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4,191 바이트 제거됨 ,  10개월 전
편집 요약 없음
*[[유튜브 ]]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bctJ7X2wPEC13orEcKdVDg/[[분류:유튜브]]
=대학원=
*유형: 대학원
*영문명: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중문명: 话剧电影系
 
==공연==
===2020학년도 온라인 상영회<ref><뉴스H> 2020.08.10 [http://www.hanyang.ac.kr/surl/nq5WB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발표회 유튜브로 개막] <그게 다예요 : 드레스 판타지아></ref>===
 
*공연명 : '그게 다에요 : 드레스 판타지아'
*코로나19로 인해 유튜브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HDT' 채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진행
*일시 : 7월 13일 ~ 7월 19일 매일 18:00시 공개
 
===2018학년도 상반기 워크숍<ref><뉴스H> 2018.04.18 연영과, 워크숍 작품 4편 내달 9일부터 연이어 무대에</ref>===
 
*열쇠교환 2018.05.09(수) ~ 05.12(토) 한양대 [[블랙박스시어터]]
**케빈웨이드의 동명 연극을 한국 사정에 맞게 각색한 번역극
*조난 2018.05.17(목) ~ 05.19(토) 한양대 [[레퍼토리시어터]]
**생택쥐베리의 '야간비행'을 모티브로 한 음악극으로, 재즈밴드 '더데이(The Day)'와 협업
*더테이블 2018.05.24(목) ~ 05.26(토) [[한양예술극장]]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이야기
**다큐멘터리 연극 중에서도 배우가 해당 내용을 사실에 가깝게 재현하는 '버바텀 연극'<ref>버바텀(verbatim)은 '문자 그대로'를 뜻하는 단어로, '증언의연극''증인의 연극'으로도 불린다.''</ref>의 형식을 일부 취함
*어셔가의 몰락 2018.05.31(목) ~ 06.02(토) 한양예술극장
**앨런 포의 '어셔가의 몰락'이라는 동명 소설을 모티브로 한 신체극
 
===2018년 신체극 '어셔가의 몰락<ref><뉴스H> 2018.10.02 한양대 대학원 연영과, 신체극 '어셔가의 몰락' 5일부터 선보여</ref>===
 
