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중문명: 产学合作团
 
*중문명: 产学合作团
 
*[[전화번호]]: 02-2220-0876
 
*[[전화번호]]: 02-2220-0876
* 위치: 서울캠퍼스 산학협력단 115호, ERICA캠퍼스 학연산클러스터 지원센터 207호
+
*위치: 서울캠퍼스 산학협력단 115호, ERICA캠퍼스 학연산클러스터 지원센터 207호
 
*홈페이지: http://research.hanyang.ac.kr/<nowiki/>(서울), http://ericaresearch.hanyang.ac.kr/<nowiki/>(ERICA)
 
*홈페이지: http://research.hanyang.ac.kr/<nowiki/>(서울), http://ericaresearch.hanyang.ac.kr/<nowiki/>(ERICA)
  
68번째 줄: 68번째 줄:
 
 
 
|-
 
|-
|부설연구소,교책연구센터,외부지정연구센터 관리,논문 교열 및 게재료  
+
|부설연구소,교책연구센터,외부지정연구센터 관리,논문 교열 및 게재료
 
|867
 
|867
 
 
 
|-
 
|-
|연구소 기금 관리, 인센티브(연구소,연구자) 집행  
+
|연구소 기금 관리, 인센티브(연구소,연구자) 집행
 
|877
 
|877
 
 
165번째 줄: 165번째 줄:
 
 
 
|-
 
|-
|산단연구원 인사 및 4대보험 관리  
+
|산단연구원 인사 및 4대보험 관리
 
|2293
 
|2293
 
 
 
|-
 
|-
|산단 결산/연구비 감사/부가세신고  
+
|산단 결산/연구비 감사/부가세신고
 
|2294
 
|2294
 
 
177번째 줄: 177번째 줄:
 
 
 
|-
 
|-
|산단 급여 및 재무  
+
|산단 급여 및 재무
 
|2296
 
|2296
 
 
218번째 줄: 218번째 줄:
 
*[[글로벌박사펠로우십]]
 
*[[글로벌박사펠로우십]]
 
*[[여주 파사성 종합정비계획 수립용역]]
 
*[[여주 파사성 종합정비계획 수립용역]]
 +
*[[공연예술창작모델개발 지원 사업]]
 +
 
=행사=
 
=행사=
* 2019.06.20 오픈특강 '뮤지컬 제작부터 유통까지'<ref><뉴스H> 2019.06.14 한양대 산학협력단, 20일 ‘뮤지컬 제작부터 유통까지’ 주제로 오픈특강</ref>
+
 
**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2019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의 일환으로 산학협력단이 진행하는 멘토링 프로그램
+
*뮤지컬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최 <ref><뉴스H> 2023.05.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뮤지컬 창의인재 양성한다]]</ref>
* 2019.12.05 제1회 사랑 나눔 플리마켓 행사 개최<ref><뉴스H> 2019.12.06 산학협력단, 제1회 사랑 나눔 플리마켓 행사 개최</ref>
+
*2021.10.27~10.31  성수아트홀에서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진행<ref><뉴스H> 2021.10.22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4273 한양대 산학협력단 ,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진행]</ref>
 +
*2020.09.25  ‘예술과 기술의 소통' 을 주제로 아트앤테크 밋업데이 개최
 +
*2019.12.05 제1회 사랑 나눔 플리마켓 행사 개최<ref><뉴스H> 2019.12.06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737043 산학협력단, 제1회 사랑 나눔 플리마켓 행사 개최]</ref>
 +
 
 +
*2019.07.25 BK21 4단계 사업 정책연구진 초청 설명회 개최<ref><[[뉴스H]]> 2019.07.24 [알림] 산학협력단, ‘BK21 4단계 사업 설명회’ 개최</ref>
 +
**초청교수 : 서울대 최해천 교수(BK21 4단계 사업 정책연구 책임자)
 +
**장소 : [[서울캠퍼스]]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 [[정몽구컨퍼런스홀]]
 +
 
