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2013-2018/발전전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번째 줄: 2번째 줄:
 
[[분류:백서2013-2018]]
 
[[분류:백서2013-2018]]
  
== New Hanyang 2020:발전전략과구성 ==
+
==New Hanyang 2020:발전전략과구성==
 
우리 대학의 역량을 2배 더 강화하겠다는 New Hanyang 2020 계획의 목표는 ‘Power up HY’다. 이는 한양의 브랜드력, 인적역량, 자산역량을 오는 2020년까지 2배로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브랜드력 부분에서 졸업생 평판도 3위, 고교 상위 1% 학생 점유율 10% 대학으로 거듭나고 인적역량 부분에서 교수당 논문 피인용 횟수를 40회로 경영역량을 지역 수준에서 국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또 자산역량부분은 2020년까지 교비와 순수 전략투자비를 각각 1조 1,000억 원과 1천 7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우리 대학의 역량을 2배 더 강화하겠다는 New Hanyang 2020 계획의 목표는 ‘Power up HY’다. 이는 한양의 브랜드력, 인적역량, 자산역량을 오는 2020년까지 2배로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브랜드력 부분에서 졸업생 평판도 3위, 고교 상위 1% 학생 점유율 10% 대학으로 거듭나고 인적역량 부분에서 교수당 논문 피인용 횟수를 40회로 경영역량을 지역 수준에서 국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또 자산역량부분은 2020년까지 교비와 순수 전략투자비를 각각 1조 1,000억 원과 1천 7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림 2-1-1] New Hanyang 체계도
+
<br />
 +
[[파일:백서2013-2018 그림 2-1-1.png|없음|섬네일|500x500픽셀|[그림 2-1-1] New Hanyang 체계도]]
 +
 
  
 
목적 달성의 방법으로는 학문 전략과 경 전략을 강화하는 ‘사자의 법칙(LION RULE)’을 제시됐다. 먼저 학문분야 발전을 위한 전략 명칭은 우리 대학의 상징이기도 한 ‘LION’이다. 교육 경쟁력 강화(Leading Academic Excellence), 학사 시스템 혁신(Innovating Educational System), 연구 수월성 제고(Outreaching Research Competitiveness), 국제화 수준 향상 (Navigating Global Paradigms)의 앞글자를 조합해 만들었다. 학문분야 발전을 위해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과 학사관리 강화, 우수 교원 확보로 내실 있는 교육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 다. 한편 국제 교류 프로그램 확대 등 세계 명문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국제화 인프라 확충도 조성 중이다.
 
목적 달성의 방법으로는 학문 전략과 경 전략을 강화하는 ‘사자의 법칙(LION RULE)’을 제시됐다. 먼저 학문분야 발전을 위한 전략 명칭은 우리 대학의 상징이기도 한 ‘LION’이다. 교육 경쟁력 강화(Leading Academic Excellence), 학사 시스템 혁신(Innovating Educational System), 연구 수월성 제고(Outreaching Research Competitiveness), 국제화 수준 향상 (Navigating Global Paradigms)의 앞글자를 조합해 만들었다. 학문분야 발전을 위해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과 학사관리 강화, 우수 교원 확보로 내실 있는 교육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 다. 한편 국제 교류 프로그램 확대 등 세계 명문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국제화 인프라 확충도 조성 중이다.
  
[그림 2-1-1] New Hanyang 2020 중장기 발전계획
+
<br />
 +
[[파일:백서2013-2018 그림 2-1-2.png|없음|섬네일|500x500픽셀|[그림 2-1-2] New Hanyang 2020 중장기 발전계획]]
 +
 
  
 
경영 전략인 ‘RULE’은 책임경영 강화(Reinforcing Responsible Management), 행정역량 강화(Upgrading Administrative Service), 성과주의 강화(Linking Performance with Excellence), 핵심자산 구축(Enriching Key Resources)을 뜻한다. New Hanyang 2020 계획의 핵심이기도 한 책임 부총장제는 자율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경영확립을 목표로 한다. 각 단과대 행정조 직도 교학과에서 RC(Responsibility Center) 행정팀으로 바꿨으며 학부를 중심으로 행정 기능 을 통합하고 단과대의 자율성을 강화했다. 또 전략적 성과 관리체계(BSC) 제도를 도입해 단과대 단위로 성과를 관리하고 다양한 교수진 역량 강화 방안을 도입했다.
 
