술연구소 (Institute of Nano Science and Technology) 설립
*2004. 03. [[이해원 ]] 초대 소장 취임
==주요활동==
===학술연구===
*나노재료: 자연 물질 및 시스템의 구조 / 기능을 모방한 자연모방 / 재료 세포막을 모방한 신호 증폭 센서 / 광젤, 광결정 구조와 같은 광감응형 재료 / 그래핀 및 그래핀계 재료 / 기능성 나노섬유
*나노소자: 팸토몰 이하를 감응 가능한 초감응형 나노센서 / 전기코, 혀, 피부, 귀, 눈 / 점성질 금형과 미생물 기반 생체컴퓨터 / 자가조립형 광 패턴-리듬 생성기 / 자연적 랜덤 과정을 기반한 난수 발생 생성칩 /  
*나노소자제작: 3차원 CNT, 금속, 무기, 유기 나노네트워크 구조 / 나노소자 성능 최적화 및 분자 구조 제어를 위한 나노 분자 공학 / 분자단위 자가 조립 기반 나노구조 제작 / 원자층 증착 공정 기반 나노구조제작 / 잉크젯 공정을 이용한 나노구조 배열체 제작
===학술활동 및 국제 연구 교류===
*2012.09~현재 제 2대 소장 [[김종만]]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교수
=학술행사=
===국내학술회의===
===국제학술회의===
* 2008. 6. 30 Special Symposium on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Dr. Yoshihito Osada 외,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6층
* 2009.05.18.~2009.05.20. Asian Research Network Symposium 2009 & the 2nd Texas-Korea Nanotech Workshop(John Ferraris(UT Dallas) 외),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 2010.01.21 UMD-HYU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John Fourkas(University of Maryland) 외), 한양대학교 [[FTC]] 402호
* 2010.08.17 IEEE Nano 2010 Satellite Program KOREA-INDIA Forum(M. M. Salunkhe(Centeral Univ. of Rajasthan) 외), 한양대학교 [[FTC]] 402호
* 2011.11.03.~2011.11.04 The 2nd India-Korea Joint Workshop on Chemistry and Nanomaterials([[이해원]](한양대학교) 외), Taj Vivantan Fisherman’s Cove, Chennai, India
* 2011.12.05 RIKEN-HYU Joint Conference 2011(Dr. Zhaomin Hou 외(RIKEN,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HIT 6층 대회의실
 
===워크샵===
* 2009.08.11 2009 HYU-RIKEN Joint Workshop(Masahiko Hara(RIKEN)외), 한양대학교 [[FTC]] 402호
* 2010.01.04.~2010.01.05 2010 HYU-RIKEN Collaboration Workshop(Yutaka Yamagata(RIKEN) 외), The Suites Hotel, 제주
* 2012.02.21 2012 ARN HYU-RIKEN Collaboration Workshop(Takashi Isoshima 외), 피닉스파크, 평창
* 2012.08.10 2012 HYU-RIKEN Summer Workshop(Justyn Jaworski 외), 한양대학교 [[FTC]] 402호
 
===세미나===
*[[나노과학기술연구소/세미나]] 문서를 참고
 
=== 간담회 ===
* 2008. 2. 16 이화학연구소 유치 KICOS 사업 및 ARN 구축을 위 한 참여기관 간담회, 서영덕 외, 한양대학교 [[HIT]]-210호
 
=연구과제=
*[[나노과학기술연구소/연구과제]] 문서를 참고
 =출판=*해당 출판물이 없을 경우 삭제하며, 하나만 있을 경우 (ex. 학술지만 있음) 학술지를 상위 분류로 둔 후 나머지는 삭제===학술지======출판물(연구총서)===* 2007. 11. 01 나노 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Vol.1  ===저서소식지(뉴스레터) 발간 ===* 2007. 11 한양대학교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소식 Vol. 1 * 2008. 01 HYU-RIKEN Asian Research Network 팜플렛 Vol.1* 2008. 01 HYU-RIKEN Asian Research Network 팜플렛 Vol.2 
=기타 연구소 사업=
* 2006.7.1 Asian Research Network 구축 사업
* 2005.06.01 RIKEN(이화학연구소) 서울유치 및 아시아 연구 네트워크 기반 조성 사업으로 한양대학교 내 FTC 건축비 54억
 
=관련 기사=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references />

편집

2,046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