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3,193 바이트 추가됨 ,  3년 전
편집 요약 없음
한양대 교수들의 주요 연구성과를 말함.
연도별로 구분하여 * 연구비 총액 : '''2560억원''' (2015년 기준) * 연구 성과*# '''992.10편 | 국내 5위'''*#* 2014년 SCI/SCOPUS 게재 논문 수 (환산 편 수 기준 / 2015년 대학알리미 자료)*# '''30억원'''*#* 기술이전 실적(2014년 기준)*# '''878 | 183건'''*#* 국내특허출원 l 해외특허 출원 (2014년 기준) ==미래를 선도하는 한양의 8대 대표 연구성과<ref>https://www.hanyang.ac.kr/web/www/research-capacity</ref>==# '''GREEN ENERGY''' / CO₂포집용 열전환 고분자 분리막 에너지공학과 이영무 교수#* 국내 최초로 열전환 고분자(TR polymers) 기체 분리막을 개발, 2007년 사이언스 지를 통해 발표했으며, 2009년에는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사 기술 이전에 성공하였습니다.# '''BIO TECHNOLOGY''' /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 간 개발 의학과 최동호 교수#* 간세포 분화 및 인공 간 적용에서 가장취약했던 3차원 배양기술을 손쉽게 시행할수 있는 기술로, 배아줄기 세포와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간세포를 생성, 3D 바이오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인공간 조직을 생성하였습니다.# '''ENERGY HARVERSTER''' /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도로 전기공학과 성태현 교수#* 약 100억원 규모의 국가 프로젝트로 개발중인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PEH) Road는 도로교통 미활용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수확하여 도로교통건설 분야의 에너지 혁신을 이루고 있습니다.# '''FUSION TECHNOLOGY''' / 융합응급구조시스템 의학과 임태호 교수#* 재난상황에서 피해자의 조기 구조와 최고의 현장 구급처치, 적정 병원과 시설로의 빠른 이송을 가능케 하는 지능형 인명구조 시스템으로, 사회 안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AUTOMOBILE''' / 자율주행자동차 미래자동차공학과 선우명호 교수#* 자율주행자동차 ‘A1’은 국내 최초 ‘자율주행자동차 경진대회’에서 2010년부터 4년 연속 우승을 거두었으며, 2015년 IEEE Xplore에 ‘세계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연구성과’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DISPLAY''' / Head-Mounted Display 융합전자공학부 권오경 교수#* 전자시스템집적연구실은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위한 차세대 미래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인 마이크로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EXTREME TECHNOLOGY''' / 달 콘크리트 개발 건설환경공학과 이태식 교수#* 국제우주탐사연구센터는 달 기지 건설을 위한 달 흙의 물리적 입도 분포를 맞추어 복제 토를 개발·생산하는데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성공하였고, 달 콘크리트를 개발하였습니다.# '''ROBOT''' / Wearable Robot 로봇공학과 한창수 교수#* 첨단 로봇연구실에서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인 'HEXAR(Hanyang University's Exoskelection Assistive Robot)'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건설, 산업, 재활, 의료, 군사, 재난환경 등 6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연도별 정리==
* [[연구성과/2020]]
* [[연구성과/2019]]
* [[연구성과/2013]]
* [[연구성과/2012]]
 
==각주==

편집

1,14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