 +
*2019.06.20 오픈특강 '뮤지컬 제작부터 유통까지'<ref><뉴스H> 2019.06.14 한양대 산학협력단, 20일 ‘뮤지컬 제작부터 유통까지’ 주제로 오픈특강</ref>
 +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2019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의 일환으로 산학협력단이 진행하는 멘토링 프로그램
 +
 
 +
*2019.02.15 [[4IR PERFORMING ARTS CONFERENCE & STAGE]] 개최<ref><[[뉴스H]]> 2019.02.25 [http://www.hanyang.ac.kr/surl/Zgct 4IR PERFORMING ARTS CONFERENCE & STAGE 개최]</ref>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한양대 산학협력단이 주관
 +
**장소 : 블루스퀘어 카오스홀
 +
**진행 순서 : 1부 콘퍼런스, 2부 사업성과발표회에 이어 예술단체와 융복합 기술전문 종사자 간의 네트워킹 파티로 구성돼 총 5시간 여 진행
 +
*2018.10.26  ‘2018 H-U-M-E-N 융합 타운홀 미팅’개최<ref><뉴스H> 2018.10.23 [http://www.hanyang.ac.kr/surl/fykr 한양대, 바이오분야 융합 연구 위한 타운홀 미팅]</ref>
 +
**오후 4시 30분부터 서울캠퍼스 HIT에서 바이오분야 융합연구를 위한 ‘2018 H-U-M-E-N 융합 타운홀 미팅’을 열어 의학·약학·공학·자연과학 기술을 통한 바이오분야 융합연구 및 사례에 대해 논의하고 자유토론을 벌였다.
 +
**미국 비즈니스컨설팅 회사 ‘Frost&Sullivan’를 초청, ‘Global Life Sciences Industry Outlook’을 주제로 한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하였다.
 +
 
 +
*2018.10 'Art & Technology, Art & Digital Technology' 프로젝트 사업팀으로 8개 팀이 선정됨<ref><뉴스H> 2018.10.25 한양대 주관 新공연예술창작프로젝트에 8팀 선정</ref>
 +
**이 프로젝트 사업은 산학협력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공연예술 콘텐츠와 기술을 아우르는 새 창작 모델 마련, 예술과 기술의 상호발전적 선순환구조 구축을 위해 공모
 +
**프로젝트 별로 최소 700만에서 최대 5000만원 지원
  
 
=수상/선정=
 
=수상/선정=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Consumer Technology Show) 2020 혁신상
+
*2020.09 한양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ref><뉴스H> 2020.09.14 한양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ref>
*수상작  
+
*2020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Consumer Technology Show) 2020 혁신상
**△바이오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전자 데오드란트 기기 '프래그런트(Pragrant)'
+
**수상작 △바이오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전자 데오드란트 기기 '프래그런트(Pragrant)', △플라즈마 커튼 '플라카(PLACA)',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플라즈마 커튼 '플라카(PLACA)'
+
*2019.11 [http://www.hanyang.ac.kr/surl/KYjBB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Consumer Technology Show) 2019 혁신상]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
*2019.09 [http://www.hanyang.ac.kr/surl/DZK9 2019 '빅데이터 플랫폼・센터 구축 사업 기관'선정]
+
*2019.04 [http://www.hanyang.ac.kr/surl/dNJx 한양대 산학협력단, 콘텐츠창의인재동반사업 플랫폼기관 선정]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Consumer Technology Show) 2019 혁신상
+
*2018.08 ‘프로젝트 주도형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과정', [http://www.hanyang.ac.kr/surl/LCah 2018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에 선정]
 +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은 청년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중심의 소프트웨어교육을 운영하여 4차 산업혁명 핵심인재 1,200명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
**한양대 산학협력단은 2018년 8월 말부터 2019년 2월 말까지 ‘프로젝트 주도형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과정’을 2개 반으로 운영하며, 50명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개발자를 양성한다. 총 교육시간은 960시간이며, 산학프로젝트를 600시간 수행할 예정이다.
 +
 
