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의 마련==
*독창성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체가 요구하는 특정 전문분야의 체계화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혁신시킬 수 있는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 특성화전공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대학 중장기혁신전략인 산학협력의 질적 향상, 수요자지향 교육과정 구축목표 달성과 함께 지역전략발전에 따른 산업수요와 연계하여 운영됐다. 지역산업발전전략 및 산업체의 요구와 대학의 우수역량 분야를 연계하여 첨단전자정보기기, NT·BT융합, 건축/디자인분야, 융합기능소재 등 4개의 특성화 분야가 선정됐고 각 분야별로 목적 지향적 전문 인력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10개의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해 진행했다.
*특성화교육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사례에는 ‘신소재기반 전자소자 융합 특성화교육 프로그램(CEDNM)’을 들 수 있다.CEDNM은 국내 굴지의 전자 및 전자소재 업체가 요구하는 재료공학과전자공학이 융합된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것으로, 차세대 소재·전자 융합부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국내유일의 학부와 대학원을 연계한 재료·전자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우수한 교수진에 의한 수업과 첨단기자재를 활용한 실습, 캡스톤디자인 교과와 현장실습을 연계하여 기술혁신형 인력양성을 추진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특성화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결과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6%가 관련분야의 취업 및 대학원 진학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으며, 프로그램 참여 학생 154명 중 84명(70.6%)이 취업, 35명(29.4%)이 관련분야로 진학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나노메디슨재료소자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화학공학과 학생 6명은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적인 생화학지식을 습득했다. 이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등 다양한 바이오분야로 취업해본 특성화 프로그램에 특화된 인력양성 효과를 증명해 보였다. 또한 디자인융합공학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자시스템공학과 학생은 UI/UX 경험을 활용하여 본인이 희망하던 디자인 회사 ‘이노이즈’로 취업했다. 플랜트엔지니어링융합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은 당시 토목·건설분야의 경기가 침체되어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플랜트관련 산업분야로 취업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한편 전자재료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154명(학사 146명, 대학원 8명)의 진로를 분석한 결과 전자시스템공학은 84명, 재료공학은 35명이 취업하여 평균 77.3%의 취업률을 달성했다. 이중 전자시스템공학 졸업생 92%, 재료공학 졸업생 95%가 LG전자, LG실트론, 루멘스 등 관련분야로 취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밖에 교육에 참여한 학생 중 전자시스템공학 졸업생 17%, 재료공학 졸업생 61%가 대학원으로 진학하며 기술혁신형 인력양성에 기여했다.
*학부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보다 심화된 과정으로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특성화 전공프로그램은’ 독창성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개선 프로그램으로 학부생들에게 최신 전문지식을 전수하여 고부가가치 첨단산업분야에 종사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만들어 졌다. 이는 학부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넘어 보다 세분화되고, 심화된 과정을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으로, 학부와 대학원, 기업까지
연계돼 있어 높은 성취도와 취업률 제고에 역할을 했다.
*또한 특성화 분야의 성과확산 및 지속, 특성화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공 관련 문제해결 능력 및 현 장감 보유를 입증하기 위해 TIGER(Track for Ingenuity Growth Educational Reformation) 인증제도가 도입됐다. 특성화교육 프로그램 이수인증서는 특성화분야 전공지식을 습득하고, 캡스톤디자인 과제 수행 및 관련업체에서의 현장실습을 진행한 학부생에게 발급되는 인증서다. 이 인증서는 특성화분야의 해당 산업군에 체계화된 교육이수 증빙으로 제출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인정받고 동시에 취업률의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TIGER 인증을 부여하여, 학생들이 관련 산업군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기업과의 협력 강화==
==LINC사업의 확대(2단계~)==

편집

794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