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ERICA40년사/소프트웨어융합대학/소프트웨어학부(컴퓨터전공, 소프트웨어전공)

Pbsooyeon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12일 (수) 13:26 판 (→‎주요 특성화 활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ERICA40년사 중 소프트웨어융합대학-소프트웨어학부(컴퓨터전공,소프트웨어전공)에 대한 부분입니다.

소개

최근 전 세계적으로 경제, 사회 전 분야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新 성장동력은 소프트웨어산업이다. 특히 우리 생활에 이제 아주 친숙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부터, 운영체제(OS),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산업은 미래의 고부가가치를 책임질 핵심 동력으로 손꼽힌다. 숨 가쁘게 변하는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미래 기술을 선도해나갈 전문가의 필요성 역시 점점 커지고 있다. 본 학부에서는 전용 최첨단 강의실, 소프트웨어 개발 공간, 창업지원 공간 등 탁월한 인프라는 물론 최상 의 교육 과정을 갖추고, 국내 최고의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교육목적의 핵심은 한양대학교 건학정신인 “사랑의 실천”을 교육이념으로 하여 한양대학교 ERIICA캠퍼스의 발전 전략과 소프트웨어융합 대학의 교육목적에 부합하면서 컴퓨터공학 관련 분야에서 공동체 사회와 국가에 공헌할 수 있는 지도자적 인재 양성이다.


21세기 사회가 요구하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의 이론적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과감하게 탈 피하여 기본 수리능력 및 기초과학분야에 충실한 학습을 통해 전공 응용에 다양함과 실용성, 창의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복합학제적 업무수행능력과 함께 사회적 윤리와 책임의식을 겸비하고 사회적 인재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컴퓨터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2년 동안의 취업률은 70% 정도로 대기업, 중소기업, 공기업, 대학원 등으로 취업을 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대기업으로는 삼성전자, LG전자, 네이버, 다음카카오, 삼성SDS, LG필립스LCD, 현대자동차, LG이노텍, 삼성전기, LG CNS, KTF 등이 있고, 중소기업으로는 넥슨, 엔씨소프트, 이스트소프트, 사이텍소 프트, 다음커뮤니케이션, 팬택앤큐리텔 등, 공기업으로는 지하철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 도로공사 등으로 취업하고 있다.

소프트웨어학부 연혁

  • 1984.11
    • 이공대학 전자계산학과 신설
  • 1987.09
    • 공학대학 전자계산학과로 소속 변경
  • 1996.03
    •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전자계산학과를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로 통합
  • 1999.03
    •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를 전자컴퓨터공학부로 명칭 변경
  • 2001.03
    • 전자컴퓨터공학부를 컴퓨터공학전공과 전자전기전공으로 분리
    • 전자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으로 개편
  • 2004
    • 정보통신부 ‘IT 교과과정 개편사업’을 통하여 실무위주의 교과과정으로 개편
  • 2006
    • 정보통신부 ‘NEXT 사업’ 선정
    • 2단계 BK21 과학기술분야(2개의 핵심과제) 선정
  • 2008-2009
    • HYU 교육특성화 사업 선정
  • 2010
    • 전자·컴퓨터공학부에서 컴퓨터공학과로 분리
  • 2012
    • 미래창조과학부 SW특성화대학 선정
  • 2013
    • 산업계 관점 대학 평가, 컴퓨터 SW 분야 최우수
  • 2017.03
    • 공학대학 컴퓨터공학과에서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전공,
    • 소프트웨어전공으로 개편·확대 신설
  • 2018.0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정 소프트웨어중심대학 4+2년(총 96.4억)
  • 2018.03
    • 교육부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 선정 4년(총 40억)

학부 재직 교수진(2019년 4월 기준)

  • 이정규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0.03.01~현재
    • 전공분야:컴퓨터네트워크, 정보통신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 문영식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2.03.01~현재
    • 전공분야:컴퓨터비전, 멀티미디어 응용, 패턴인식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 오희국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4.03.01~현재
    • 전공분야:정보보호
    • 최종출신학교:Iowa State University
  • 마상백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4.03.01~현재
    • 전공분야:금융공학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 박성주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5.03.01~현재
    • 전공분야:반도체설계,임베디드시스템설계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
  • 도경구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5.09.01~현재
    • 전공분야:프로그래밍언어
    • 최종출신학교:Kansas State University
  • 김정선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6.03.01~현재
    • 전공분야:미들웨어, 객체지향시스템,분산객체컴퓨팅
    • 최종출신학교:Iowa State University
  • 김태형
    • 직급: 교수
    • 재직기간:1999.03.01~현재
    • 전공분야:소프트웨어 구조,소셜컴퓨팅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 이동호
    • 직급: 교수
    • 재직기간:2004.03.01~현재
    • 전공분야: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임베디드시스템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강경태
    • 직급: 교수
    • 재직기간:2011.03.01~현재
    • 전공분야:컴퓨터시스템, 운영체제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조성현
    • 직급: 교수
    • 재직기간:2012.09.01~현재
    • 전공분야:이동통신, 바이오통신, IoT
    • 최종출신학교:한양대학교
  • Scott Uk-Jin Lee
    • 직급: 부교수
    • 재직기간:2011.09.01~현재
    • 전공분야:소프트웨어 공학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Auckland
  • 이석복
    • 직급: 조교수
    • 재직기간:2012.09.01~현재
    • 전공분야:컴퓨터네트워크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 김영훈
    • 직급: 조교수
    • 재직기간:2014.09.01~현재
    • 전공분야: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처리, 데이터 마이닝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윤종원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5.03.01~현재
    • 전공분야:무선네트워크,모바일시스템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이상근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7.03.01~현재
    • 전공분야:기계학습분야
    • 최종출신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이우석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8.09.01~현재
    • 전공분야:프로그래밍언어
    • 최종출신학교:서울대학교
  • 은하수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9.03.01~현재
    • 전공분야:블록체인
    • 최종출신학교:한양대학교
  • 이연준
    • 직급:조교수
    • 재직기간:2019.09.01~현재
    • 전공분야:시스템보안
    • 최종출신학교:Indiana University at Bloomington

주요 특성화 활동

  • 신산업SW융합전공
    • 비 SW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소프트웨어기반의 융합 교육을 실시한다.
  • 마이크로전공
    • 데이터사이언스, 임베디드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전공을 운영한다.
  • 인공지능협동로봇 인력양성
    • 창의 및 융합역량을 갖춘 인공지능 협동로봇 분야 실용인재 양성을 위한 다학제적 혁신교육 모델, CARE(Collaborative AI-Robotics in Engineering) 프로그램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