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번째 줄: | 2번째 줄: | ||
[[분류: 교수]] | [[분류: 교수]] | ||
[[분류:이달의 과학기술인상]] | [[분류:이달의 과학기술인상]] | ||
− | = 수상 = | + | == 주요학력 == |
+ | * 1986.3 ~ 1989.2 KAIST 물리학 박사 | ||
+ | * 1984.3 ~ 1986.2 KAIST 물리학 석사 | ||
+ | * 1980.3 ~ 1984.2 연세대학교 물리학 학사 | ||
+ | |||
+ | == 주요경력== | ||
+ | * 2004.9 ~ 현재 한양대학교(교수) | ||
+ | * 1997.9 ~ 2004.8 한양대학교(부교수) | ||
+ | * 1989.3 ~ 1997.8 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 ||
+ | |||
+ | == 수상 == | ||
* '''<big>9월 과학기술인상 선정(2019.9)</big>''' <ref>출처: <뉴스H> 2019.09.05 송석호 교수, 9월 과학기술인상 선정</ref> | * '''<big>9월 과학기술인상 선정(2019.9)</big>''' <ref>출처: <뉴스H> 2019.09.05 송석호 교수, 9월 과학기술인상 선정</ref> | ||
*# 송 교수는 '열린-양자역학계에서의 비대칭적 에너지 흐름'을 독창적으로 연구해 기존 나노광학이 해결하지 못한 에너지 손실 문제와 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신개념 광소자를 개발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다. 관련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018년 10월 게재됐다. | *# 송 교수는 '열린-양자역학계에서의 비대칭적 에너지 흐름'을 독창적으로 연구해 기존 나노광학이 해결하지 못한 에너지 손실 문제와 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신개념 광소자를 개발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다. 관련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018년 10월 게재됐다. |
2020년 6월 4일 (목) 08:45 판
서울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교수이다
주요학력
- 1986.3 ~ 1989.2 KAIST 물리학 박사
- 1984.3 ~ 1986.2 KAIST 물리학 석사
- 1980.3 ~ 1984.2 연세대학교 물리학 학사
주요경력
- 2004.9 ~ 현재 한양대학교(교수)
- 1997.9 ~ 2004.8 한양대학교(부교수)
- 1989.3 ~ 1997.8 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수상
- 9월 과학기술인상 선정(2019.9) [1]
- 송 교수는 '열린-양자역학계에서의 비대칭적 에너지 흐름'을 독창적으로 연구해 기존 나노광학이 해결하지 못한 에너지 손실 문제와 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신개념 광소자를 개발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다. 관련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018년 10월 게재됐다.
- '나노코리아 2019' 국무총리상(2019.7) [2]
- 광신호전달과정의 공간·시간적 대칭성을 극복한 나노광소자 설계 및 구현 기술을 개발해 연구혁신 분야 최고상인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 송 교수팀은 나노광소자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거두고 있다. 모든 광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이 가능한 광다이오드 소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나노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차세대 광컴퓨터 및 신경회로망 구성에 핵심이 되는 나노광소자 구현 기술을 실용화 단계까지 발전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