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3,106 바이트 추가됨 ,  6년 전
편집 요약 없음
== 1950년대 ==
* [[1941년1950년]] 민족의 비극인 6∙25사변으로 학교시설이 많이 파괴되고 교수와 학생이 이산되었다.* [[1950년]] [[6월]] 부산시 완월동 2가 51번지에서 천막 및 가교사를 마련하여 수업을 계속하였다.* [[1951년]] [[12월]] 광산과를 신설하였다.* [[1952년]] [[3월]] 토목공학과 32명, 건축공학과 26명, 기계공학과 54명, 전기공학과 44명 등 모두 156명의 한양공과대학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53년]] [[3월]]대학원 설립인가를 받고 전기공학과(정원 3명), 기계공학과(정원 3명), 화학공학과(정원 3명) 등 3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1953년]] [[8월]]서울 수복 후 신당동 근처에서 임시교사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1953년]] [[9월]]성동구 행당동 산 8의 2번지에 교지를 마련하여 이전하고 교사 신축을 시작하였다. {{현재 한양대 위치}}* [[1953년]] [[10월]] 대학원에 토목공학과(정원 3명), 건축공학과(정원 3명)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1954년]] [[4월]]목조 2층 형태의 본관을 비롯한 목조교사가 완공되었다. * [[1955년]] [[2월]]수학과와 물리학과가 신설됐다.* [[1956년]] [[3월]]각 학과의 교직교육이 실시되었다.* [[1956년]] [[6월]]야간부가 인가되어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화학공학과, 광산공학과 등 6개 학과 정원 960명의 이부대학이 설치되었다.* [[1956년]] [[8월]] 석조 3층 형태의 본관이 준공되었다.* [[1956년]] [[11월]] 제1공학관(현 한양프라자) 준공* [[1957년]] [[7월]] 제1교육관(현 사회과학관) 준공* [[1958년]] [[11월]] 제2공학관(현 제1의학관) 준공 * [[1957년]] [[11월]] 대학원에 광산공학과가 설치되고, [[1958년]] [[2월]] 원자력공학과, 섬유화학과, 공업경영학과가 신설되었다.* [[1958년]] [[3월]] 이부대학에 원자력공학과와 공업경영학과가 신설되었다.* [[1959년]] [[2월]] 종합대학으로의 승격이 인가되어 한양대학교로 거듭나게 되었다. 한양대학교의 출범과 함께 초대 총장에 김연준 박사가 취임하였으며 9개 학과(전기, 기계, 토목, 건축, 화학, 광산, 원자력, 섬유, 공업경영)로 구성된 공과대학, 6개 학과(국문, 영문,사학, 수학, 물리, 화학)로 구성된 문리과대학, 4개 학과(법률, 정치, 경제, 상학)로 구성된 정경대학 등 3개 단과대학 19개 학과와 이부대학 8개 학과 등 정원 2,880명의 종합대학 위용을 갖추게 되었다.* [[1959년]] [[3월]] 제3공학관(현 제2의학관) 준공* [[1959년]] [[5월]] 중앙도서관(현 의과대학 본관)이 준공되었다. * [[1959년]] [[5월]] 교내 대학신문인 한양대학보를 창간하였다. * [[1959년]] [[7월]] 개교 2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 [[1959년]] [[7월]] 대학원에 박사과정이 설치되었다. * [[1959년]] [[9월]] 1959년 9월에는 대강당(현 백남학술정보관 위치, 1997년 철거) 준공되었다.

편집

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