 +
=개발·참여=
 +
 
 +
*광반도체 전문 업체 광전자 풀 컬러(Full Color) RGB용 고효율 적색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개발에 착수<ref><뉴스H> 2019.06.13 한양대, 고효율 적색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개발 참여</ref>
 +
**참여기관 : ERICA 산학협력단, 한국광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
**개발기간 : 2019.04.01 ~ 2021.12.31
 +
**산업통상자원부가 총 사업비 22억 2000만원을 지원하는 초절전 LED 융합기술개발 프로젝트의 일환
 +
*안산향교 터에 대한 발굴조사 참여<ref><뉴스H> 2018.03.21[http://www.hanyang.ac.kr/surl/g53W ERICA 산학협력단, 안산시와 안산향교 발굴조사 나서]</ref>
 +
**참여기관 : ERICA캠퍼스 산학협력단이 경기 안산시
 +
**개발기간 : 2018.03 ~ 2018.09
 +
**향토유적 제27호로 지정한 안산향교 터 발굴조사에 참여
 +
*신임경찰 정신건강 빅데이터 분석 '신체·정신건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종합건강관리체계 구축' 보고서 작성
 +
 
 +
=특허=
 +
 
 +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조병완]] 교수)<ref><뉴스H> 2020.10.16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959143 한양대 산학협력단, '돼지열병·구제역·조류독감 살처분 방지' 사물인터넷 특허]</ref>
 +
 
 +
=기술이전=
 +
 
 +
*2020.09.24 포스코케미칼에 전기차 배터리 양극소재 관련 '[[코어쉘 그래디언트]](CSG)' 기술이전<ref><뉴스H> 2020.10.05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946843 한양대 산학협력단, 포스코케미칼에 전기차 배터리 양극소재 관련 '코어쉘 그래디언트(CSG)' 기술이전]</ref>
  
=개발참여=
 
* 광반도체 전문 업체 광전자 풀 컬러(Full Color) RGB용 고효율 적색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개발에 착수<ref><뉴스H> 2019.06.13 한양대, 고효율 적색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개발 참여</ref>
 
** 참여기관 : ERICA 산학협력단, 한국광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 개발기간 : 2019.04.01 ~ 2021.12.31
 
** 산업통상자원부가 총 사업비 22억 2000만원을 지원하는 초절전 LED 융합기술개발 프로젝트의 일환
 
 
=MOU=
 
=MOU=
* [[MOU]] 문서 참고
+
 
** 2019.06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과 MOU 체결
+
*[[MOU]] 문서 참고
 +
**2019.06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과 MOU 체결
 +
 
 +
=결산=
 +
==2019회계연도==
 +
 
 +
*자금규모 3,8656억원,국내 대학 4위
 +
**국내 대학 TOP10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경북대, 포항공대, 부산대, 경희대, 충남대
 +
*연구수익 2,204억원, 국내 대학 5위
 +
**국내 대학 TOP10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포항공대, 부산대, 경희대, 경북대, 전남대
 +
*간접비수익 413억원, 국내 대학 5위
 +
**국내 대학 TOP10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포항공대, 경북대, 부산대, 경희대, 충남대
  
 
=주석=
 
=주석=
 
<references />
 
<references />

2023년 7월 2일 (일) 21:54 기준 최신판

한양대학교는 2003년 12월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법인 자격을 갖는 산학협력단(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을 국내 사립대학 최초로 설립한 바 있다. 산학협력단은 산재되어 있던 산학협력 관련 부서를 통합하여 조직 운영의 효율화를 꾀하고 한양대 산학협력사업의 창구를 일원화하여 연구를 지원하였다.[1]