경영 전략인 ‘RULE’은 책임경영 강화(Reinforcing Responsible Management), 행정역량 강화(Upgrading Administrative Service), 성과주의 강화(Linking Performance with Excellence), 핵심자산 구축(Enriching Key Resources)을 뜻한다. New Hanyang 2020 계획의 핵심이기도 한 책임 부총장제는 자율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경영확립을 목표로 한다. 각 단과대 행정조 직도 교학과에서 RC(Responsibility Center) 행정팀으로 바꿨으며 학부를 중심으로 행정 기능 을 통합하고 단과대의 자율성을 강화했다. 또 전략적 성과 관리체계(BSC) 제도를 도입해 단과대 단위로 성과를 관리하고 다양한 교수진 역량 강화 방안을 도입했다.
  
== 2019 HYU 중기발전계획==
+
==2019 HYU 중기발전계획==
  
 
2019 HYU 중기발전계획은 장기발전계획인 New Hanyang 2020을 계승하면서 2019년까지 집중해야 할 발전목표다. 5개의 전략분야인 브랜드, 교육, 연구, 글로벌, 인프라에 포함된 19 개 전략목표와 275개 전략과제로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특성화 계획을 수립했다.
 
2019 HYU 중기발전계획은 장기발전계획인 New Hanyang 2020을 계승하면서 2019년까지 집중해야 할 발전목표다. 5개의 전략분야인 브랜드, 교육, 연구, 글로벌, 인프라에 포함된 19 개 전략목표와 275개 전략과제로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특성화 계획을 수립했다.
 +
[[파일:백서2013-2018 그림 2-1-3.png|없음|섬네일|500x500픽셀|[그림 2-1-3] 2019 HYU 중기발전계획 전략 프레임]]
  
[그림 2-1-3] 2019 HYU 중기발전계획 전략 프레임
 
  
 
한편 효과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5대 전략분야별 5대 창의와 나눔 KPI를 구축했다. 5대 창의 KPI은 전략분야별로 창조적 혁신을 도출하도록 설정했고, 5대 나눔 KPI은 전략분야별로 나눔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구성원 간 목표 공유체제를 확립하고 있다.
 
한편 효과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5대 전략분야별 5대 창의와 나눔 KPI를 구축했다. 5대 창의 KPI은 전략분야별로 창조적 혁신을 도출하도록 설정했고, 5대 나눔 KPI은 전략분야별로 나눔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구성원 간 목표 공유체제를 확립하고 있다.
 +
[[파일:백서2013-2018 그림 2-1-4.png|없음|섬네일|500x500픽셀|[그림 2-1-4] KPI의 전략 방향]]
 +
<br />
  
[그림 2-1-4] KPI의 전략 방향
+
==3S Vision==
 
 
== 3S Vision ==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3S Vision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최고의 대학(The best for a better world)’ 슬로건 아래 3대 비전 및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양미래위원회를 통해 한양의 미래 혁신방안을 도출했다. 3S Vision의 구체적인 인재상은 Smart(교양인, 전문인), Startup(실용인, 세계인), Social Innovation(봉사인)으로 구별할 수 있다.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3S Vision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최고의 대학(The best for a better world)’ 슬로건 아래 3대 비전 및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양미래위원회를 통해 한양의 미래 혁신방안을 도출했다. 3S Vision의 구체적인 인재상은 Smart(교양인, 전문인), Startup(실용인, 세계인), Social Innovation(봉사인)으로 구별할 수 있다.  
 
