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2013-2018/과학기술정책연구소

한양 위키
Imhanni96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4일 (금) 15:00 판 (새 문서: 한양대학교 백서2013-2018에서 부록 - 연구소의 현황과 활동 > '과학기술정책연구소' 내용을 담은 문서이다. 1. 개관 1) 설립목적 * 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양대학교 백서2013-2018에서 부록 - 연구소의 현황과 활동 > '과학기술정책연구소' 내용을 담은 문서이다.

1. 개관 1) 설립목적

  • 한양대 과학기술정책학과가 지향하는 과학기술 이슈에 대한 깊은 이해에 기반한 정책역량(S&T-Based Policy Capacity), 신기술과 신과학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력(Emerging Technology Understanding Ability), 공공갈등 등 공공문제에 대한 미래지향적 깊은 통찰(Futuristic Problem Solving and Analytical Capability)을 바탕으로 연구 및 교육역량 강화 도모
  • 학과의 연구활동과 양질의 교육과정이 연계되어 과학기술정책에 있어서 깊은 통찰력을 지닌 과학기술분야 정책분야 의사결정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행정학, 정책학, 커뮤니케이션, 사회학, 정치학, 철학, 경영학 등의 인문사회과학 및 기술인력 양성 경험과 기술기반이 확립된 공과대학 간 학제 간 융합학과로서 학제 간 연구 용이

2) 연혁

  • 대학원 과학기술정책학과는 2012년 9월에 신설되어 매학기별 평균 10명의 석박사과정생 입학으로 대학원 학과로서 내・외형적 모습을 갖추었으며, 새로 신설된 학과 부설연구소인 과학기술정책연구소를 통해 전임교수 및 석박사과정생 사이의 학문적 결속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기반 구축
  • 2015년 3월 1일, 학과 부설연구소로 설립 승인된 과학기술정책연구소는 기본적으로 정책실무 및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화(Customization)’, 정책환

경 및 과학기술변화의 수용을 위한 ‘개방화(Openness)’, 국내·외 정책공동체 및 산·학·연 기관 등과의 ‘협업화(Collaboration)’에 초점을 두고 독자적인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연구소 발전가능성

  1. 연구소 중장기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연구소 활동 계획
    • 정부 및 기업 연구기금 및 프로젝트 수주
    • 맞춤화, 개방화, 협업화에 초점을 둔 연구 인프라 구축
    • 국가 R&D 기획, 집행, 평가와 관련한 구체적 과학기술정책 방안 제시
    • 과학기술 일반정책, 과학기술 행정관리, 거대과학기술전문 정책, 신과학기술전문 정책 등의 분야 최고의 인재 양성 및 실무교육
    • 연구업적 발표를 통한 한양대학교 홍보 및 위상 강화
    • 사회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기술정책 관련 교육프로그램 모색 및 시행
  2. 연구소 특성화 및 전문화
    • 본 연구소는 연구소장의 전문분야로서 규제/기술규제분야에 특화되어 있음
    • 2018년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바이오규제센터로서의 역할을 요청함에 따라 바이오 분야의 과학기술 규제 연구를 수행 중임

조직 및 구성

소장

참여연구원 명단(과학기술정책학과 비전임교원 및 전일제 학생)

주요 연구과제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