연도별 내역은 산학협력 참고

주요 업무[2]

  • 대외 산학영 협력 업무 총괄
  • 산학연 연구진흥업무
  • 산학연 R&D 지원 업무
  • 창업 모육 업무
  • 산학연 연구비 관리 업무

조직 구성

서울캠퍼스(2012)

<업무별 담당 연락처[3]>

팀명 담당업무(세부담당 포함) 전화번호(내선) 비고
연구진흥팀 산학협력단 예산/간접비 876  
연구진흥사업기획, BK21 사업 대응 873  
산단홈페이지, 우수연구성과홍보, 연구윤리대응 등 874  
교내연구과제 협약/집행/결과보고 관리 875  
부설연구소,교책연구센터,외부지정연구센터 관리,논문 교열 및 게재료 867  
연구소 기금 관리, 인센티브(연구소,연구자) 집행 877  
공동장비분석(FACSCantoII/Confocal/Cell imaging system/LC-MS-MS/Bio Plex) 2403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AES/HR-XRD/FTC분석장비총괄) 1712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Smart Factory/신소재 분석장비총괄) 1387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XRF/BET) 2778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NMR600) 563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FIB/FIB) 1779 공동기기원
연구행정 553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AFM) 1349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 2757 공동기기원
(FACSAriaIII/FACSMelody/MALDI-TOF/BIO-TEM)
공동장비분석(XPS) 1778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TEM/FIB/SEM) 1779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TEM) 2566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XPS/XRD/야간전담) 1712 공동기기원
연구장비관리/풀링제/서브원검수/LINC+사업행정 595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 2756 공동기기원
(GC-MS/EA/TGA-DSC/LINC+사업행정)
공동장비분석(LINC+사업 행정/SEM) 1711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ICP-OES/ICP-MS) 1387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RAMAN/Zeta/FT-IR/UV-VIS) 1387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TEM) 1779 공동기기원
공동장비분석(Smart Factory) 2565 공동기기원
산학기획팀 산학협력단조직 및 산단직원인사관리 2292  
산단연구원 인사 및 4대보험 관리 2293  
산단 결산/연구비 감사/부가세신고 2294  
비교비교원(연구교원,산학협력중점교수), Post-doc 인사관리 2295  
산단 급여 및 재무 2296  
BK21플러스 (협약/정산) 2301  
R&D 사업 기획 지원 2297 학문후속세대
한양융합연구센터(IUCC,MEB,인문학진흥센터)관리 2298 학문후속세대
R&D 사업 기획 지원 2299 학문후속세대

ERICA캠퍼스(2012)

개편

사업

행사

  • 뮤지컬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최 [4]
  • 2021.10.27~10.31 성수아트홀에서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진행[5]
  • 2020.09.25 ‘예술과 기술의 소통' 을 주제로 아트앤테크 밋업데이 개최
  • 2019.12.05 제1회 사랑 나눔 플리마켓 행사 개최[6]
  • 2019.06.20 오픈특강 '뮤지컬 제작부터 유통까지'[8]
    •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2019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의 일환으로 산학협력단이 진행하는 멘토링 프로그램
  • 2019.02.15 4IR PERFORMING ARTS CONFERENCE & STAGE 개최[9]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한양대 산학협력단이 주관
    • 장소 : 블루스퀘어 카오스홀
    • 진행 순서 : 1부 콘퍼런스, 2부 사업성과발표회에 이어 예술단체와 융복합 기술전문 종사자 간의 네트워킹 파티로 구성돼 총 5시간 여 진행
  • 2018.10.26 ‘2018 H-U-M-E-N 융합 타운홀 미팅’개최[10]
    • 오후 4시 30분부터 서울캠퍼스 HIT에서 바이오분야 융합연구를 위한 ‘2018 H-U-M-E-N 융합 타운홀 미팅’을 열어 의학·약학·공학·자연과학 기술을 통한 바이오분야 융합연구 및 사례에 대해 논의하고 자유토론을 벌였다.
    • 미국 비즈니스컨설팅 회사 ‘Frost&Sullivan’를 초청, ‘Global Life Sciences Industry Outlook’을 주제로 한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하였다.
  • 2018.10 'Art & Technology, Art & Digital Technology' 프로젝트 사업팀으로 8개 팀이 선정됨[11]
    • 이 프로젝트 사업은 산학협력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공연예술 콘텐츠와 기술을 아우르는 새 창작 모델 마련, 예술과 기술의 상호발전적 선순환구조 구축을 위해 공모
    • 프로젝트 별로 최소 700만에서 최대 5000만원 지원

