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시스템집적연구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한양대 전자시스템집적연구실, 내외부 보상용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픽셀 TFT 회로(2020.03) ==
 
== 한양대 전자시스템집적연구실, 내외부 보상용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픽셀 TFT 회로(2020.03)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구축 '유연 전자소자 일괄공정 플랫폼(FEPP)'의 지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구축 '유연 전자소자 일괄공정 플랫폼(FEPP)'의 지원
* 기존의 편평한 디스플레이 패널와 달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계적 스트레스와 변형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외부 환경에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한 회로를 실제로 제작해 보면서 관련 특성을 점검하고, TFT 특성평가 회로 연구에 도움을 받아 시제품을 제작했다.
+
* [[OLED]] 디스플레이의 화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화소 회로 기술을 개발코자 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이 설계 수준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ETRI 연구진과 시제품 제작, 평가를 통해 기술 구현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
[[분류:연구실]]

2021년 3월 31일 (수) 09:38 기준 최신판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권오경 교수 연구실 IELAB(Integrated Electronics Laboratory)

한양대 전자시스템집적연구실, 내외부 보상용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픽셀 TFT 회로(2020.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구축 '유연 전자소자 일괄공정 플랫폼(FEPP)'의 지원
  • OLED 디스플레이의 화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화소 회로 기술을 개발코자 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이 설계 수준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ETRI 연구진과 시제품 제작, 평가를 통해 기술 구현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