+
[[파일:백서2013-2018 그림 2-1-5.png|없음|섬네일|723x723픽셀|[그림 2-1-5] 3S Vision 인재상]]
 
 
[그림 2-1-5] 3S Vision 인재상
 

2020년 6월 8일 (월) 18:41 기준 최신판

백서2013-2018 내용 중 '발전전략' 내용입니다.

New Hanyang 2020:발전전략과구성

우리 대학의 역량을 2배 더 강화하겠다는 New Hanyang 2020 계획의 목표는 ‘Power up HY’다. 이는 한양의 브랜드력, 인적역량, 자산역량을 오는 2020년까지 2배로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브랜드력 부분에서 졸업생 평판도 3위, 고교 상위 1% 학생 점유율 10% 대학으로 거듭나고 인적역량 부분에서 교수당 논문 피인용 횟수를 40회로 경영역량을 지역 수준에서 국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또 자산역량부분은 2020년까지 교비와 순수 전략투자비를 각각 1조 1,000억 원과 1천 7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림 2-1-1] New Hanyang 체계도


목적 달성의 방법으로는 학문 전략과 경 전략을 강화하는 ‘사자의 법칙(LION RULE)’을 제시됐다. 먼저 학문분야 발전을 위한 전략 명칭은 우리 대학의 상징이기도 한 ‘LION’이다. 교육 경쟁력 강화(Leading Academic Excellence), 학사 시스템 혁신(Innovating Educational System), 연구 수월성 제고(Outreaching Research Competitiveness), 국제화 수준 향상 (Navigating Global Paradigms)의 앞글자를 조합해 만들었다. 학문분야 발전을 위해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과 학사관리 강화, 우수 교원 확보로 내실 있는 교육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 다. 한편 국제 교류 프로그램 확대 등 세계 명문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국제화 인프라 확충도 조성 중이다.


[그림 2-1-2] New Hanyang 2020 중장기 발전계획


경영 전략인 ‘RULE’은 책임경영 강화(Reinforcing Responsible Management), 행정역량 강화(Upgrading Administrative Service), 성과주의 강화(Linking Performance with Excellence), 핵심자산 구축(Enriching Key Resources)을 뜻한다. New Hanyang 2020 계획의 핵심이기도 한 책임 부총장제는 자율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경영확립을 목표로 한다. 각 단과대 행정조 직도 교학과에서 RC(Responsibility Center) 행정팀으로 바꿨으며 학부를 중심으로 행정 기능 을 통합하고 단과대의 자율성을 강화했다. 또 전략적 성과 관리체계(BSC) 제도를 도입해 단과대 단위로 성과를 관리하고 다양한 교수진 역량 강화 방안을 도입했다.

2019 HYU 중기발전계획

2019 HYU 중기발전계획은 장기발전계획인 New Hanyang 2020을 계승하면서 2019년까지 집중해야 할 발전목표다. 5개의 전략분야인 브랜드, 교육, 연구, 글로벌, 인프라에 포함된 19 개 전략목표와 275개 전략과제로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특성화 계획을 수립했다.

[그림 2-1-3] 2019 HYU 중기발전계획 전략 프레임


한편 효과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5대 전략분야별 5대 창의와 나눔 KPI를 구축했다. 5대 창의 KPI은 전략분야별로 창조적 혁신을 도출하도록 설정했고, 5대 나눔 KPI은 전략분야별로 나눔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구성원 간 목표 공유체제를 확립하고 있다.

[그림 2-1-4] KPI의 전략 방향


3S Vision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3S Vision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최고의 대학(The best for a better world)’ 슬로건 아래 3대 비전 및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양미래위원회를 통해 한양의 미래 혁신방안을 도출했다. 3S Vision의 구체적인 인재상은 Smart(교양인, 전문인), Startup(실용인, 세계인), Social Innovation(봉사인)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림 2-1-5] 3S Vision 인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