*일시 : 2018년 10월 5일(금)~7일(일)
*장소 : 서울 [[한양예술극장]]
*이 신체극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양길호 씨(연극영화학 박사 17)가 에드거 앨런 포의 ‘어셔가의 몰락’이라는 동명 소설을 모티브로 각색 및 연출한 공연이다.
*전석 5천원
=학부(서울)=
*연극영화학과는 연극 전공과 영화 전공으로 나누어집니다. 연극은 문학의 형식으로 만들어진 희곡을 공연예술의 형태로 무대에서 실현하고, 영화는 삶과 인간에 대한 통찰을 영상과 음향을 통해 이미지화하는 종합예술입니다. 연극영화학과는 연극과 영화를 ‘삶과 인간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학적 종합예술로 인식하고 창조적 능력과 미학적 토대를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연극영화학과에서는 연극, 영화제작에 필요한 기반지식을 익히고 실습과정을 통해서 미래의 연기자 및 연극, 영화의 예술인으로서의 실무적 역량을 배양하게 되며, 철학, 예술사 등 인문학적 연구 또한 병행하게 됩니다.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는 연기자로 대표되는 직업뿐만 아니라,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공연연출가, 기획자, 무대미술가 등 연극, 영화계는 물론 방송, CF계 등 문화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역량 있는 인재를 길러내고 있습니다.
습니다.
===학과 정보===
|디지털영화제작
연극제작준비실습
|연극제작실습<ref>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직접 무대 기획과 연극을 진행한다.</ref>
영화제작
|연극연출론
*연출로 들어가도 연기를 배울 수 있나요?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의 경우 1학년 때 기초연기 수업이 필수적으로 들어야하는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습니다. 그 이후 연기수업은 듣고 싶은 경우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 학기 작품들에서 오디션을 보기 때문에 연출과로 입학한 학생의 경우에도 오디션에 참가하면 무대에 올라갈 수 있으며 매 학기 영화작품에 연기자로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교수진==
*금액 : 750만원
*2019년 '제7회 현대차그룹 대학 연극뮤지컬 페스티벌'에서 '랩뮤지컬 히폴리토스'자품으로 대상, 새로운발견상, 무대예술상 수상
*관련 기사 : [http://www.hanyang.ac.kr/surl/x4y8 한양대, 현대차 대학 연극·뮤지컬 페스티벌 대상]
'''<nowiki/>'2017 H-Star Festival' 상금 전액 기부'''
*용도 : 연극영화학과 공연제작 후원
*2017년 8월에 개최된 ‘2017년 전국 대학 연극ㆍ뮤지컬 페스티벌(2017 H-Star Festival)’에서 창작뮤지컬 ‘[[나비봄꿈]]’으로 뮤지컬 단체상 부문 동상 수상
*관련 기사 : <뉴스H> 2017.10.30 연영과 학생들 ‘2017 H-스타 페스티벌’ 상금 전액 기부
 '''‘2016년 H-Star Festival’ 상금 전액 기부'''
*《캡스톤 창작희곡선정집》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2019)<ref>출처: <뉴스H> [신간] 연극영화학과 『캡스톤 창작희곡선정집』 출간 http://www.hanyang.ac.kr/surl/dCdx</ref> :
** 이 대본집은 한양대학교 새내기 극작가들이 기고한 작품들로, 기존의 기성 전문가들의 극작 공식과 정해진 문법 틀에서 벗어나 참신함을 바탕으로 완성됐다총 세 권의 대본집으로 구성됐다3권 ▲연애보험회사 ▲아스타나가 일대기 ▲두아 이야기 ▲트라베시아 4권 ▲갱물 ▲예화전 ▲문스톤 ▲수탉이 세 번 울 때까지 5권 ▲거꾸로 쥔 방패 ▲풍율리엔 죄가 많다 ▲개와 고양이 유니콘의 시간 ▲푸른 반점 아가씨
==공연==
'''2018년 [[워크숍|글로벌 워크숍]] '문스톤'''' *일시 : 2018년 12월 4일 ~ 12월 8일*장소 : 올림픽체육관 블랙박스씨어터*(뉴스H, 2018. 12. 08) [http://www.hanyang.ac.kr/surl/Hxso| 연영과 글로벌 워크숍 ‘문스톤’, 한국 학생과 유학생이 함께 해] '''성동문화재단 3주년 기념 창작극 '밤별'''' *일시 : 2018년 7월 21일(토) ~ 7월 22일(일), 21일(토) 오후 3시, 오후 7시, 22일(일)은 오후 3시 공연*장소 : 서울 성수아트홀*시놉시스 : 임용고시 합격 후 불합격에 불합격을 거듭하다 자신의 모교인 한빛초등학교의 기간제 교사로 기적적으로 합격한 ‘유별이’ 선생님과 한빛초등학교 말썽꾸러기 아이들이 함께 연극대회를 준비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작연출 : 김하람 학생(연극영화학 17)*예술감독 : 권용 연극영화학과 교수*제작감독 : 조한준 연극영화학과 교수, 이기쁨 연극영화학과 조교수*주요배역 : 유별이 역 김수진 학생(연극영화학 15), 하늘이 역 김주헌 학생(연극영화학 13), 반장 역 홍상현 학생(연극영화학 12), 다홍 역에정솔아 학생(영어교육 16), 공주 및 하동이 역 김세희 학생(연극영화학 18), 먹보 역 강정묵 학생(연극영화학 17), 성인남자 역 권도균 학생(연극영화학 17), 성인여자 역 김율아 학생(연극영화학 15)*관람료 : 일반인 5천원, 성동구민 및 대학생과 청소년 3천원*주최 : 성동문화재단*주관 :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2017학년도 1학기 정기 [[워크숍]] 쇼케이스 창작낭독극 '계산사회'''' *일시 : 2017년 12월 14일(목) ~ 12월 16일(토) / 평일 공연은 오후 7시, 주말 공연은 오후 2시 및 오후 6시*장소 : 서울캠퍼스 IT/BT관 1층 스튜디오씨어터*작연출 : 정소원 학생(연극영화학 17)*기획 : 조재혁 학생(연극영화학 13)*주요 배역 : 나일만 역에 양병열 학생(연극영화학 14), 이마리 역에 이가은 학생(연극영화학 12), 형민/김철수 역에 조재혁 학생(연극영화학 13), 대지/공장반장17호 역에 강정묵 학생(연극영화학 17) 등*지도교수 : [[권용]]·[[조한준]]·[[이기쁨]] 연극영화학과 교수*시놉시스 : 합리적 인간과 비합리적 인간으로 계급이 나뉜 ‘계산사회’에서 비합리적 인간이자 극의 주인공인 30살 나일만의 이야기다. 