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편집 요약 없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는 대학 간 상호협력과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1982년에 설립된 대학 간 자율협의체로서, 전국 4년제 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등 총 200여개의 회원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대교협은 1982년부터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1992년부터는 학과를 대상으로 하는 학과평가를 매년 2~3개 학과를 대상으로 실시해 왔다. 1999년부터는 [[학부제 ]] 시행과 같은 교육단위의 변경으로 학과평가를 학문분야평가로 전환하여 실시하고 있다.
*우리 대학의 경우 1999년에 건축(공)학 분야에서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된 이후 꾸준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 당시 66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건축학 분야 평가에서 안산캠퍼스는 종합순위 2위,서울캠퍼스는 종합순위 1위를 차지하며 한양대학교가 건축공학 분야의 독보적 대학임을 드러내었다.
 
[[파일:2000년 이후 대교협 학문분야 종합평가 결과표.jpg|가운데|섬네일|594x594픽셀]]
==2000년도 '전기•전자•정보통신분야', '재료공학 분야' 평가==
==2005년도 '국어국문학 분야', '중어중문학 분야', '일어일문학 분야', '무용학 분야', '체육학분야' 평가==
==2005년도 '국어국문학 분야', '중어중문학 분야', '일어일문학 분야', '무용학 분야', '체육학분야' 평가==
*2005년도부터는 평가 대상 학문분야가 대폭 증가하여 국어국문학, 농학, 무용학 등 총 8개 분야의 학문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우리 대학에 해당되는 부문으로는 국어국문학, 무용학, 일어일문학,중어중문학, 체육학 분야 등 총 5개가 있었다.
*2005년도 학문분야평가의 종합결과는 산출한 합계 점수를 기준으로 환산점수 95.0점 이상을‘최우수’, 85.0점 이상~95.0점 미만을 ‘우수’, 60.0점 이상~85.0점 미만을 ‘인정’, 60.0점 미만을‘개선요망’으로 판정하였다. 영역별 결과는 산출한 영역별 점수를 기준으로 환산점수 95.0점 이상을 ‘최우수’대학으로, 85.0점 이상~95.0점 미만을 ‘우수’대학으로 판정하였다. 영역별평가의 항목으로는 교육목표/교육과정 및 수업, 교수, 학생/교육성과, 교육여건 및 지원체계 등 총 4개 항목에서 평가되었다.
*2001년 실시된 건축학과 평가에서 교수연구 부문 전국 2위, 교육여건 부문 전국 2위, 취업률 전국 2위를 차지하였으며, 이외에도 교수당 연구비, 졸업생 수 대비 건축사 배출 비율, 평판도(교수자질, 연건) 등에서 10위권에 선정되었다.
 
{| class="wikitable"
|+
!순위
!교수연구
!교육여건
!교수당연구비
!졸업생 수 대비 건축사 배출비율
|-
|1
|한양대(서울)
|서울시립대
|한양대(서울)
|한양대(서울)
|-
|2
|한양대(안산)
|한양대(안산)
|서울대
|서울대
|-
|3
|서울대
|고려대
|한양대(안산)
|부산대
|-
|4
|성균관대
|충남대
|경기대
|전남대,강원대
|-
|5
|전분대
|한양대
|전북대
|조선대, 한양대(안산)
|}
==2002년 '중어중문학과'' 평가''==
*2002년 실시된 중어중문학과 평가에서 졸업생 순수 취업률 97.2%로 전국 1위를 차지하였으며,교수당 논문과 강좌 다양성 부문에서 각각 전국 2위, 전국 3위를 차지하였다. 그 외 1인당 장학금,타과생을 위한 강좌, 교수연구 부문, 교수당 저서 부문에 있어 10위권에 선정되었다.
 
{| class="wikitable"
|+
!순위
!순수취업률
!교수당 논문
!강좌 다양성
!타과생을 위한 강좌
|-
|1
|한양대(안산)
|한국외대
|서울대
|고려대
|-
|2
|성균관대
|한양대(안산)
|한국외대
|충남대
|-
|3
|고려대
|서울대
|한양대(안산)
|한양대(안산)
|-
|4
|울산대
|성균관대
|한국외대(용인)
|건국대
|-
|5
|경희대(수원)
|연세대
|고려대
|원광대
|}
==2003년 '신문방송학과', '산업공학과' 평가==
*2003년도에 실시된 신문방송학과 평가에서 졸업생 전공관련 취업률에 있어 전국 3위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포토 저널리즘’에 집중 투자하여 중앙언론사 사진기자를 매년 꾸준히 배출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실무화 교육여건에서 전국 5위에 올랐으며 그 외 교육여건 부문 종합순위, 교수당 학생수, 장학금 수혜율 부문에서 10위권에 선정되었다.
*2003년도에 실시된 산업공학과 평가에서는 학생 1인당 PC 수 전국 3위, 학생 1인당 실험실수 전국 4위, 시설 및 여건분야 전국 4위를 차지하였으며, 이외에도 학생 교육분야, 교수 1인당 수업, 교수 연구분야, 교수당 국제학술지 논문, 교수당 국내학술지 논문, 교수당 국제학술대회 발표, 교수연구비, 평판도 분야, 교수진 평판도, 졸업생 업무수행 능력 등의 분야에서 10위권 안에 선정되었다.
 
{| class="wikitable"
|+신문방송학과 평가
!순위
!졸업생 전공관련 취업률
!실무화 교육여건
|-
|1
|건국대(충주)
|경성대
|-
|2
|고려대
|이화여대
|-
|3
|한양대(안산)
|대진대
|-
|4
|연세대
|서강대
|-
|5
|광운대
|한양대(안산)
|}
{| class="wikitable"
|+산업공학과 평가
!순위
!학생 1인당 PC
!시설 및 여건분야
!학생1인당 실험실
|-
|1
|포항공대
|포항공대
|서울대
|-
|2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
|-
|3
|한양대(안산)
|서울대
|부경대
|-
|4
|고려대
|한양대(안산)
|한양대(안산)
|-
|5
|한양대(서울)
|인천대
|부산대
|}
==2004년 ‘토목공학과’ 평가==
*2004년 실시된 토목공학과 평가에서 학생교육 부문 전국 2위, 졸업생 부문 전국 2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하여 교수연구, 교육환경, 교수당 해외논문 수 등 전 부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여 토목공학 분야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학생교육 부문에서는 인터넷을 접목한 강의 시스템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졸업생 부문에서는 전문인 배출 수에서 전국 2위를 차지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교수당 연간 해외논문 수와 학생 1인당 실습공간 면적에서도 전국 4위를 차지하였다. {| class="wikitable"|+!순위!교수연구!학생교육!졸업생!교수 1인당 연간 해외논문수!전문인배출수!학생 1인당 실습공간 면적|-|1|한국과학기술원|고려대|한국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2|고려대|한양대(안산)|한양대(안산)|고려대|한양대(안산)|중앙대(안성)|-|3|서울대|인하대|강원대|서울대|부산대|부산대|-|4|한양대(서울)|충북대|고려대|한양대(안산)|인하대|한양대(안산)|-|5|한양대(안산)|부산대|건국대|성균관대|건국대|홍익대|}[[분류:ERICA40년사]]

편집

5,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