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대학원
*영문명: Department of Information Systems DEPARTMENT OF INFORMATION SYSTEMS
*중문명: 信息系统系
=학부(서울)=
*소속: 서울 공과대학 정보시스템학과
*유형: 서울 대학
*영문명: Department of Information SystemsDEPARTMENT OF INFORMATION SYSTEMS
*중문명: 信息系统系
=[[전공안내서2020]]=교육목표== #전산학, 경영학, 정보시스템 전문가 양성 : 컴퓨터, 경영, 정보 시스템 관련 여러 기초 분야를 섭렵하여 공학적인 지식과 사회학적인 지식을 융합하고 이를 실제 응용에 적용하는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윤리적 인재 양성 : 외부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직업 윤리관과 가치관을 가지고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세계화 인재 양성 : 다양한 전공 지식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감각을 지니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세계적인 인재를 양성한다.#도전적 인재 양성 : 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이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창의력과 끈기를 가진 인재를 양성한다.
==전공소개==
[[전공안내서2020]]의 전공안내서2025의 내용을 발췌해 정리한 글임.
===학과 소개===
*‘정보시스템학과’라고 하면 흔히 컴퓨터만 배우는 전공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 학과는 ‘정보시스템학과’는 경영학과 컴퓨터과학의 접목으로 이루어진 학과입니다. 각 학문의 핵심 과목에서 얻은 지식을 기반으로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학과로, 설계, 운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 목적입니다조직에서 컴퓨터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연구합니다. 즉, 조직에서 컴퓨터가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활용해야하고 정보자원이 어떻게 하면 경영 성과를 높일 수 있는가에 관한 구체적인 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컴퓨터를 다루는 다른 학과들인 컴퓨터 공학, 전자공학과와 비교해서 보면 전자공학은 미시적, 컴퓨터 공학부는 거시적인 것과 미시적 영역의 중간이라면 정보시스템학과는 가장 거시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정보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학문을 만든 사람은 미국 클레어몬트 대학교 드러커 경영대학원의 석조교수 피터 드러커로 영국의 동인도회사르 성공사례를 연구한 그는 정보 자원을 활용해 인적자원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했기에 성장이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미 세상은정보가 부가가치의 핵심이 되는 시대이고 다가오는 미래는 고급 정보의 선별과 그 효과적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가 될 것입니다이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체계쩍으로 연구하기 위해 경영정보시스템(MIS)라는 학문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어느 특정 영역에만 치우치지 않고 문 ・ 이과적 특성을 고루 갖춘 정보시스템학과는 간학문적인 통섭의 시대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와 발전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과 정보===
#총학생수 : 248명
#성비 : 남녀 7:3
#전화번호 : 02-2220-2385
#학과설립연도 : 2009
*컴퓨터공학부와 차이가 뭐예요?
**두 학과 모두 컴퓨터를 배우지만 정보시스템학과는 경영학도 배운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차이는 본질적으로 컴퓨터를 어떻게 바라보는 가에 따른 시각의 차이에서 옵니다. 컴퓨터공학부에서 컴퓨터는 목적 그 자체라면 정보시스템학과에서 컴퓨터는 도구입니다. 조직에서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도구! 따라서 정보시스템이라는 도구를 어떻게 구축, 설계하고 운용할지에 대해 배웁니다.
=교수진=
*[[Arne Holger Kutzner]] 부교수
*[[박현석]] 조교수
*[[오현옥]] 교수
*[[이욱]] 교수
*[[안종창]] 부교수
*[[원영준]] 부교수
*[[강영호]] 겸임교수
*[[문창배]] 겸임교수
*[[이훈희]] 겸임교수
*[[최정운]] 겸임교수
*[[김은찬]] 조교수
[[분류:대학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