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공과대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학력) |
(→교내 기사)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김성훈]]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유기나노공학과]] 교수이자, [[유기나노가공 연구실]]장을 겸임하고 있다. | |
− | + | ==학력== | |
− | =학력= | ||
− | |||
− | |||
− | |||
− | + | *[[한양대학교]] [[섬유공학]] 학사 | |
− | * | + | *매사추세츠로엘대학교대학원 플라스틱공학 석사 |
+ | *매사추세츠로엘대학교대학원 고분자과학 박사 | ||
− | = | + | ==동정== |
− | |||
− | + |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로웰캠퍼스 박사 후 연구원 | |
− | + | *[[한양대학교]] [[섬유고분자공학과]] 교수 | |
− | * [ | +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
− | * [ | + | *[[한양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소장 |
− | * [ | + | *한국섬유공학회 기획이사 |
− | * | + | *한국섬유공학회 총무이사 |
− | * | + | *제17대 한국고분자학회 평의원 |
+ | *제27대 한국섬유공학회 평의원 | ||
+ | *한국섬유공학회 조직이사 | ||
− | = | + | ==수상== |
− | = | + | |
− | = | + | *2015, LG화학 학술상 수상 |
+ | |||
+ | ==연구관심분야== | ||
+ | |||
+ | *Polymer Processing and Materials, High Performance Composites, Conducting Polymer | ||
+ | |||
+ | ==주요논문== | ||
+ | |||
+ | #Nano-bridge effect on thermal conductivity of hybrid polymer composites incorporating 1D and 2D nanocarbon fillers (202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35983682100456X) | ||
+ | # Reinforcement effect of cellulose nanowhisker on bio-based polyurethane, SH Park, KW Oh, SH Kim,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86, 82-83 (2013) | ||
+ | # 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lactid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SH Park, SG Lee, SH Kim, Composites Part A, 46, 11-18 (2013) | ||
+ | # Self-assemblysupramolecules to enhanc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olyaniline for a flexibleorganic solar cells anode, TH Lim, KW Oh, SH Kim, Solar Energy Materials & Solar Cells, 101, 232-240 (2012) | ||
+ | # Unique Nucle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Poly(ethylene 2,6-naphthalate) Nanocomposites, JY Kim, HS Park, SH Kim, Polymer, 47, 1379-1389 (2006) | ||
+ | #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Nucleation Activity of Silica Nanoparticle-filled Poly(ethylene 2, 6-naphthalate) Blends, SH Kim, SH Ahn, T Hirai, Polymer, 44, 5625-5634 (2003) | ||
+ | |||
+ | ==주요 연구== | ||
+ | |||
+ | #나노복합재료 열 전도도 새로운 이론식 제시 (2021) | ||
+ | #*공동연구팀은 나노 하이브리드 필러 시스템이 적용된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를 나노 구조에 기반하여 예측할 수 있는 이론식을 개발 | ||
+ |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가 동시에 충진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 미세 단층촬영 (Micro-CT)을 이용해 하이브리드 필러들이 3차원적으로 연결된 나노 브리지(bridge)의 존재 관찰 | ||
+ | #*KJL(Kim-Jang-Lee) 모델 제안, 실제 열 제어를 위한 재료의 열전도도 계산, 최적의 방열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재료의 조성 예측 | ||
+ | #*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게재 (논문명: 'Nano-bridge effect on thermal conductivity of hybrid polymer composites incorporating 1D and 2D nanocarbon fillers') | ||
+ | #복합재료의 열전도 향상(2022)<ref><뉴스H> 2022.03.17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5386 김성훈 교수 공동연구팀, 복합재료의 열전도 향상 방안 발표]</ref> | ||
+ | #*고함량의 그래핀을 복합화함으로써 열 저항을 감소시켜 복합재료의 열전도를 높일 수 있음을 규명해냄 | ||
+ | #*조사된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는 퍼콜레이션 이전과 이후에 대해 각각 난스 모델(Nan’s model)과 퍼콜레션 모델(Percolation model)을 적용하여 해석 | ||
+ | #*SCI급 국제 저널 『Composites Communications』(IF : 6.617)에 게재 (논문명: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graphene nanoplatelet filled polymer composite based on thermal percolation behavior') | ||
+ | |||
+ | ==교내 기사== | ||
+ | |||
+ | *<뉴스H> 2021.07.16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3542 김성훈 교수 공동연구팀, 나노복합재료 열 전도도 새로운 이론식 제시] | ||
[[분류: 교수]] | [[분류: 교수]] | ||
+ | [[분류:동명이인]] | ||
+ | [[분류:유기나노공학과]] | ||
+ | <references /> | ||
+ | |||
+ | * <뉴스H> 2023.05.02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9788 서울 상공 ‘에어택시’ 등장 앞당길 신소재 개발] |
2023년 7월 2일 (일) 22:00 기준 최신판
김성훈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유기나노공학과 교수이자, 유기나노가공 연구실장을 겸임하고 있다.
