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호

한양 위키
Soomin0918cc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3월 25일 (목) 14:46 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ERICA 공학대학 재료화학공학과 교수이다.

약력

  • 2019.09 ~ present. Full Professor
    • Materials Science &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ERICA), Korea
  • 2015.09 ~ 2019.08. Associate Professor
    • Materials Science &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ERICA), Korea
  • 2011.09 ~ 2015.08. Assistant Professor
    •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ERICA), Korea
  • 2007.12 ~ 2011.08. Postdoctoral Associate
    • Chemical Engineerin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USA
  • 2003.03 ~ 2007.02. Ph. D.
    •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연구

연구관심분야

  • Carbon nanomaterials (nanotube, graphene) for diagnosis and therapy
  • Nano-spectroscopy for molecular imaging and sensing in vitro and in vivo
  • Functionalized nanomaterials for biomedical and energy applications
  • Surface chemistry of nanomaterials
  • Heterogeneous catalysts for organic synthesis and energy application
  • Solid-phase organic synthesis

주요 연구

  • 신속한 식중독균 검출기술 개발 [1]
    1. 2018년 7월 식중독균 3종(병원성대장균 O157,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을 현장에서 신속‧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2. 여름철에 빈번한 식중독은 대부분 식중독균에 의해 발생돼 음식점, 마트, 학교, 집단 급식소 등의 현장에서 식중독균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식중독균 표준검사법은 검출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다소 많이 걸리며(2~3일) 고가의 항체를 사용해 검출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김종호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단점들을 대폭 개선했다. 2차원 신소재인 ‘전이금속디칼코게나이드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s) 나노시트’에 다당류 고분자를 도입해 센서소재를 합성했다. 이를 통해 짧은 시간에(1시간 이내) 고가의 항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식중독균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됐다. 김 교수는 “새로운 검출 기술은 극미량(1 CFU/mL)의 식중독균까지 검출할 수 있어 식중독균 확산 방지 및 식중독 조기 예방이 가능하다”며 “기술이전을 통한 실용화로 식중독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3. 이번 연구는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로부터 지원받아 한양대 바이오나노학과 이상욱 교수팀과 함께 진행됐고, 연구결과(논문명 : 2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with Glucan Multivalency for Antibody-free Pathogen Recognition)는 국제저명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2018년 6월 29일 게재됐다.
  • 다기능성 나노 촉매PdO@WO₃(PdO on WO₃)와 해당 물질의 합성법 개발 (이달의연구자 2019.12[2])
    1. 논문명 : ‘Ultrathin WO3 Nanosheets Converted from Metallic WS2 Sheets by Spontaneous Formation and eposition of PdO Nanoclusters for Visible Light-Driven C-C Coupling Reactions'
    2. PdO@WO₃를 음극 전기화학 촉매로 사용만든 아연-공기 전지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폭발성은 없다. 해당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내연 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전기차 개발이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논문

  • “Detection of single molecule H2O2 signaling from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using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Nature Nanotechnology, 2010, 5, 302-309.
  • “The rational design of nitric oxide selectivity i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near- infrared fluorescence sensors for biological detection” Nature Chemistry, 2009, 1, 473-481.
  • “A luciferase/single-walled carbon nanotube conjugate for near infrared fluorescent detection of cellular ATP”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2010, 49, 1456-1459.
  • “Label-free, single protein detection on a near infrared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protein microarray fabricated by cell-free synthesis” Nano Letters, 2011, 11, 2743-2752.
  • “Single molecule detection of nitric oxide enabled by d(AT)15 DNA adsorbed to near infrared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1, 133, 567-581.
  • “Single molecule detection of H2O2 mediating angiogenic redox signaling on fluoresce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array” ACS Nano, 2011, 5, 7848-7857.
  • "2020_3_Molecular engineering of nanostructures and activities on bifunctional oxygen electrocatalysts for Zinc-air batteries"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교내언론

주석

  1. <뉴스H> 2018.07.04 김종호 교수, 신속한 식중독균 검출기술 개발
  2. <뉴스H> 2019.12.16 김종호 교수, 다기능성 나노 촉매 개발로 환경문제 해결의 길 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