수상/선정

개발·참여

  • 광반도체 전문 업체 광전자 풀 컬러(Full Color) RGB용 고효율 적색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개발에 착수[13]
    • 참여기관 : ERICA 산학협력단, 한국광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 개발기간 : 2019.04.01 ~ 2021.12.31
    • 산업통상자원부가 총 사업비 22억 2000만원을 지원하는 초절전 LED 융합기술개발 프로젝트의 일환
  • 안산향교 터에 대한 발굴조사 참여[14]
    • 참여기관 : ERICA캠퍼스 산학협력단이 경기 안산시
    • 개발기간 : 2018.03 ~ 2018.09
    • 향토유적 제27호로 지정한 안산향교 터 발굴조사에 참여
  • 신임경찰 정신건강 빅데이터 분석 '신체·정신건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종합건강관리체계 구축' 보고서 작성

특허

  •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조병완 교수)[15]

기술이전

MOU

  • MOU 문서 참고
    • 2019.06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과 MOU 체결

결산

2019회계연도

  • 자금규모 3,8656억원,국내 대학 4위
    • 국내 대학 TOP10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경북대, 포항공대, 부산대, 경희대, 충남대
  • 연구수익 2,204억원, 국내 대학 5위
    • 국내 대학 TOP10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포항공대, 부산대, 경희대, 경북대, 전남대
  • 간접비수익 413억원, 국내 대학 5위
    • 국내 대학 TOP10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포항공대, 경북대, 부산대, 경희대, 충남대

주석

  1. 한양대학교 요람 2009-2012
  2. 한양대학교 백서 2005-2008
  3. 2020년 7월 공문 기준
  4. <뉴스H> 2023.05.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뮤지컬 창의인재 양성한다
  5. <뉴스H> 2021.10.22 한양대 산학협력단 ,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진행
  6. <뉴스H> 2019.12.06 산학협력단, 제1회 사랑 나눔 플리마켓 행사 개최
  7. <뉴스H> 2019.07.24 [알림] 산학협력단, ‘BK21 4단계 사업 설명회’ 개최
  8. <뉴스H> 2019.06.14 한양대 산학협력단, 20일 ‘뮤지컬 제작부터 유통까지’ 주제로 오픈특강
  9. <뉴스H> 2019.02.25 4IR PERFORMING ARTS CONFERENCE & STAGE 개최
  10. <뉴스H> 2018.10.23 한양대, 바이오분야 융합 연구 위한 타운홀 미팅
  11. <뉴스H> 2018.10.25 한양대 주관 新공연예술창작프로젝트에 8팀 선정
  12. <뉴스H> 2020.09.14 한양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
  13. <뉴스H> 2019.06.13 한양대, 고효율 적색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개발 참여
  14. <뉴스H> 2018.03.21ERICA 산학협력단, 안산시와 안산향교 발굴조사 나서
  15. <뉴스H> 2020.10.16 한양대 산학협력단, '돼지열병·구제역·조류독감 살처분 방지' 사물인터넷 특허
  16. <뉴스H> 2020.10.05 한양대 산학협력단, 포스코케미칼에 전기차 배터리 양극소재 관련 '코어쉘 그래디언트(CSG)' 기술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