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2,562 바이트 추가됨 ,  10개월 전
[http://peaceinstitute.hanyang.ac.kr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는 '소극적 평화'를 넘어서 '적극적 평화'에 대한 다(多)학문의 통합적이고 유기적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설립됐다. 평화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이 발주하는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SSK, Social Science Korea)'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0년에 시작한 본 연구사업은 1, 2단계 총 6년의 연구를 마무리하고 3단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2016 기준)
* 2014. 4. 한양대 평화연구소 설립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부속기관]]
* 소속: 서울 부설연구소 평화연구소* 유형: 서울 부설기관* 영문명: Hanyang Peace Institute HANYANG PEACE INSTITUTE* 중문명: 和平研究所
== '''콜로키엄''' 콜로키움==* 2018년 7월 30일 제64차 콜로키엄: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의 욕망과 김정은 체제의 변화(전영선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2017. 10. ~ 2017. 11. 특별콜로키엄*# 2017. 10. 24. 예외주의와 미국의 대전략(차태서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원)*# 2017. 10. 30. 경제제재의 특징과 효과성(황태희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7. 11. 8. 중국의 '꿈'과 한반도 미래상([[문흥호]]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7. 11. 15. 진화하는 북한의 위협(가제)(최강 아산정책연구원)*# 2017. 11. 22. 평화협정의 의미와 사례: 한반도에의 적용과 시사점(가제)(황수환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7. 10. 제54차 콜로키엄: 청소년정치참여실태 및 요인 분석(이창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9. 제52차 콜로키엄: 갈등조정기제로서의 문화교류(김새미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2017. 8. 제51차 콜로키엄: 영화로 본 분단체제와 분단폭력(모춘흥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2017. 7. 제50차 콜로키엄: 칸트의 환대 개념의 의의와 한계(정호원 독일정치경제연구소 연구원)* 2017. 6. 제49차 콜로키엄: 지구화 시대의 열린 민족주의: 베네딕트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 다시 읽기(서지원 창원대 교수)* 2017. 6. 제48차 콜로키엄: 사회통합 수준 국제 비교(정해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2017. 5. 제47차 콜로키엄: 공생(conviviality)과 소수자 문화정치(김수철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2017. 4. 제46차 콜로키엄: 예술흥행비자제도와 이주여성의 문제를 통해 본 성과 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홍기원 숙명여대 교수)* 2017. 3. 제45차 콜로키엄: 한국의 이주노동정치와 미등록 이주노동자 합법화(한준성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박사)* 2016. 12. 제44차 콜로키엄: 소셜미디어 시대 대중문화의 초국가적 이해(진달용 Simon Fraser University 교수)* 2016. 11. 제43차 콜로키엄: 민족적 민주주의의 위기 그리고 새로운 공동체의 계기들(홍태영)* 2016. 10. 제42차 콜로키엄: 이방인의 권리와 환대의 윤리: 칸트와 데리다(최병두)
