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열기

바뀜

|LED성능 및 신뢰성 평가기술, 태양전지제조·공정기술, 다관절 로봇 동작제어 이론 및 실습, 분말소재부품 및 가공기술의 최적설계방안, 분말소재부품의 특성 평가 및 분석기술, 반도체 세정기술, PLC 제어 기초 및 실습, 드론 운용, BLDC 모터 교육 등
|-
|장비운용기술
|환경신뢰성평가 장비활용, 진동신뢰성평가 장비활용, 초음파가공기 운용 등
|-
|기업의 수요기술과 매칭되는 우수기술 및 기술평가 자료 제공
|-
|2. 전문가 연계
|매칭된 기술의 상용화를 높이기 위해 산학정보 유통관리 시스템(HERACLES)*를 통한
전문 연구인력 연계, 특허전략 수립 등에 관한 컨설팅 제공
|-
|3. 기술이전 컨설팅
|기술이전 절차, 법률, 세무, 사업화전략 등에 관한 컨설팅 제공
|-
|4. 기술자문
|전문가를 통한 기술자문을 수행하여 기업의 기술사업화 컨설팅 제공
|-
|5. 사후지원
|가족기업 운영, 정무지원사업 연계, 투자 연계 등 이전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사후지원
|}
==산학협력협의회를 통한 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파일:산학협력 기업지원프로그램과 산학연계 인력양성프로그램.jpg|가운데|섬네일]] *산학협력협의회는 수도권역 내의 지역혁신체제와 유기적인 협력을 위하여 대학을 비롯한 기업,연구소, 정부기관인력을 구성원으로 한 정보 교류의 장이다. 정기적인 모임을 통하여 업종별 기술 수요 및 교육훈련 수요 분석을 통해 산학협력 기업지원 및 산학연계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시행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2년 LINC사업 때부터 이어져 왔으며 당시 산학협력 기업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특성화전공, 캡스톤디자인, 현장실습 등이 ‘고용연계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었다.[[파일:산학협력협의회 현황.jpg|가운데|섬네일|740x740픽셀]]
==다양한 산학협력친화형 교육프로그램==

편집

794