학력
동정
-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로웰캠퍼스 박사 후 연구원
- 한양대학교 섬유고분자공학과 교수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 한양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소장
- 한국섬유공학회 기획이사
- 한국섬유공학회 총무이사
- 제17대 한국고분자학회 평의원
- 제27대 한국섬유공학회 평의원
- 한국섬유공학회 조직이사
수상
- 2015, LG화학 학술상 수상
연구관심분야
- Polymer Processing and Materials, High Performance Composites, Conducting Polymer
주요논문
- Nano-bridge effect on thermal conductivity of hybrid polymer composites incorporating 1D and 2D nanocarbon fillers (202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35983682100456X)
- Reinforcement effect of cellulose nanowhisker on bio-based polyurethane, SH Park, KW Oh, SH Kim,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86, 82-83 (2013)
- 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lactid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SH Park, SG Lee, SH Kim, Composites Part A, 46, 11-18 (2013)
- Self-assemblysupramolecules to enhanc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olyaniline for a flexibleorganic solar cells anode, TH Lim, KW Oh, SH Kim, Solar Energy Materials & Solar Cells, 101, 232-240 (2012)
- Unique Nucle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Poly(ethylene 2,6-naphthalate) Nanocomposites, JY Kim, HS Park, SH Kim, Polymer, 47, 1379-1389 (2006)
-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Nucleation Activity of Silica Nanoparticle-filled Poly(ethylene 2, 6-naphthalate) Blends, SH Kim, SH Ahn, T Hirai, Polymer, 44, 5625-5634 (2003)
주요 연구
- 나노복합재료 열 전도도 새로운 이론식 제시 (2021)
- 공동연구팀은 나노 하이브리드 필러 시스템이 적용된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를 나노 구조에 기반하여 예측할 수 있는 이론식을 개발
-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가 동시에 충진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 미세 단층촬영 (Micro-CT)을 이용해 하이브리드 필러들이 3차원적으로 연결된 나노 브리지(bridge)의 존재 관찰
- KJL(Kim-Jang-Lee) 모델 제안, 실제 열 제어를 위한 재료의 열전도도 계산, 최적의 방열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재료의 조성 예측
- 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게재 (논문명: 'Nano-bridge effect on thermal conductivity of hybrid polymer composites incorporating 1D and 2D nanocarbon fillers')
- 복합재료의 열전도 향상(2022)[1]
- 고함량의 그래핀을 복합화함으로써 열 저항을 감소시켜 복합재료의 열전도를 높일 수 있음을 규명해냄
- 조사된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는 퍼콜레이션 이전과 이후에 대해 각각 난스 모델(Nan’s model)과 퍼콜레션 모델(Percolation model)을 적용하여 해석
- SCI급 국제 저널 『Composites Communications』(IF : 6.617)에 게재 (논문명: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graphene nanoplatelet filled polymer composite based on thermal percolation behavior')
교내 기사
- <뉴스H> 2021.07.16 김성훈 교수 공동연구팀, 나노복합재료 열 전도도 새로운 이론식 제시
- ↑ <뉴스H> 2022.03.17 김성훈 교수 공동연구팀, 복합재료의 열전도 향상 방안 발표
- <뉴스H> 2023.05.02 서울 상공 ‘에어택시’ 등장 앞당길 신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