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학상징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자==
+
#넘겨주기 [[대학상징]]
대학 [[상징]] 동물을 말하며, 한양대의 상징물은 사자다. 상징화된 캐릭터로 [[하이리온]]이 있다.
 
왕도를 실천하는 사자, 강건하고 의젓하며 용기가 있다.
 
사자는 만용을 부리지 않는다. 강자라고 하여 약자를 무시하지 않는다. 한 마리의 토끼를 먹이로 잡으려고 할 때에도 혼신의 힘과 집중력을 들인다. 필요하지 않을 때는 살생을 하지 않는 사자의 진정한 용기는 관용과 통한다는 자연의 섭리를 보여준다. 용기는 있으되 만용은 없고 위엄은 있으되 경솔하지 않으며 힘이 있으되 약자를 무시하지 않는 사자는 자신의 세계를 굳건히 이룩하는 표상인 셈이다.
 
한양의 젊은이 역시 사자처럼 용기가 있되 만용을 멀리하며 위엄을 품위로 갖추며 남보다 앞섰으나 교만하지 않는 자기의 세계를 구축하려는 지성인의 의지가 사자의 상징성으로 함축될 수 있다.
 
 
 
==비둘기==
 
대학 [[상징]] 새(鳥)을 말하며, 한양대의 교조는 '''비둘기'''다.
 
 
 
다만 한양대학교의 교수인 사자와 달리 공식 브로슈어, 캐릭터, 기념품 등에서 보기 어렵다.
 
 
 
서울캠퍼스 대외협력처 [[디자인경영센터]]는 비둘기를 사용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답했다.<ref><뉴스H> 2020.11.19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주변에 얽힌 재미있는 TMI</ref>
 
 
 
비둘기는 사랑의 질서를 아는 새이다.
 
반드시 한 쌍이 되어 삶을 이루며 평화를 인간에게 가르쳐 준다. 전쟁을 일삼는 인간의 역사를 비둘기는 경멸하는지도 모른다. 약육강식하려는 인간의 패도(覇道)를 비둘기는 멸시하려는 듯이 순진무구한 자태를 인간에게 보여준다.
 
독수리처럼 강인한 발톱과 날카로운 눈이 없을지라도 강인한 생명력을 갖추고 독수리보다 더 강력한 적응력을 갖추어 열대에서도 비둘기는 살며 온대에서도 살고 한대에서도 살아가는 힘을 갖는다. 비둘기는 한양의 깨끗한 품위를 상징하며 더 높고 더 넓은 해원을 향하여 날아가는 비둘기의 모습처럼 사랑의 질서를 구현하려고 비둘기를 교조(校鳥)로 삼았다.
 
 
 
==개나리==
 
대학 [[상징]] 꽃(花)을 말하며, 한양대의 교화는 [[개나리]]이다. 상징화된 캐릭터로 [[하이나리]]가 있다.
 
'''개나리는 살 수 있는''' 자리를 탐하지 않는다.
 
개나리는 모래땅이든, 습지든, 기름진 땅이든 관여하지 않는다. 뿌리를 내리면 거기에 만족하고 적응하는 무서운 생명력을 간직하고 있다. 가장 먼저 봄을 맞이하니 추운 겨울에 이미 꽃피울 약속을 하였음을 천하에 알린다. 한 잎의 개나리는 초라하지만 모두가 모여서 가장 화사한 꽃떨기를 무리로 이룩한다.
 
서로 의지하고 서로 돕고 하려는 듯이 개나리는 자기를 고비하기에 앞서 이웃을 생각하려고 한다. 생명력이 끈질기며 서로 함께 뭉쳐서 꽃밭을 이룩하기는 개나리야 말로 겸손하며 봉사하려는 마음의 꽃이다. 나아가 어떠한 땅이든 뿌리를 내려서 생명력을 이어가니 근면하며 실천하는 마음의 꽃이다. 그리하여 개나리는 사랑의 실천을 피우는 꽃이 된다. 근면하라는 꽃, 정직하라는 꽃, 겸손하라는 꽃, 그리고 봉사하라는 꽃, 이러한 네 덕목의 꽃이 개나리인 것이다.
 
 
 
* <뉴스H> 2020.04.05 [포토뉴스] 꽃말 '희망'...교화 '개나리' 노랑으로 물들다
 

2021년 4월 22일 (목) 12:58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