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5번째 줄: 5번째 줄:
 
* 2017.07 [[이달의연구자]] 선정
 
* 2017.07 [[이달의연구자]] 선정
 
= 주요연구 =
 
= 주요연구 =
=== 태양전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ref><뉴스H> 2017.07.31 [http://www.hanyang.ac.kr/surl/u9VM [이달의 연구자<nowiki>]</nowiki> 김은규 교수(물리학과)]</ref>===
+
===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공동개발<ref><뉴스H> 2017.06.30 [http://www.hanyang.ac.kr/surl/jtPM 김은규 교수,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공동개발]</ref><ref><뉴스H> 2017.07.31 [http://www.hanyang.ac.kr/surl/u9VM [이달의 연구자<nowiki>]</nowiki> 김은규 교수(물리학과)]</ref>===
* 김은규 교수가 이번에 연구한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독특한 결정구조를 갖는다.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러시아 과학자 페로브스키를 기념하여 명명한 구조체다.
+
* 김 교수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석상일 교수, 한국화학연구원 노준홍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고 효율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효율이 높고 제조비용이 저렴해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양이온·음이온·할로겐화물로 이뤄진 물질이며 이것을 태양전지에 적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다.
* 김 교수는 양자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인정받아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기존 연구진은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통해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데 주력했다. 김 교수가 수행한 연구를 통해, 이번에 제어한 결함상태가 태양전지 효율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이번 연구의 핵심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을 낮추는 할로겐화물 제어를 통해 기존 20.0%의 효율을 22.1%로 향상시킨 것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절반 이하 비용으로도 기존 고가의 태양전지들과 같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만들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 이번 연구결과(논문명 : Iodide management in formamidinium-lead-halide–based perovskite layers for efficient solar cells)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사이언스(Science), IF=37.205) 6월호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 프런티어사업(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연구단)과 기후변화대응사업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 수상 =
 
= 수상 =
 
*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서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수상(2019.04) <ref><뉴스H> 2019.04.24 [http://www.hanyang.ac.kr/surl/u9VM 김은규 한양대 교수,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받아]</ref>
 
*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서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수상(2019.04) <ref><뉴스H> 2019.04.24 [http://www.hanyang.ac.kr/surl/u9VM 김은규 한양대 교수,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받아]</ref>

2020년 9월 9일 (수) 11:48 판

서울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교수이다.

교내동정

주요연구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공동개발[1][2]

  • 김 교수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석상일 교수, 한국화학연구원 노준홍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고 효율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효율이 높고 제조비용이 저렴해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양이온·음이온·할로겐화물로 이뤄진 물질이며 이것을 태양전지에 적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다.
  • 이번 연구의 핵심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을 낮추는 할로겐화물 제어를 통해 기존 20.0%의 효율을 22.1%로 향상시킨 것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절반 이하 비용으로도 기존 고가의 태양전지들과 같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만들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이번 연구결과(논문명 : Iodide management in formamidinium-lead-halide–based perovskite layers for efficient solar cells)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사이언스(Science), IF=37.205) 6월호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 프런티어사업(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연구단)과 기후변화대응사업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수상

  •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서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수상(2019.04) [3]
    1. 김 교수는 세계 최고 수준 고효율 태양전지, 반도체 나노구조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해 국내 반도체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2018 '제28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수상

동정

  • 2017-2019 제14대 한국진공학회장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