*2019.09.19 제78차 콜로키움 '중국위협론에 대한 아시아인들의 인식: 대중(對中) 무역 수혜 여부에 따른 여론 분석' (정승철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원)<ref><뉴스H> 2019.09.10 한양대 평화연구소, ‘중국위협론에 대한 아시아인들의 인식‘ 관련 콜로키움</ref>*2019.09.05 '일본의 한반도 정책 : 북한문제와 한일관계'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정치학 교수)<ref><뉴스H> 2019.09.04 한양대 평화연구소, ‘일본의 한반도정책’ 관련 토론회</ref>*2018.07.30 제64차 콜로키엄: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의 욕망과 김정은 체제의 변화(전영선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ref><뉴스H> 2018.07.23 [http://www.hanyang.ac.kr/surl/OvXBB 한양대 평화연구소 ‘64차 콜로키엄’, 오는 30일 개최] </ref>*2017.10 ~ 2017.11 특별콜로키엄*#2017.10.24 예외주의와 미국의 대전략(차태서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원)*#2017.10.30 경제제재의 특징과 효과성(황태희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2017.11.08 중국의 '꿈'과 한반도 미래상([[문흥호]]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2017.11.15 진화하는 북한의 위협(가제)(최강 아산정책연구원)*#2017.11.22 평화협정의 의미와 사례: 한반도에의 적용과 시사점(가제)(황수환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2017.10 제54차 콜로키엄: 청소년정치참여실태 및 요인 분석: 국정농단사건을 중심으로(이창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ref><뉴스H> 2017.10.25 [http://www.hanyang.ac.kr/surl/xrvP 평화연구소 ‘청소년 정치 참여 실태 분석’ 주제로 콜로키엄 개최]</ref>*2017.09 제52차 콜로키엄: 갈등조정기제로서의 문화교류(김새미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2017.08.16 제51차 콜로키엄: 영화로 본 분단체제와 분단폭력(모춘흥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ref><뉴스H> 2017.08.14 한양대 평화연구소 ‘영화로 본 분단체제와 분단폭력’ 콜로키엄 개최</ref>*2017.07.06 제50차 콜로키엄: 칸트의 환대 개념의 의의와 한계(정호원 독일정치경제연구소 연구원)<ref><뉴스H> 2017.07.05 한양대 평화연구소, ‘제50차 콜로키엄’ 개최</ref>*2017.06 제49차 콜로키엄: 지구화 시대의 열린 민족주의: 베네딕트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 다시 읽기(서지원 창원대 교수)*2017.06 제48차 콜로키엄: 사회통합 수준 국제 비교(정해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2017.05 제47차 콜로키엄: 공생(conviviality)과 소수자 문화정치(김수철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2017.04 제46차 콜로키엄: 예술흥행비자제도와 이주여성의 문제를 통해 본 성과 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홍기원 숙명여대 교수)*2017.03 제45차 콜로키엄: 한국의 이주노동정치와 미등록 이주노동자 합법화(한준성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박사)*2016.12 제44차 콜로키엄: 소셜미디어 시대 대중문화의 초국가적 이해(진달용 Simon Fraser University 교수)*2016.11 제43차 콜로키엄: 민족적 민주주의의 위기 그리고 새로운 공동체의 계기들(홍태영)* 2016. 610 제42차 콜로키엄: 이방인의 권리와 환대의 윤리: 칸트와 데리다(최병두)*2016. 06 제41차 콜로키엄: 사람, 장소, 환대(김현경)*2016.05 제40차 콜로키움: 북한의 대중 불신의 시원(始元)과 내면화(內面化)(모춘흥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 2016. 5. 제40차 콜로키움: 북한의 대중 불신의 시원(始元)과 내면화(內面化)(모춘흥 한양대 평화연구소 연구교수)==학술회의==
