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편집 요약 없음
아태지역연구센터는 1997년 5월 1일 [[중국연구소]]를 확대개편하여 설립되어 중국·러시아·미국·일본·북한 등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의 정치, 외교, 군사, 경제, 국제통상, 사회 및 문화에 관련된 제반 문제 연구를 수행한다. <ref>한양대학교 백서 2005-2008, 2009-2012</ref>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아태지역연구센터
* 유형: 서울 부설기관
* 영문명: Asia Pacific Research CenterASIA PACIFIC RESEARCH CENTER* 중문명: 亚太地区研究中心* 소장: [[엄구호]] 국제학 대학원 교수* 홈페이지: http://www.aprc.kr/aprc/index.asp* [[분류:유튜브]][[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xTUptBtuTLkxGbQBmhgazw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설기관]]
=개황=
==설립목적==
중국, 러시아 및 유라시아, 미국, 일본, 북한 등 주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정치, 외교, 군사, 경제, 국제통상, 사회 및 문화에 관련된 제반 문제를 연구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한국의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통일의 실현 및 세계평화와 복지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 목표 ==
#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제적 융합을 통해 해외지역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
# 연구자들을 위한 학문 자료,정부와 기업을 위한 정책 자료,지역 전공자 및 일반 시민들을 위한 교육 자료를 체계화,디지털화,온라인화 하여 제공하는 사회적 서비스를 담당
# 언어능력과 국가 지식을 겸비한 지역 전문가를 양성
 
==연혁==
===2010===
 
*2012.10.01. 국제협력단(KOICA) 2012 국별연수사업(몰도바) 위탁기관으로 선정
*2012.04 국제협력단(KOICA) 2012 역량강화사업(우즈베키스탄) 위탁기관으로 선정
*2012.02.25. 국제협력단(KOICA) 2012 국별연수사업(아제르바이잔) 위탁기관으로 선정
*2011.08.30. 국제교류재단 Global e-School 사업 위탁기관으로 선정
*2011.02.25. 국제협력단(KOICA) 2011 국별연수사업(아제르바이잔) 위탁기관으로 선정
*2011.02.17. 국제교류재단 한러포럼 공동주최기관으로 선정
*2010.03.01. 지역전문가 양성과정(GPAS)에 몽골, 러시아, 중국 추가 선정
*2010.01.15. 국제학술지 Journal of Eurasian Studies 창간호 발간
 
=== 2000 ===
*2008.03.01. [[한양통번역센터]] 및 [[유라시아교육센터]] 개소
*2007.11.01 인문한국(HK) 해외지역연구분야 과제 개시
*2006.04.25 계간 아태 쟁점과 연구 창간
*2006.03.01 엄구호 교수(국제학대학원 러시아학과) 소장취임 창립
*2004.06.04 연구소 창립 30주년 행사
*2004.02 『中蘇硏究』 지령 100호 발간
*2003.10 국제학부 설립
*2000.06.26 미국 Heritage 재단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2000.06.13 중앙일보에 KOPI(한반도 평화지수) 게재 시작
===1990===
*1999.12.01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선정
*1999.11.01 [[이승철]] 교수(국제학대학원 미국학과) 소장취임
*1997.05.01 중국연구소를 확대개편하여 아태지역연구센터 창립
*1980.05.16 중국문제연구소와 소련문제연구소를 통합하여 [[중국연구소]] 창립
*1977.01.10 한양대학교 부설 [[소련문제연구소]] 창립
*1974.05.01 한양대학교 부설연구기관으로 [[중국문제연구소]] 창립
==주요활동==
* 인문한국(Humanities Korea)사업:2007년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사업 해외지역연구소로 선정되어 10년간 총 80억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 연구 및 사업 수행
* 지역전문가 양성과정(GPAS:Graduate Program for Area Studies):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공동으로 GPAS 중앙아시아·몽골(연1억), GPAS 러시아(연4천만원), GPAS 중국(연4천만원) 기획운영.국제학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관련 전공과목 개설, 장학금 지급, 해외인턴 및 해외현지조사 파견, 실무특강, 국제학술회의, 학생 세미나 및 원우논집 발간 등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 운영
* KF Global e-School 사업:국제교류재단의 후원(연2억)으로 해외 유명 대학에 한국학 관련 학점인정 실시간 온라인 강좌를 제공하고 오프라인 프로그램(현지 강의 파견, 국제여름학교 초청, 초청 워크숍 등)을 통해 대상 대학과의 인적 교류를 확대
* 국제개발협력사업:국제협력단(KOICA) 국별연수사업을 비롯하여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연구재단, 교육과학기술부 등이 주관하는 다양한 형태의 국제개발협력 관련 연구 및 사업에 참여
* 국가포럼사업:국가포럼을 개최하여, 양국 간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 교환과 토론을 통해서 상호 이해의 공감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양국 정부 및 주요 유관기관에 전달함으로써 양국의 미래 지향적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각계 고위 인사간 교류 활성화에 기여
 
=학술행사=
 
=== 국내학술회의 ===
* [[아태지역연구센터/국내학술회의]] 문서를 참고
 
===국제학술회의===
*[[아태지역연구센터/국제학술회의]] 문서를 참고
 
=== 세미나 ===
* [[아태지역연구센터/세미나]] 문서를 참고
 
=== 워크숍 ===
* [[아태지역연구센터/워크숍]] 문서를 참고
=== 포럼 ===
* 러시아 차세대 정책전문가 포럼(제 2회)<ref><[[뉴스H]]> 2019.06.27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 차세대 정책전문가 포럼</ref>
**일시 : 2019년 6월 28일
**장소 : 러시아 모스크바
**내용 :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시아 안보 정세, 유라시아 통합과 경제 협력, 미·러 관계와 미·중 관계 등에 대한 발표 및 토론
**참석자 : 강영필 KF 기획이사, 이석배 주러시아 대사, 고재남 국립외교원 교수, 주재우 경희대 교수와 안드레이 코르투노프(Kortunov) RIAC 사무총장, 글렙 이바셴초프(Ivashentsov) RIAC 부회장, 알렉산드르 파노프(Panov)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 외교학과장 등 참석
 
=연구과제=
*[[아태지역연구센터/연구과제]] 문서를 참고
=출판=
===학술지===
*[[아태지역연구센터/학술지]] 문서를 참고
 
===출판물(연구총서)===
*[[아태지역연구센터/출판물(연구총서)]] 문서를 참고
 
=== 소식지(뉴스레터) ===
* 2005년 11월 15일 아태시대 14호
* 2006년 5월 15일 아태시대 15호(영문)
* 2006년 11월 15일 아태시대 16호
* 2007년 11월 15일 아태시대 17호
* 2008년 11월 15일 아태시대 18호
 
=기타 연구소 사업=
* [[아태지역연구센터/기타 연구소 사업]] 문서를 참고
 
=관련 기사=
<references />

편집

11,913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