중소공장에 취직하지만 경제적 어려움 속에 죽기 살기로 공부해 대공장에 입사한 나일만은 공장장의 딸 이마리에게 은밀한 제안을 받는다. '''2017학년도 2학기 정기 [[워크숍]] 쇼케이스 창작극 ‘다이아몬드 비’''' *일시 : 2017년 12월 14일(목) ~ 12월 16일(목) / 평일 공연은 오후 7시, 주말 공연은 오후 2시 및 오후 6시*장소 : 올림픽체육관 블랙박스시어터*작연출 : 김선빈 학생(연극영화학 16)*주요 배역 : 왕자 역에 이효주 학생(연극영화학 16), 소년 역에 최화현 학생(연극영화학 16), 여자아이 및 스승 역에 김유리 학생(연극영화학 16), 의사 및 대빵삼촌 역에 한현구 학생(연극영화학 16), 유모 역에 박유빈 학생(연극영화학 17) 등*지도교수 : [[권용]] 교수, [[조한준]] 교수, [[반능기]] 교수*시놉시스 :  ‘왕이 왕국을 잘 다스리면 그 왕국에 다이아몬드 비가 내린다’는 전설을 믿는 사람들의 기대 속에 부담감과 외로움을 느낀 행복한 궁의 유일한 왕자가 명랑한 여자아이와 난쟁이별의 왕자를 만나면서 겪는 이야기*관람료 : 무료 '''2017학년도 1학기 정기 [[워크숍]] 창작 뮤지컬 ‘금빛첨탑의 비행사’''' *일시 : 2017년 12월 5일(화) ~ 12월 9일(토) / 평일 오후 7시, 주말 오후 4시*장소 : 서울캠퍼스 한양예술극장*강동훈 학생(연극영화학 16) 작, 유재구 학생(연극영화학 13) 연출, 임예지 학생(연극영화학 15) 기획*시놉시스 : 마지막 땅에 우뚝 선 금빛첨탐에서 사라진 여동생을 찾아 떠나는 한 소년과 부모 대용 AI B10의 이야기*관람료 : 일반인 7천원, 한양대생과 중고등학생 또는 단체 10인 이상의 경우 5천원 '''2017학년도 1학기 정기 [[워크숍]] 창작 뮤지컬 ‘나비 봄 꿈’''' *일시 : 2017년 7월 3일 ~ 7월 8일 / 평일 오후 7시, 주말 오후 3시 및 오후 7시*장소 : 올림픽체육관 블랙박스 시어터*연출에 신민경 학생(연극영화학 13), 작곡에 이선재 학생(작곡과 13), 기획에 이윤정 학생(연극영화학 16) 등 연극부 학생들이 무대·조명·음향·의상·분장 등 공연의 전 부문을 직접 맡았다.*시놉시스 : 어린 시절 합창대회에서의 실수로 자신감을 잃은 채 살아가는 주인공 ‘지흔’이 꿈속의 여정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는 이야기*관람료 : 일반인 7천원, 한양대생과 중고등학생 또는 단체 10인 이상의 경우 5천원 '''2016년 [[워크숍|글로벌 워크숍학부공연]] '나비 봄 꿈'''' *일시 : 2016년 12월 1일 ~ 12월 4일*장소 : 올림픽체육관 블랙박스씨어터*출연진 : 학생 20명 중 외국인 유학생 7명(중국 학생이 6명, 과테말라 학생이 1명)*참가 학생들은 유학생 중 다수가 중국인이란 점을 살려 한국과 중국 전설이 아우러진 각본을 완성했고, 양국의 전통 무용과 현대 무용을 선보였다.*주요 배역 : 지흔' 역에 중국인 임지흔(연극영화학과), '나비' 역에 중국인 왕메이(연극영화학과 석사과정),  '록현' 역의 김록현(연극영화학과)*무대감독 : 홍상현(연극영화학과)*무대 연출 : 크로마키 촬영기법(두 화면을 따로 촬영해 하나로 만드는 기법)을 통해 지흔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위해 공연장에 연기를 자욱하게 깔았다. 작곡가와 밴드까지 섭외해 관객의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시놉시스 : 어린시절 합창대회에서의 실수로 자신감을 잃은 채 살아가는 주인공 '지흔'이 꿈 속의 여정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는 이야기다. 지흔은 한국 유학 생활 중에 '나비'를 따라 빠져든 환상 세계에서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갖는다.  지흔은 꿈에서 3가지 수수께끼를 푸는데, 마지막 질문을 듣고 자신을 붙잡고 있었던 내면의 두려움을 깨닫는다. 마침내 두려움과 불안함도 자신의 일부임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한다. 동양인들에게 익숙한 '호접몽' 이야기에 유학생의 한국 생활이라는 실제 경험을 녹여냈다. 참조
'''2013학년도 2학기 정기 [[워크숍]] '둥둥낙랑둥''''==교내 언론==
*일시 <뉴스H> 2019.08.12 [http: 2013년 12월 3일(화) ~ 12월 7일(토) 오후 7시 30분*장소 : 한양예술극장//www.hanyang.ac.kr/surl/TPN8 한양대 연영과학생들, BIFAN에 영화 <뜨거운 그대들에게> 출품]*관람료 <뉴스H> 2023.07.10 [http: 일반 6천원//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0604 사회를 맞이하는 첫 프로젝트, 10인 이상 또는 할인권 지참 시 3천원졸업 프로젝트 현장에 가보다]
[[분류:대학 조직]]
[[분류:서울 대학]]
[[분류:기부자]]
=각주=
<references />

편집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