*2023.07.07 한국법제연구원, 제주평화연구원과 ‘초당적 통일정책의 필요성과 법정책적 과제’를 주제로 공동학술회의 개최<ref><뉴스H> 2023.07.12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 '''1010649 한양대 평화연구소, ‘초당적 통일정책의 필요성과 법정책적 과제’ 학술회의''' =개최]</ref>*2023.05.19-20 ‘인문사회연구소 성과확산센터 제2차 네트워킹 심포지엄’ 개최<ref><뉴스H> 2023.05.18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9983 한양대 평화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 성과확산센터 제2차 네트워킹 심포지엄‘ 개최]</ref>* 2019.10.24. 추계학술회의 ‘평화와 환대: 이론, 정책, 제도, 실천’을 주제로 실천’ <ref> <뉴스H> 2019.10.17 [알림] 한양대 평화연구소, 추계학술회의 개최</ref>* 2019. 909. 26. 통일기획학술회의 '탈북민 가족의 재구성과 탈북여성의 삶' <ref> 출처: <뉴스H> 2019.09.18 한양대 평화연구소, 2019 통일기획학술회의 개최</ref>* 2019. 808. 24. 하계공동학술회의 '기억과 갈등의 정치: 평화와 환대의 길' <ref><뉴스H 기사 http://www> 2019.hanyang08.ac.kr/surl/huT821 한양대 평화연구소, 2019 하계공동학술회의 개최</ref>* 2019. 303. 28. 춘계공동학술회의 '세계화 시대의 민족과 문화정치' <ref><뉴스H> 2019.03.26 한양대 평화연구소, 2019 춘계공동학술회의 개최</ref>*2018.11.12 추계학술회의 '난민과 지구촌 평화' <ref><뉴스H 기사 < 2018.11.12 [http://www.hanyang.ac.kr/surl/89tuHHW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추계학술회의 개최]</ref>* 2017. 10. 초국가 이주 시대에 문화정치학의 과제* 2017. 8. 08 평화나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불확실성 시대의 공생의 정치학: 과제와 방향'*2017.08 'Hallyu in Southeast Asia 2017' 국제세미나*2017.05 한일이민심포지엄*2017.03 춘계학술회의 '위기의 시대, 환대와 공생의 이론적 조망'*2017.02 평화나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세계화 시대의 평화와 안보'*2016.10 제주평화연구원과 공동학술회의 '문화와 평화-환대와 적대의 문화정치'*2016.08 하계학술회의 '위기의 시대 문화정치 연구의 새로운 쟁점들'*2016.05 춘계학술회의 '기억의 정치와 문화정체성'*2016.04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동아시아에서의 갈등과 화해-타자의 조명과 마음의 해석'*2015.12 동계학술회의 '문화의 세계화와 로컬화: 유럽과 동아시아'*2015.11 통일기획패널 학술회의 '탈북민을 재현하는 미디어의 시선과 윤리적 태도'*2015.05 춘계학술회의 '문화 갈등과 문화 공존: 유럽과 한국의 경험'*2014.04 개소 기념 학술회의 '평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국제협력과 문화공존'
* 2017. 8. 'Hallyu in Southeast Asia 2017' 국제세미나==행사==
* 20172019. 5. 한일이민심포지엄11 젤워거 前 스위스 개발협력처 평양사무소장 초청,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성과와 과제에 관한 특강을 개최
* 2017. 3. 춘계학술회의 '위기의 시대, 환대와 공생의 이론적 조망'==초청강연==
* 20172019. 210. 평화나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18 통일부 통일교육원 초청강연 '세계화 시대의 평화와 안보한반도 평화정착의 두 개 근본적 과제와 그 해법'<ref><뉴스H> 2019.10.17 한양대 평화연구소, 통일부 통일교육원 초청강연</ref>*2019.11.01 2018 가을철 초청강연 및 심포지엄 '이주의 시대, 난민과 지구촌 평화' (이리나 보코바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ref><뉴스H> 2018.10.30 오는 1일, 이리나 보코바 前유네스코 사무총장 특별강연</ref>
* 2016. 10. 제주평화연구원과 공동학술회의 '문화와 평화-환대와 적대의 문화정치' * 2016. 8. 하계학술회의 '위기의 시대 문화정치 연구의 새로운 쟁점들' * 2016. 5. 춘계학술회의 '기억의 정치와 문화정체성' * 2016. 4.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동아시아에서의 갈등과 화해-타자의 조명과 마음의 해석' * 2015. 12. 동계학술회의 '문화의 세계화와 로컬화: 유럽과 동아시아' * 2015. 11. 통일기획패널 학술회의 '탈북민을 재현하는 미디어의 시선과 윤리적 태도' * 2015. 5. 춘계학술회의 '문화 갈등과 문화 공존: 유럽과 한국의 경험' * 2014. 4. 개소 기념 학술회의 '평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국제협력과 문화공존'==주석==
<references />

편집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